9월 경상수지 134.7억달러 흑자…동월 최대이자 역대 2위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한은, 9월 국제수지(잠정) 통계 반도체 호황 힘입어 29개월 연속 흑자 반도체 호황으로 9월 경상수지가 130억달러 이상의 흑자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반도체 이미지 [헤럴드DB]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9월 경상수지가 130억달러를 넘는 흑자를 나타내며 동월 기준 최대이자 역대 2위를 기록했다. 인공지능(AI) 혁명에 따른 반도체 호황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국제수지(잠정) 통계에 따르면 9월 경상수지는 전월 대비 43억2000만달러 늘어난 134억7000억달러 흑자를 나타냈다. 동월 기준 사상 최대이자 모든 월을 통틀어서도 2위의 기록이다. 이로써 경상수지는 29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 2000년대에 들어 두 번째로 긴 흑자 흐름을 이어가게 됐다. 1월부터 9월까지 누적된 경상수지 흑자는 827억7000만달러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672억3000만달러 대비 155억4000만달러 많은 수준이다. 경상수지가 좋은 흐름을 보이는 핵심 요...
기사 본문
역대 2위 월간 흑자…수출 9.6% 늘어 상품수지 142.4억달러 운송 적자전환 등에 서비스수지 -33.2억달러…적자폭 커져 9월 경상수지 135억달러 흑자…반도체 등 수출호조에 동월기준 최대 (평택=연합뉴스) 홍기원 기자. 2025.10.28 xanadu@yna.co.kr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한지훈 기자 = 반도체 등의 수출 호조로 지난 9월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29개월째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 한국은행이 6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 통계에 따르면 9월 경상수지는 134억7천만달러(약 19조4천억원) 흑자로 집계됐다. 전월인 8월(91억5천만달러)과 작년 같은 달(112억9천만달러)보다 각 43억2천만달러, 21억8천만달러 늘어 월간 흑자 기준으로 역대 2위를 기록했다. 9월끼리만 비교하면 사상 최대 규모다. 연속 흑자 기간도 2000년대 들어 두 번째로 길다. 올해 들어 9월까지 누적 경상수지 흑자(827억7천만달러)는 지난해 같은 기간(672억3천만달러)보다 약 23% 많다...
기사 본문
월간 흑자 기준 역대 2위 규모…9월 기준 사상 최대 수출 9.6%↑, 반도체·자동차 견인…미국 수출만 소폭 감소 ▲ 부산항 부두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반도체 등 수출 품목의 호조로 지난 9월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29개월째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 한국은행이 6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 통계에 따르면 9월 경상수지는 134억7000만달러(약 19조4000억원) 흑자로 집계됐다. 전월(91억5000만달러)보다 43억2000만달러, 지난해 같은 달(112억9000만달러)보다 21억8000만달러 늘어 월간 기준으로 역대 두 번째로 큰 흑자를 기록했다. 9월만 놓고 보면 사상 최대 규모이며, 흑자 행진은 2000년대 들어 두 번째로 긴 기록이다. 올해 1~9월 누적 경상수지 흑자는 827억70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672억3000만달러)보다 약 23% 증가했다. 항목별로는 상품수지가 142억4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해 2017년(145억2000만달러)에 이어 역대 ...
기사 본문
월간 역대 2위, 동월 역대 최대 게티이미지뱅크 반도체·자동차 등 수출 호조로 지난 9월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29개월째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 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 통계를 보면, 9월 경상수지는 134억7천만달러(약 19조4천억원) 흑자로 집계됐다. 전달(91억5천만달러)과 작년 같은 달(112억9천만달러)보다 늘었다. 월간 흑자 기준으로 역대 2위, 9월 기준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다. 연속 흑자 기간도 2000년대 들어 두 번째로 길다. 올 들어 9월까지 누적 경상수지 흑자(827억7천만달러)는 지난해 같은 기간(672억3천만달러)보다 약 23% 많다. 항목별로 보면, 상품수지 흑자(142억4천만달러)가 역대 9월 중 2017년(145억2천만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컸다. 수출(672억7천만달러)이 작년 같은 달보다 9.6% 증가했고, 수입(530억2천만달러)은 4.5% 많았다. 통관 기준으로 반도체(22.1%), 승용차(14.0%), 화학공업제품(10.4%),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