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 눈높이 높아진다…주요 투자은행 “내년 성장률 2% 육박”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한 달 사이 평균 1.9%로 0.1%P 상향 한국은행 전망보다 0.3%P 높게 내다봐 부산항 전경. [김호영 기자] 해외 주요 투자은행(IB)들이 내년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잇따라 높이고 있다. 올해보다 성장 속도가 뚜렷하게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지는 분위기다. 6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주요 IB 8곳이 추정한 한국의 내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는 지난달 말 평균 1.9%를 기록했다. 이는 9월 말 평균(1.8%)보다 0.1%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특히 씨티는 기존 1.6%에서 2.2%로 전망치 대폭 높였다. JP모건과 골드만삭스도 2.2%로 전망해 2%대 성장을 내다보는 기관이 늘었다. 노무라는 1.9%, UBS는 1.8%, 바클레이는 1.7%를 각각 제시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만 한국은행의 기존 전망(1.6%)과 같은 수준으로 제시했다. 올해 성장률 전망치 평균 1.0%에 비춰보면, 내년에는 성장 속도가 배 가까이 빨라질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인 셈이...
기사 본문
[김혜인 디지털팀 기자 haileykim0516@gmail.com] 수출 호조에 내년 GDP 1.9% 전망 한은 전망치 1.6% 웃돌아 경남 거제시 아주동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에 선박이 건조되고 있다. ⓒ연합뉴스 해외 주요 투자은행(IB)이 내년 한국 경제성장률을 일제히 상향 조정했다. 수출이 견조한 흐름을 이어가며 성장세를 회복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6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해외 IB 8곳이 제시한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는 평균 1.9%로 집계됐다. 이는 한 달 전인 9월 말 1.8%에서 0.1%포인트(p) 오른 수치다. 씨티는 기존 1.6%에서 2.2%로 대폭 상향 조정해 평균치를 끌어올렸다. JP모건과 골드만삭스도 2.2% 성장률을 예상하며 2%대 회복을 점쳤다. 노무라는 1.9%, UBS는 1.8%, 바클레이는 1.7%를 각각 제시했다. 반면 뱅크오브아메리카(BOA)만이 1.6%로 한국은행의 기존 전망치와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올해 성장률 전망이 평...
기사 본문
한 달 사이 0.1%P 상향…평균 1.9% 한은 8월 전망보다 0.3%P 높아 해외 주요 투자은행(IB)이 내년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일제히 상향 조정하면서 평균 2%에 가까워졌다. 6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주요 IB 8곳이 전망한 우리나라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지난달 말 평균 1.9%로 집계됐다. 이는 한 달 전인 9월 말 전망치(1.8%)와 비교해 0.1%포인트 올랐고, 지난 8월 한국은행의 전망치 1.6%보다 0.3%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뱅크오브아메리카(1.6%)가 한은 전망치와 같았고, 나머지 7곳은 이보다 높은 수치를 내놨다. 특히 씨티는 기존 1.6%에서 2.2%로 전망치를 대폭 높여 잡아 전체 평균을 끌어올렸다. 씨티 외에도 JP모건과 골드만삭스가 2.2%로, 2%대 성장을 전망했다. 이밖에 노무라는 1.9%, UBS는 1.8%, 바클라는 1.7%였다. 올해 성장률 전망치가 평균 1.0%로 유지된 것을 고려하면, 1년 사이 성장률...
기사 본문
한 달 사이 평균 1.9%로 0.1%p 상향…한은 전망보다 0.3%p 높아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한지훈 기자 = 해외 주요 투자은행(IB)의 내년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점차 높아지고 있어 주목된다. 6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주요 IB 8곳이 제시한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지난달 말 평균 1.9%로 집계됐다. 씨티가 기존 1.6%에서 2.2%로 전망치를 대폭 높이면서 평균치가 한 달 전인 9월 말(1.8%)보다 0.1%포인트(p) 높아졌다. 뱅크오브아메리카(1.6%)를 제외하면 나머지 IB 7곳은 한국은행이 지난 8월 경제전망에서 제시한 내년 성장률 전망치(1.6%)보다 높은 수치를 내놨다. 씨티를 비롯해 JP모건과 골드만삭스가 2.2%로 나란히 2%대 성장을 전망했다. 이밖에 노무라는 1.9%, UBS는 1.8%, 바클리는 1.7% 등이었다. 올해 성장률 전망치가 평균 1.0%로 유지된 만큼 향후 1년 사이 성장률이 배 가까이 상승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