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연 50주년 기념' 양자 국가 전략기술 국회포럼 개최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양자 국가 전략기술 국회포럼' 행사 포스터 /사진=한국표준과학연구원 양자기술의 국가적 역량을 결집하고 발전 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양자 국가 전략기술 국회포럼'이 5일 국회 박물관에서 열렸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하 표준연) 창립 50주년을 기념해 열린 이번 포럼은 국회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회 최민희, 김현, 최형두, 황정아 의원이 공동 개최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NST(국가과학기술연구회)가 후원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백한희 IBM 양자 알고리즘 센터 총괄 전무가 연사로 나서 '양자기술 선도국의 전략과 주요 정책 동향'을 소개했다. 이어 김태현 서울대 양자연구단장이 '양자컴퓨터의 현재와 미래'를, 최재혁 표준연 양자기술연구소장이 '표준연의 양자기술 연구: 성과와 비전'을 주제로 우리나라의 양자기술 개발 현황과 당면 과제를 공유했다. 이호성 표준연 원장은 "이번 포럼이 국가 양자 전문가들의 역량을 결집해 대한민국이 양자 기술 강국으로 '퀀텀 점프'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했다.
기사 본문
창립 50주년 맞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이호성 원장 초전도·중성원자 두 축으로 '양자 표준 시대' 연다 "양자 기술은 반도체 이후 한국 과학기술의 주도권을 좌우할 차세대 패러다임입니다. 초전도와 중성원자라는 두 날개로 국가의 양자 주권을 세우겠습니다." 이호성 한국표준과학연구원장이 아시아경제와 인터뷰하고 있다. 사진=한국표준화학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이 설립 50주년을 맞아 '양자컴퓨터 시대의 국가 연구 개발 중심 기관'으로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최근 대전 본원에서 아시아경제와 만난 이호성 원장은 "표준과학연은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초전도체 기반 양자컴퓨터를 직접 개발하고, 동시에 중성원자 플랫폼을 병행 연구하는 기관"이라고 소개했다. 이 원장은 "두 기술을 함께 추진하는 이유는 '어떤 플랫폼이 최종 생존할지 모르는 초기 시장'에서 한국이 독자 노선을 확보하기 위해서"라고 밝혔다. 그는 초전도 양자컴퓨터를 '국가 전략 기술의 심장'이라고 표현했다. 표준과학연은 이미 20...
기사 본문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설립 50주년 맞아 변신 선언 초전도체이어 중성원자 양자컴퓨터 개발에 전력 질량·시간·길이의 표준 측정 기술로 양자 산업 육성 첨병 역할 문종철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박사(오른쪽)가 연구실에서 백종민 아시아경제 테크 스페셜리스트에게 중성원자 양자컴퓨터 연구 장비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한국표준과학연구원 "통상적인 양자컴퓨터 칩(QPU)은 한번 디자인하면 끝입니다. 찍어내면 끝이죠. 그런데 이건 중간중간에 수정이 가능합니다." 대전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양자기술연구소에서 만난 문종철 박사는 차세대 '중성원자 양자컴퓨터'의 핵심을 이렇게 설명했다. 문 박사가 장막을 거두자 나타난 장비는 흔히 보던 커다란 샹들리에가 있는 초전도체 방식의 양자컴퓨터와는 전혀 달랐다. 초저온을 구현하는 장비와 실리콘 웨이퍼 대신, '광 집게'라 불리는 강력한 레이저가 진공 속 원자(큐비트)들을 붙잡아 배열시키고 있는 모습은 복잡한 광학장비와 레이저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초저온을 유...
기사 본문
[서울=뉴시스] 김경택 기자 = 한국첨단소재는 전날 서울 롯데호텔에서 개최된 산업통상자원부 주도의 'K-양자산업 연합 발대식'에 참석했다고 6일 밝혔다. 회사 측에 따르면 이번 연합은 국내 양자산업 생태계 조성과 양자기술 산업 적용·확산을 위한 민간 주도 협력체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양자 공급기업·수요기업·대학·연구기관 등이 폭넓게 참여했다. 산업부는 그동안 '양자기술 산업화 포럼'을 중심으로 정책 방향을 논의해 왔으며, 이번 발대식을 통해 민간 중심의 협력 네트워크인 K-양자산업 연합을 공식 출범시켰다. K-양자산업 연합은 ▲양자 밸류체인 구축 ▲산업별 양자 유스 케이스(Use-Case) 발굴 ▲국내 기술의 글로벌 진출·표준화 지원 등을 공동 추진할 예정이다. 한국첨단소재는 양자산업 분야에서 광 간섭계(마이켈슨·마흐젠더) 등 정밀 광학기반 장비를 자체 개발·생산하고 있으며, 이 제품들은 스위스의 아이디 퀀티크(ID Quantique)를 비롯한 해외 기업과 국내 연구기관에 공급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