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투자 늘면 환율 더 높아진다…"국내 주식시장 활성화로 쏠림 막아야"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순대외자산 안정화 가능성 평가 및 시사점' 보고서 우리나라 대외순자산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연합뉴스 [데일리안 = 정지수 기자] 우리나라 대외순자산이 늘어날수록 국내 투자기반이 약해지고 환율 약세 압력이 커진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에 국내 주식시장을 활성화해 해외투자 쏠림 현상을 완화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5일 한국은행 국제국 해외투자분석팀이 발표한 'BOK 이슈노트: 순대외자산 안정화 가능성 평가 및 시사점'에 따르면 우리나라 대외순자산이 계속 증가하면서 해외투자 흐름이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실제 우리나라 대외순자산은 지난 2010년 이후 대외금융자산이 대외금융부채에 비해 빠르게 증가했다. 대외순자산이란 대외금융자산에서 대외금융부채를 뺀 순대외금융자산을 뜻한다. ⓒ한국은행 지난 2014년 3분기부터 플러스(+)로 전환했고, 지난해 4분기에는처음 1조 달러를 상회해 지난 6월에는 현재 GDP의 55% 수준에 도달했다. 이처럼 대외순자산이 늘어난 데에는 경상수지 흑자가 해외...
기사 본문
한은 “순대외자산 증가, 국내 자본시장 약화, 환율 약세 압력 등 부정적 측면도 존재” NFA, 대외채권국 중심으로 점차 커져…韓 실제 NFA 47%, 균형치 30% 상회 연기금 해외투자 지속·국내투자 수익률 저하 등 NFA 확대 국내 요인 단기적 해소 난망 “국내 주식시장 투자여건 개선, 연기금 국내투자 활성화 통해 과도한 해외투자 치우침 완화 필요” ◆…한국은행은 5일 'BOK 이슈노트: 순대외자산 안정화 가능성 평가 및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사진=조세일보 DB 우리나라의 순대외자산은 2024년 4분기 처음 1조달러를 넘어섰고 2025년 6월 현재 국내총생산(GDP)의 55% 수준에 도달했다. 한국은행은 NFA의 증가가 대외건전성 강화라는 긍정적 측면이 있지만 국내 투자기반 약화, 환율 약세 압력, 통상 리스크 확대 등 부정적 측면도 있다고 밝혔다. 한국은행은 5일 'BOK 이슈노트: 순대외자산 안정화 가능성 평가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연기금의 해외투자 확대, 고령화로 ...
기사 본문
GDP 절반 넘는 순대외금융자산 해외투자 흐름 지속될 가능성 커 환율 약세 압력 확대 등 리스크↑ “韓 시장 위험조정 수익률 제고 필요” 뉴스1 [파이낸셜뉴스] 과도한 해외 투자 치우침을 완화해 국내 순대외자산(NFA) 확대 흐름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내 자산 수익률 저하, 연기금 등의 대규모 해외투자 등으로 NFA가 빠르게 늘어나는 가운데 환율 약세 압력 등 리스크가 확대되고 있는 만큼 국내부문의 투자 매력을 높여 과도한 민간부문의 해외투자 편중 경향을 완화시켜야 한다는 분석이다. 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순대외자산 안정화 가능성 평가 및 시사점’에 따르면 한국의 NFA는 지난 2014년 3·4분기부터 플러스(+)로 전환해 지난해 4·4분기에 처음으로 1조달러를 상회했다. NFA는 국제투자대조표(IIP)상 대외금융자산에서 대외금융부채를 뺀 수치로 2010년 대외금융자산이 빠르게 늘면서 올해 6월에는 현재 국내총생산(GDP)의 55% 수준에 도달했다. 한은은 경상수지 ...
기사 본문
‘서학개미’로 불리는 개인투자자의 해외 주식 투자 열풍이 한국 경제에 장기적으로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순대외자산 안정화 가능성 평가 및 시사점’ 보고서 내용이다. 한은 집계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한국의 대외 금융자산은 2조7000억 달러(약 3903조)로, 20년 사이 7배 넘게 늘었다. 그 결과 대외 금융자산에서 대외 금융채무를 뺀 순대외자산(NFA)은 지난해 말 처음으로 1조 달러(1445조원)를 돌파했다. 경상수지 흑자가 해외투자와 외화보유액 증가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수출이 수입보다 많고, 해외투자에서 들어오는 이자와 배당이 늘어난 덕분이다. 김경진 기자 올해 6월 기준 국내총생산(GDP) 대비 순대외자산 비중은 55%로, 지난해 말(58.8%) 이후 최대치다. 국가 전체에서 한 해 벌어들이는 돈의 절반이 넘는 대규모 자금이 해외에 나가 있다는 의미다. 미국 등 해외 증시 강세가 이어지면서 한국인은 국내 대신 해외 주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