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분산에너지 특구 보류에 '당혹'…"재도전할 것"

2025년 11월 06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70개
수집 시간: 2025-11-06 07:45:44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8개

연합뉴스 2025-11-05 16:26:28 oid: 001, aid: 0015726352
기사 본문

"전력 직거래 시스템 거의 구축 등 인프라 충분" 울산시청 전경 [연합뉴스 자료사진] (울산=연합뉴스) 허광무 기자 = 울산시가 역점을 두고 추진하던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선정에서 고배를 마셨다. 울산시는 정부에 분산에너지 특구 시급성과 타당성을 지속해서 설명하고 설득해 연내 추가 선정을 이뤄낸다는 방침이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5일 에너지위원회를 열어 전남, 제주, 부산 강서구, 경기 의왕시 등 4곳을 분산에너지 특구로 선정했다. 지난 5월 최종 후보지에 오른 7곳 중 울산을 비롯해 경북 포항시, 충남 서산시 등 3곳은 보류됐다. 특구 지정에 사활을 걸고 사업을 추진했던 울산시는 예상치 못한 선정 배제 결정에 당혹스러운 표정이다. 분산에너지 특구는 한국전력을 거치지 않고 전력을 직거래할 수 있는 규제 특례를 적용받는다. 전력 생산과 소비가 지역 내에서 이뤄지는 지산지소(地産地消) 체계가 운영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지역 발전사들이 직접 전력 판매시장에 진입할 수 있고, 기업은 저렴...

전체 기사 읽기

부산일보 2025-11-05 12:30:14 oid: 082, aid: 0001352198
기사 본문

EDC·명지지구·강서산단 일대 1511만 평 기후부 장관 주재 에너지위원회서 확정 특구내 대규모 500MWh 전력 저장 AI 기반 에너지 관리 효율화도 도모 부산, 연간 157억 원 전기요금 절감 개별기업 기준 최대 8% 수준 절전 첨단산업, 분산특구내 ESS 구독 서비스 설비투자비용 총 2500억 원 절감 기대 재생에너지 출력제한 해소로 연 44억 절감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5일 서울 용산구 그랜드 하얏트호텔에서 열린 '제36회 에너지위원회'에 참석해 회의에 앞서 기념 촬영하고 있다. 기후부 제공 부산 분산에너지특구(강서 스마트그리드) 개요 및 ESS Farm 소개. 부산시 제공 부산시가 전국 최초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분산특구)로 최종 확정됐다. 부산시가 ‘신산업활성화형’ 분산특구로 지정됨에 따라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 설치와 인공지능(AI) 기반 에너지 관리 효율화를 통해 에너지신산업 거점으로 도약할 전망이다. 정부는 5일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 주재로 제...

전체 기사 읽기

국제신문 2025-11-05 19:27:18 oid: 658, aid: 0000125067
기사 본문

부산형 분산특구 주요 내용 - 명지 일대 민자 2094억 원 투입 - 500㎿ 규모 ‘ESS 팜’ 조성 계획 - 심야 충전한 전력, 피크 때 활용 - 전기료 연간 157억 절감 예상 - 설비투자비 2500억 감소 기대 중앙(수도권) 집중형 전력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분산특구)에 부산이 최종 선정되면서 강서구 일대를 ‘부산형 분산특구’로 조성하려는 부산시 계획이 본궤도에 오르게 됐다. 그간 정부의 지정 절차가 수차례 지연돼 사업 불확실성이 높았지만 앞으로는 관계부처로부터 각종 지원을 받으면서 특구 조성에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 부산형 분산특구의 키워드는 ‘에너지저장장치(ESS)’다. 부산이 분산에너지 특화지역(분산특구)에 최종 선정되면서 강서구 일대를 ‘부산형 분산특구’로 조성하려는 부산시 계획이 본궤도에 오르게 됐다. 사진은 강서구 명지동 에너지저장장치팜(ESS Farm) 조성 예정 부지 전경. 이원준 기자 windstorm@kookje.co.kr...

전체 기사 읽기

문화일보 2025-11-05 17:28:15 oid: 021, aid: 0002747931
기사 본문

산업단지 전기요금 8% 절감, 설비비 2500억 절약 기대 부산형 ‘신산업활성화형’ 특구…강서·명지권 49.9㎢ 규모 박형준 시장 “산업·도시 경쟁력 높이는 전환점…탄소중립 허브도시로 도약” 박형준 부산시장이 5일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 주재 에너지위원회에서 부산이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으로 최종 지정된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부산=이승륜 기자 부산시가 정부의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 대상에 최종 선정되며 전국 최초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위를 확보했다. 이번 지정으로 부산은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와 인공지능(AI) 기반의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결합한 미래형 에너지 신산업 거점으로 도약하게 됐다. 부산시는 5일 오전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 주재 에너지위원회에서 부산의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이 최종 확정됐다고 밝혔다. 전국 11개 지자체가 신청한 25개 사업 가운데 부산·전남·경기·제주 4개 지자체가 최종 선정됐다. 시는 지난 4월 지정 신청 이후 5월 실무위원회 심의를 ...

전체 기사 읽기

시사저널 2025-11-06 10:46:20 oid: 586, aid: 0000115328
기사 본문

[박태진 제주본부 기자 sisa640@sisajournal.com] 에너지위원회, 가상발전소 기반 전기차 양방향 충전·에너지저장장치·새로운 수요혁신 기술 등 승인 제주도와 현대자동차그룹이 9월25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그린수소와 분산에너지로 여는 케이(K)-탄소중립 이니셔티브’ 업무협약을 맺고 있다. ⓒ제주도 제공 제주특별자치도가 정부의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으로 최종 선정됐다. 제주도가 제안한 세 가지 사업모델이 지난 5일 기후에너지환경부 에너지위원회에서 모두 승인돼 제주형 에너지 자립과 신산업 발전에 전기가 마련됐다. 이번에 심의․의결된 제주도의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사업계획은 신산업 활성화 유형으로 △가상발전소(VPP) 기반의 전기차 양방향 충전(V2G) △에너지저장장치(ESS) △새로운 수요혁신 기술(P2X) 등 세 가지 모델을 모두 포함한다. 기후부(당시 산업부)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실무위원회는 지난 5월 VPP 기반 V2G 사업 1개 모델만 최종 후보지역으로 선정했다. 이에...

전체 기사 읽기

머니S 2025-11-06 11:21:41 oid: 417, aid: 0001111597
기사 본문

경기도 의왕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개념도./사진제공=의왕시 경기도는 기후환경에너지부가 주관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공모에서 의왕시가 최종 선정됐다고 6일 밝혔다.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따른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은 원거리 송전망을 이용하는 대신 수요지 인근에서 에너지를 생산, 소비하는 지산지소(地産地消)형 시스템이다. 특화지역은 전기사업법상 '발전·판매 겸업 금지' 예외로 분산에너지 발전 사업자와 전기사용자간 전력 직접거래를 허용하며, 규제특례를 적용, 다양한 요금제를 도입하고 전력 신산업의 본보기(모델)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번 최종 선정한 의왕시 모델은 '에너지저장장치(ESS) 기반 도심형 저장전기판매'가 핵심이다. LS 일렉트릭은 의왕 무민공원에 태양광, ESS를 설치해 전기차 충전소 등에 전력을 공급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전력의 생산·저장·판매를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민간주도 에너지 시스템을 구축한다.


부산일보 2025-11-05 18:36:13 oid: 082, aid: 0001352320
기사 본문

특구 선정 의미와 기대 효과 특구에 ‘강서 스마트그리드’ 국내 최대 에너지저장장치 조성 심야 시간 값싼 전기 충전해 사용 서부산 지역 에너지 자립도 향상 AI 비롯 첨단산업 유치에 큰 힘 부산이 5일 분산에너지 특구로 지정되면서 반도체·데이터센터 등 첨단산업 유치에도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사진은 강서구 에코델타시티와 그린데이터센터 집적단지 일대. 김경현 기자 view@ 부산 강서구 일대가 국내 최초 ‘분산에너지 특구’로 지정되면서 기존의 중앙집중형 전력 시스템을 지역에서 생산하고 소비하는 구조로 바꾸는 에너지 전환이 가능해졌다. 부산시는 특구 내에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를 중심으로 통합 에너지 플랫폼을 구축해 첨단산업을 유치하고 재생에너지 100%(RE100) 산업단지 조성에도 나선다는 구상이다. ■데이터센터 5개분 전력 저장 가능 5일 기후에너지환경부 에너지위원회가 발표한 분산에너지 특구는 지난해 6월 시행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따라 분산에너지 사업자가 전력 시장을 거치지...

전체 기사 읽기

헤럴드경제 2025-11-05 14:18:10 oid: 016, aid: 0002553175
기사 본문

에너지위, ‘제7차 에너지 이용 합리화 기본계획’ 확정 분산 특구 신산업 활성화 유형과 수요유치 유형 에너지 절약시설 융자 및 보조에 2조원 지원 분산특구 지정 계획[기후부 제공]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정부가 2029년까지 국가 에너지효율을 8.7% 개선하고 에너지 소비를 4.7% 감축키로 했다. 이를 위해 2030년까지 에너지 절약시설 융자 및 보조에 2조원 가량을 지원한다. 또 전력시장을 거치지 않고 전기가 만들어지는 곳에서 전기를 쓰는 ‘지산지소(地産地消)형 전력 시스템’ 구축을 촉진하기 위한 분산에너지 특구로 경기 의왕, 전남 해남 등 4곳을 선정했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6일 열린 에너지위원회에서 이같은 내용의 ‘제7차 에너지 이용 합리화 기본계획(2025∼2029)’과 분산특구 선정을 심의·확정했다고 밝혔다. 분산특구로 선정된 곳은 4곳으로 신산업활성화 유형 경기 의왕(LS일렉트릭), 부산 강서(부산정관에너지), 제주 전역(현대자동차 등), 전남 전역(보성산업) 등 4곳...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