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에너빌, 3분기 영업익 1371억…전년比 19.4%↑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매출은 14.3% 늘어난 3조8804억 연간 수주 가이던스 13조로 상향 [이데일리 김성진 기자] 두산에너빌리티는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 3조8804억원, 영업이익 1371억원의 실적을 기록했다고 5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4.3%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19.4% 늘어난 수준이다. 에너빌리티 부문(해외 자회사 포함 기준) 수주는 3분기 약 1조6000억원 규모를 계약하며 누적 기준 5조 3903억원을 달성했다. 주요 수주는 당진 2단계 LNG 저장탱크 3기 공사(4458억원, 당사분 80%)를 포함해 국내외 단품, 서비스 분야 등이 있다. 수주잔고는 16조 4174억 원으로 전년 대비 1조6000억원 증가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올해 수주 가이던스를 당초 10조7000억원에서 13조~14조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4분기 체코원전 2기 주기기 제작 공급 계약과 가스터빈, 계획 외 수주를 목표로 두고 있다. 매출은 6조5000억원에서 7조4000억~7조8000억원으로...
기사 본문
<앵커> 두산에너빌리티가 지난달 일론 머스크의 인공지능 스타트업 xAI로부터 가스터빈 수주에 성공한 것으로 한국경제TV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원전 부문에서는 이번 관세 협상을 통해 합의된 핵추진 잠수함의 핵심 기자재 시공을 맡을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잠시 뒤 장 마감 후 나오는 두산에너빌리티의 3분기 영업이익은 지난해의 두 배가 넘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사안 단독 취재한 산업부 고영욱 기자와 알아봅니다. 고 기자. 두산에너빌리티 가스터빈 수출 소식부터 전해주시죠. <기자> 가스터빈 종주국인 미국에 첫 수출을 했습니다. 지난달 빅테크 기업이 380MW급 가스터빈 2기를 주문했는데, 업계에 따르면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xAI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에너지업계 관계자는 한국경제TV와의 통화에서 "두산에너빌리티가 가스터빈을 납품하는 곳은 일론 머스크의 xAI"라고 밝혔습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다른 여러 회사들과도 협상중이어서 추가 수주도 기대됩니다. 가스터빈 연간 생산능력은 8기...
기사 본문
'탈원전 저울질' 정부도 SMR 긍정적…글로벌 시장서도 경쟁력 확보 가스터빈, 미래 성장동력 부상…탈원전에 SMR 막혀도 걱정 無 25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 D.C.에서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 직후 진행된 SMR 사업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식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 제공) (서울=뉴스1) 원태성 기자 = 두산에너빌리티(034020)가 이재명 정부 출범 후 '탈원전 시즌 2' 우려에도 과거와 달리 흔들리지 않는 모습이다. 과거 문재인 정부 시절 탈원전 정책으로 수주 물량이 급감하며 실적이 악화돼 알짜 자산 매각까지 단행했던 상황과는 전혀 다르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최근 국내 유일 원전 주기기 제작사로서 차세대 SMR 핵심 부품 제작기술을 확보했다. 또 새 성장동력으로 가스터빈 사업을 낙점하는 등 사업 포트폴리오를 강화해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마련할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탈원전 저울질' 정부도 SMR 긍정적…국내 넘...
기사 본문
연간 수주 목표치 13~14조 원대로 상향 조정 지난 6월 두산에너빌리티가 자체 기술로 개발한 380㎿급 가스터빈이 성능·안전성을 최종 점검하는 ‘정격부하 성능시험’을 마친 모습. 두산그룹 제공 두산에너빌리티의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1371억 원으로 1년 새 20%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137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4%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5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3조8804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3% 증가했다. 올해 1~3분기 누적 매출은 12조197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8% 늘었다. 누적 영업이익은 5506억 원, 순이익은 1526억 원으로 자회사 실적 악화와 관세 등 외부 요인으로 전년 대비 각각 29.6%, 66.5% 감소했다. 에너빌리티 부문(해외 자회사 포함 기준) 수주는 3분기 약 1조6000억 원 규모를 계약하며 누적 기준 5조3903억 원을 달성했다. 주요 수주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