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희토류 공급망 TF 가동…중국 수출통제에 연내 종합대책 마련

2025년 10월 16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29개
수집 시간: 2025-10-16 16:18:14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연합뉴스TV 2025-10-16 15:52:18 oid: 422, aid: 0000791534
기사 본문

'민관 합동 희토류 공급망 대응회의'에서 발언하는 문신학 산업부 차관 [산업통상부 제공] 산업통상부가 오늘(16일) '민관 합동 희토류 공급망 대응 회의'를 열고, 중국의 희토류 수출통제 강화에 대응하기 위해 범부처가 참여하는 '희토류 공급망 태스크포스(TF)'를 발족한다고 밝혔습니다. TF 단장은 산업부 차관이 맡고 기획재정부, 외교부 등 관계부처와 무역안보관리원, 광해광업공단, 희속금속센터,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 등 유관기관이 참여합니다. 앞서 지난 9일 중국 상무부는 '희토류 수출통제 역외 적용'(12월1일 시행), '수출통제 품목 확대'(11월8일 시행), '희토류 기술 통제'(10월9일 시행) 등 수출통제 강화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지난 4월 7종의 희토류에 대한 수출통제를 단행했는데, 이번에는 그 수위를 더욱 강화한 겁니다. 이에 따라 통제가 시작된 희토류 7종에 대해서는 중국 기업이 아닌 외국 기업도 중국 상무부의 수출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향후 우리 기업이 중...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0-16 15:25:33 oid: 001, aid: 0015682545
기사 본문

산업차관 단장, 기재부·외교부·유관기관 참여…中수출통제강화 대응 민관 합동 희토류 공급망 대응회의 (서울=연합뉴스) 이진욱 기자 = 16일 서울 중구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에서 열린 민관 합동 희토류 공급망 대응회의에서 문신학 산업통상부 차관이 발언하고 있다. 2025.10.16 cityboy@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정부가 중국의 희토류 수출통제 강화에 대응해 범부처가 참여하는 '희토류 공급망 태스크포스(TF)'를 16일 발족했다. 이를 통해 단기적으로는 국내 기업에 대한 중국의 희토류 수출 허가가 신속히 발급되도록 지원하고, '희토류 수급 지원센터'를 통한 긴급 대응 지원에 나선다. 중장기적으로는 희토류 공급망 안정 대책 마련에 집중한다. 산업부는 이날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민관 합동 희토류 공급망 대응 회의'를 열고 범부처 희토류 공급망 TF를 가동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TF는 산업부 차관이 단장을 맡고 기획재정부, 외교부 등 관계부처와 ...

전체 기사 읽기

데일리안 2025-10-16 15:39:10 oid: 119, aid: 0003013331
기사 본문

민관 합동 희토류 공급망 대응회의. ⓒ산업통상부 [데일리안 = 박진석 기자] 정부가 중국의 희토류 수출통제 강화에 대응해 범정부 차원의 비상 대응체계를 가동했다. 산업통상부는 16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관계부처·유관기관과 함께 ‘민관 합동 희토류 공급망 대응회의’를 열고 산업부 차관을 단장으로 한 ‘희토류 공급망 TF’를 출범시켰다. 이번 조치는 중국 정부가 희토류 수출통제 범위를 확대하고, 외국 기업에도 적용하는 조치를 발표한 데 따른 것이다. 중국 상무부는 지난 9일 희토류 수출통제 역외 적용(12월 1일 시행), 수출품목 확대(11월 8일 시행), 희토류 기술 통제(10월 9일 시행) 등 3단계 강화안을 내놓았다. 이에 따라 우리 기업이 중국에서 수입한 희토류뿐 아니라 중국산 희토류(0.1% 이상 함유) 또는 중국 기술을 활용해 만든 영구자석·반도체 장비 등을 제3국으로 수출하거나 제3국으로부터 수입할 때도 중국 정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중국의 글로벌 희토류 생산 비중이 높아...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0-16 14:29:05 oid: 003, aid: 0013538824
기사 본문

中 글로벌 생산 비중 높아 수급 애로 예상 수출허가 신속 발급 위해 中과 소통 확대 "첨단산업 우려 커…모든 가능성 면밀 대응" [AP/뉴시스]미 캘리포니아주 모하비 사막에 있는 마운틴 패스 광산의 희토류 광산의 2024년 항공사진 모습. 2025.04.18. [세종=뉴시스]여동준 기자 = 산업통상부가 주요국의 수출통제로 인한 국내 산업 영향을 최소화하고, 희토류 공급망을 강화하기 위해 총력 대응에 나선다. 산업부는 16일 민관 합동 희토류 공급망 대응회의를 개최하고 산업부 차관을 단장으로 관계부처 및 유관기관이 참여하는 희토류 공급망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중국 상무부는 ▲희토류 수출통제 역외 적용 ▲수출통제 품목 확대 ▲희토류 기술 통제 등을 내용으로 하는 수출통제 강화 조치를 발표한 바 있다. 희토류 수출통제 역외 적용은 중국 기업이 아닌 외국 기업에 대해서도 중국 상무부의 수출허가를 받도록 하는 것으로, 올해 4월부터 통제하기 시작한 희토류 7종에 한정...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