짝퉁 장신구 60만점 적발…기준치 '5천배' 발암물질 검출

2025년 11월 06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35개
수집 시간: 2025-11-06 05:29:11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연합뉴스TV 2025-11-05 10:24:10 oid: 422, aid: 0000798407
기사 본문

SNS 등을 통해 유통되는 지적재산권 침해물품, 이른바 '짝퉁' 장신구 등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발암물질이 검출됐습니다. 관세청은 오늘(5일) 서울 본부세관에서 브리핑을 열고 짝퉁 총 60만6,443점을 적발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목걸이 등 장신구 112점에선 납, 카드뮴 등 발암물질이 검출됐는데, 허용 기준치의 최대 5,527배에 달하는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명구 관세청장은 "국민 안전을 위협하는 수입물품에 대한 안전성 분석을 확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관세청 #짝퉁 #유해물질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동아일보 2025-11-05 14:46:17 oid: 020, aid: 0003672252
기사 본문

각각 가소제 34.48%가 검출된 짝퉁 라부부 키링. 관세청 제공 관세청은 올해 상반기 국내로 수입된 지식재산권 침해물품(짝퉁)에 대한 집중단속 결과, 총 60만6443점을 적발했다고 5일 밝혔다. 이중 피부에 닿는 장신구 등 250개 제품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112점에서 발암물질이 안전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됐다.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중국의 인형 캐릭터 ‘라부부’의 짝퉁 키링 5점 가운데 2점에서는 발암물질인 가소제가 국내 기준치의 344배가량 검출되기도 했다. 관세청에 따르면 이번 성분 분석은 중국 광군제와 미국 블랙프라이데이 등 해외의 대규모 할인행사를 앞두고 짝퉁 제품 반입 급증에 대비해 실시됐다. 인스타그램·유튜브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라이브 커머스에서 직접 구입한 제품도 검사 대상에 포함됐다. 관세청 중앙관세분석소가 실시한 짝퉁 금속 장신구(귀걸이·목걸이·헤어핀 등)의 안전성 분석 결과, 일부 제품에서 납과 카드뮴이 허용 기준치의 최대 5527배에 달하는 수...

전체 기사 읽기

한겨레 2025-11-05 11:54:17 oid: 028, aid: 0002774777
기사 본문

관세청 “짝퉁 장신구서 기준치 초과 발암물질” 짝퉁 라부부 인형 키링에서도 가소제 유해 물질 5일 서울 강남구 서울세관에서 열린 \'짝퉁 장신구와 라부부 키링 등 안전성 검사 결과 브리핑\'에서 김정 관세청 통관국장이 결과에 대해 말하고 있다. 관세청은 해외 대규모 할인행사 기간을 앞두고 짝퉁 제품의 반입 급증에 대비해 장신구 등 250개 짝퉁 제품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112점에서 납·카드뮴·가소제 등 발암물질이 안전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됐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중국 유명 캐릭터 ‘라부부’ 인형과 샤넬·반클리프 아펠 등 명품 장신구를 위조한 제품이 대거 적발됐다. 이들 제품에서는 납과 카드뮴 등 기준치를 최대 5500배 초과하는 발암물질이 검출됐다. 관세청은 올해 상반기 국내로 수입된 지식재산권 침해 물품(이른바 짝퉁)을 집중적으로 단속한 결과 60만6443개를 적발했다고 5일 밝혔다. 그중 피부에 직접 닿는 장신구 등 250개 제품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112개에서 안전 기준...

전체 기사 읽기

조선일보 2025-11-05 11:47:09 oid: 023, aid: 0003939056
기사 본문

中 광군제·美 블프 앞두고 관세청 해외직구 특별단속 짝퉁 장신구 절반 이상서 납·카드뮴 초과…최대 5527배 중국 광군제(光棍節·11월 11일)와 미국 블랙프라이데이 등 대규모 해외 할인행사를 앞두고 관세청이 해외직구 불법 수입행위에 대한 특별단속에 나선다. 관세청은 오는 10일부터 연말까지 8주간 전국 34개 세관이 참여하는 해외직구 특별단속을 실시한다고 5일 밝혔다. 이번 단속은 해외직구 제도를 악용한 판매용 물품 밀수, 개인통관고유부호 도용, K-브랜드 등 지식재산권 침해 물품 수입을 집중 점검한다. 현재 미화 150달러(미국은 200달러) 이하의 자가사용 물품은 간소한 절차로 통관되며 관세와 부가세가 면제된다. 하지만 이를 악용해 판매용으로 들여오거나 타인의 통관고유부호를 도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게 관세청의 설명이다. 5일 서울 강남구 서울세관에서 열린 '짝퉁 장신구와 라부부 키링 등 안전성 검사 결과 브리핑'에서 관세청 관계자가 정품과 가소제가 검출된 '짝퉁' 라부부 ...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