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상어’ 더핑크퐁컴퍼니, 공모가 상단 3만8000원 확정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6~7일 일반 청약… 14일 코스닥 상장 ‘아기상어’로 유명한 유아 콘텐츠 기업 더핑크퐁컴퍼니가 공모가를 희망 범위 상단인 3만8000원으로 확정했다. 공모가 기준 공모 금액은 760억원, 상장 시가총액은 5453억원이다. 더핑크퐁컴퍼니. 더핑크퐁컴퍼니는 지난달 28일부터 5영업일간 진행한 수요예측 결과를 토대로 공모가를 희망 가격(3만2000~3만8000원) 상단인 3만8000원으로 결정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수요예측에는 국내외 기관 2300곳이 참여했다. 단순 경쟁률은 615.89대 1로 집계됐다. 참여 기관 가운데 2곳을 제외한 2298곳이 공모가 상단 이상(가격 미제시 포함)에 주문을 넣었다. 기관 주문 수량의 30%가 최소 15일 이상 공모주를 팔지 않겠다고 확약한 물량으로 집계됐다. 최근 수요예측을 진행한 IPO 기업과 비교하면 다소 낮은 수치다. 지난 7월 의무보호예수 제도가 강화된 뒤 수요예측을 진행한 기업의 평균 확약 비율은 약 47%다. 2010년 설립된 더핑크...
기사 본문
수요예측 2300개 기관 참여…경쟁률 615대 1 참여 기관 99.9% 희망 밴드 상단 이상 가격 제시 “테크 기업 향한 비전…기술·데이터로 콘텐츠 혁신” [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글로벌 패밀리 엔터테인먼트 기업 더핑크퐁컴퍼니가 기관 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시행한 결과 최종 공모가를 3만 8000원으로 확정했다. 더핑크퐁컴퍼니는 지난달 28일부터 지난 3일까지 총 5일간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수요예측 결과 공모 밴드 상단인 3만 8000원에 공모가를 확정했다고 5일 밝혔다. 더핑크퐁컴퍼니의 캐릭터 IP (사진=더핑크퐁컴퍼니) 이번 수요예측은 총 2300개 기관이 참여하며 최종 615.9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더핑크퐁컴퍼니의 공모 금액은 760억원, 상장 시가총액은 5453억원 규모가 될 예정이다. 전체 참여 물량의 99.9%가 밴드 상단인 3만 8000원 이상의 가격을 기재했다. 2010년 설립된 더핑크퐁컴퍼니는 ‘핑크퐁’, ‘아기상어’, ‘호기’, ‘베베핀...
기사 본문
[사진 더핑크퐁컴퍼니] [이코노미스트 송현주 기자] 더핑크퐁컴퍼니가 지난 10월 28일~11월 3일 총 5일간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수요예측 결과, 공모 밴드 상단인 3만8000원에 공모가를 확정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수요예측은 총 2300개 기관이 참여하며 최종 615.9:1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더핑크퐁컴퍼니의 공모 금액은 760억원, 상장 시가총액은 5453억원 규모가 될 예정이다. 전체 참여 물량의 99.9%가 밴드 상단인 3만8000원 이상의 가격을 기재했다. 2010년 설립된 더핑크퐁컴퍼니는 ▲핑크퐁 ▲아기상어 ▲호기 ▲베베핀 ▲씰룩 등 다채로운 IP 포트폴리오를 앞세워 성장한 글로벌 패밀리 엔터테인먼트 기업이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기준 2024년 연결 매출은 974억원, 영업이익은 188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11%, 371% 증가했으며, 2025년 상반기에도 약 20%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 대표 콘텐츠 ‘핑크퐁 아기상어 체조...
기사 본문
10월28일부터 이달 3일까지 5일간 진행 국내외 2300개 기관 참여, 615대 1 경쟁률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 데이터랩 '에서 볼 수 있습니다.] /사진제공=더핑크퐁컴퍼니 엔터테인먼트 기업 더핑크퐁컴퍼니 가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3일까지 총 5일간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수요예측 결과 희망밴드 최상단인 3만8000원으로 공모가를 확정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수요예측은 총 2300개 기관이 참여하며 최종 615.91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더핑크퐁컴퍼니의 공모 금액은 760억원, 상장 시가총액은 5453억원 규모가 될 예정이다. 전체 참여 물량의 99.9%가 밴드 최상단 이상의 가격을 기재했다. 2010년 설립된 더핑크퐁컴퍼니는 △핑크퐁 △아기상어 △호기 △베베핀 △씰룩 등 다채로운 IP(지식재산권) 포트폴리오를 앞세워 성장했다. 전 세계 244개국·25개 언어로 콘텐츠를 기획·제작·배급하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