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돼지고기 ‘국산 둔갑’… 추석 앞 원산지 위반 373곳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농관원, 거짓표시 198개소 형사입건 미표시 175개소에 과태료 3천8백만원 부과 농관원 직원들이 원산지 단속을 하고 있다. [농관원] #충북 청주의 한 일반음식점은 중국산 배추김치를 사용하면서 ‘배추·고춧가루 국내산’으로 거짓 표시해 1270㎏(216만원 상당)을 판매하다 적발됐다. # 강원 평창의 음식점은 미국산 쇠고기로 만든 불고기를 ‘국내산’으로 표기해 556㎏(1001만원)이나 팔아 치우다 덜미가 잡혔다. 추석 명절을 앞두고 원산지 표시 위반 행위가 대거 적발됐다. 중국산 김치나 외국산 육류를 국내산으로 속여 판매하는 등 매년 명절 때마다 되풀이되는 불법 행위가 잇따랐다. 16일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 따르면 지난 9월 15일부터 10월 2일까지 선물용·제수용 농축산물 원산지 표시를 집중적으로 점검한 결과, 총 373곳(410건)이 적발됐다. 점검은 특별사법경찰과 명예감시원 등이 참여해 전국 1만7364개 업소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품목별로는 △배추김치 99건 △돼지고기 59...
기사 본문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직원이 추석 명절을 앞두고 농식품 원산지 표시를 점검하고 있다. 농관원 제공 [파이낸셜뉴스]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은 추석 명절을 맞아 유통량이 많은 선물·제수용품 중심으로 9월15일부터 이달 2일까지 18일간 원산지 표시 일제 점검을 실시하여 위반업체 373개소(품목 410건)를 적발했다. 주요 위반 품목은 △배추김치(99건) △돼지고기 △두부류 △닭고기(28) △쇠고기(25) 등이다. 농관원은 이번 일제 점검기간 동안 특별사법경찰과 명예감시원을 투입해 선물·제수용품 등 제조·가공업체, 통신판매업체, 농축산물 도·소매업체 등 1만7364개소에 대해 외국산을 국내산으로 둔갑 판매하거나 국내 유명지역 특산물로 속여 판매하는 행위 등을 중점 점검했다. 적발된 업체 중 거짓표시 한 198개 업체는 형사입건(7년 이하 징역이나 1억원 이하 벌금)해 자체 수사 후 검찰에 송치할 계획이다. 미표시로 적발한 175개 업체에 대해서는 과태료 3826만원을 부과했다. 또한 이번 단속기...
기사 본문
농관원, 추석 기간 원산지 표시 일제 점검 373개 업체 적발···품목 '배추김치' 최다 거짓표시 업체 형사입건 후 檢 송치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관계자들이 추석 명절 기간 원산지 단속을 벌이고 있다. 사진 제공=농관원 [서울경제] 중국산 배추김치를 국내산으로 속여 판매하는 등 원산지 표시를 위반한 업체 373곳이 적발됐다. 정부는 원산지를 거짓으로 판매하다 적발된 업체에 대해서는 수사를 진행할 방침이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은 추석 명절 기간 유통량이 많은 선물·제수용품을 중심으로 지난달 15일부터 이달 2일까지 원산지 표시 일제 점검을 실시했다고 16일 밝혔다. 정부는 추석을 앞둔 일제점검 기간 동안 특별사법경찰과 명예감시원을 투입해 총 1만 7364개 업체에 대해 집중 점검을 벌였다. 점검 결과 410개 품목 373개의 업체가 적발됐다. 위반 품목은 배추김치가 99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돼지고기 59건, 두부류 44건, 닭고기 28건, 쇠고기 25건 순이었다. 충북 청주시에 위치한 ...
기사 본문
거짓표시 198곳, 미표시 175곳 형사입건 또는 과태료 부과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의 원산지 표시 단속 인력이 한 전통시장에서 농산물 원산지를 점검하고 있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추석 명절 농식품 판매 기간 중 원산지 표시를 위반한 사례가 무더기로 적발됐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은 9월15일부터 10월2일까지 명절 유통량이 늘어난 선물·제수용품을 중심으로 원산지 표시 일제 점검을 실시한 결과 업체 373곳, 품목 410건을 적발했다고 16일 밝혔다. 단속 기간 원산지 표시를 위반한 품목은 배추김치가 99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돼지고기 59건, 두부류 44건, 닭고기 28건, 쇠고기 25건 순이었다. 적발된 업체 198곳은 형사입건(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벌금) 후 농관원의 자체 수사를 거쳐 검찰에 송치될 전망이다. 미표시한 업체 175곳은 과태료 3826만원이 부과됐다. 농관원은 이번 일제 점검에 특별사법경찰과 명예감시원을 투입해 제조·가공업체, 통신판매업체, 농축산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