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강달러에 1450원까지 치솟은 원·달러 환율···7개월 만에 최고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5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 지수, 환율이 표시돼 있다. 이준헌 기자 글로벌 달러 강세에 원·달러 환율이 5일 장중 1450원을 찍으면서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치솟았다. 외국인이 이틀 연속으로 국내 주식을 2조원 이상 순매도하고 한·미 관세협상 타결이 중장기적으로 볼 때 원화에 호재일지에 대한 의구심이 고개를 든 영향으로 풀이된다. 시장에선 연말 원·달러 환율이 1500원선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도 조심스레 나온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11.5원 오른 1449.4원으로 주간거래를 마쳤다. 지난 4월11일 1449.9원(주간 종가)을 기록한 이후 약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5.6원 높은 1443.5원으로 출발한 뒤 오름폭을 키워 오후 3시28분쯤 1450원을 찍었다. 장중 1450원 역시 지난 4월11일(고가 1457.2원)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환율은 지난달 29일 한·미 관세협상...
기사 본문
원·달러 환율 1440선 넘으며 '강달러' 우려 재현...환율 '공포' 재현 美 연준 금리인하 신중론에 달러 지수 100p 상회…'달러 독주 중' 엔화 약세에 日 구두개입…아시아 통화 줄줄이 흔들 대신證 "향후 3개월 환율, 달러당 1360~1480원" 전망 내놔 NH투자證 "당국 개입 경계 속 원화 추가 약세 제한" 전망 ◆…아시아 통화 전반이 흔들렸다. 일본에서는 엔·달러 환율이 152엔을 위협하자 금융당국이 '구두개입성' 발언이 나오는 진풍경까지 벌어졌다. 달러가 아시아 전역을 휩쓰는 '킹달러' 시대가 재차 도래할까 우려되고 있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원·달러 환율이 장중 1441원까지 치솟으며 2주 만에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미국 정책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며 달러 강세가 재개된 가운데 "추가 상승 여력은 제한적"이란 점과 "1450원이 심리적 경계선"이란 의견이 나오고 있다. 전날(4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장중 1441원까지 치솟았다....
기사 본문
환율, 한미 협상 타결 후 1419원까지 내린 뒤 반등 정부·기업 달러수요 ↑… 당국 시장개입 여력 제한 정부보증채, 재정부담 키울듯… 환율 상승 요인 美 연준 추가인하 ‘신중모드’에 달러마저 강세 한미 협상 타결로 관세 불확실성이 걷혔지만 원·달러 환율은 여전히 1400원을 훌쩍 넘기고 있다. “외환보유액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정부의 설명에도 달러 수요 증가와 향후 재정 부담에 대한 경계감이 시장 심리를 짓누르는 모습이다. 전문가들은 연말에도 환율이 1400원을 상회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5일 서울 외환시장에 따르면, 한미 협상 타결 소식이 전해진 지난 10월 29일 야간 거래에서 환율은 일시적으로 1419.6원까지 급락했으나, 이후 반등하며 1421원에 마감했다. 이후 환율은 상승세로 전환해 오름세를 이어갔으며, 지난 4일부터는 외국인의 국내 주식 대량 매도 영향으로 급등했다. 5일 오전 11시 5분 현재 1447.8원을 기록 중이다. 그래픽=정서희 시장에서는 당초 협상 타결로 ...
기사 본문
오늘은 뉴욕 증시보다 외환시장이 더 주목을 받았는데요. 한때 96대까지 떨어졌던 달러인덱스가 100대까지 올랐습니다. 가뜩이나 어제 원달러 환율이 1440원대로 오르자 외국인 자금이 2조원 이상 이탈하면서 코스피가 100p 넘게 급락했던 우리 입장에서는 이보다 중요한 것이 없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오늘은 외국인 자금이탈과 악순환 고리가 형성될 조짐을 보이는 원달러 환율 문제를 긴급 진단해 보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도움 말씀을 주기 위해서 한국경제신문사의 한상춘 논설위원 나와 계십니다. Q. 오늘 미국 증시 움직임은 특별히 주목됐는데요. 작년 이맘때 유행했던 트럼프트레이드가 끝나는 것이 아닌가는 시각이 나오고 있지 않습니까? - 2024년 11월 5일, 트럼프 대통령 재임에 성공 - red sweep, 트럼프 집권 2기는 꽃 길만 가나? - 트럼프 트레이드로 테슬라·코인·팔런티어 부상 - 2025년 11월 5일, IEEPA 근거 관세 위법 최종심 - 1심과 2심, 상호관세 부과 요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