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전남 등 4곳 분산에너지 특구 선정

2025년 11월 06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69개
수집 시간: 2025-11-06 01:36:27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한국경제TV 2025-11-05 17:21:08 oid: 215, aid: 0001229727
기사 본문

제주와 전남, 부산 강서구, 경기 의왕시 등 4곳이 '분산에너지 특구'가 된다. 분산에너지 특구 내 에너지 사업자는 한국전력과 별개로 전기 요금을 정해 전력을 판매할 수 있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에너지위원회를 열고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4곳을 선정했다고 5일 밝혔다. 전체 7곳 중 경북 포항시와 울산 미포산업단지와 충남 서산시 등 3곳이 탈락했다. 분산에너지는 에너지를 사용하는 공간·지역 또는 인근에서 생산하는 일정 규모 이하의 설비를 뜻한다. 재생에너지와 소형모듈원자로(SMR) 등을 포함한 설비용량 40MW(메가와트) 이하 모든 발전설비와 500MW 이하 집단에너지 발전설비 등이 해당한다. 분산에너지 특구는 에너지를 사용할 곳에서 에너지를 생산하는 이른바 '지산지소(地産地消)'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도입됐다. 해안의 대형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기를 대규모 송전망으로 수도권과 대도시들에 공급하는 현재 중앙집중 방식의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서다. 지방자치단체 입장에서는 분산에너지 특구가 되...

전체 기사 읽기

국민일보 2025-11-06 00:56:08 oid: 005, aid: 0001812602
기사 본문

전기 사고 파는 직거래 특례 적용 실시간 전력 수급 조절 VPP 대표적 전남해상풍력1단지 현장 사진. SK이노베이션 E&S 제공 제주시와 전라남도, 경기 의왕시, 부산 강서구가 제1호 분산 에너지 특구(분산 특구)로 5일 최종 선정됐다. 이들 지역은 앞으로 한국전력공사를 거치지 않고 발전사와 소비자가 직접 전기를 사고팔 수 있는 직거래 특례를 적용받는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이날 김성환 장관 주재로 제36차 에너지위원회를 열고 분산특구 후보지 7곳 중 4곳을 지정했다. 특구는 에너지를 쓰는 지역에서 직접 생산해 쓰는 체계를 만들기 위해 도입돼 올해 2월부터 지정 사업이 본격화됐다. 분산에너지는 사용하는 지역 근처에서 직접 생산하는 전기로 재생에너지, 소형모듈원자로(SMR) 등 40메가와트(㎿) 이하 규모의 발전설비 등이 포함된다. 이번에 지정된 지역들은 다양한 전기 요금제와 전력 신산업 실증이 가능한 제도적 기반을 갖추게 된다. 또 모두 ‘신산업 활성화형’으로 분류된 곳들로 분산에너지...

전체 기사 읽기

부산일보 2025-11-05 12:30:14 oid: 082, aid: 0001352198
기사 본문

EDC·명지지구·강서산단 일대 1511만 평 기후부 장관 주재 에너지위원회서 확정 특구내 대규모 500MWh 전력 저장 AI 기반 에너지 관리 효율화도 도모 부산, 연간 157억 원 전기요금 절감 개별기업 기준 최대 8% 수준 절전 첨단산업, 분산특구내 ESS 구독 서비스 설비투자비용 총 2500억 원 절감 기대 재생에너지 출력제한 해소로 연 44억 절감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5일 서울 용산구 그랜드 하얏트호텔에서 열린 '제36회 에너지위원회'에 참석해 회의에 앞서 기념 촬영하고 있다. 기후부 제공 부산 분산에너지특구(강서 스마트그리드) 개요 및 ESS Farm 소개. 부산시 제공 부산시가 전국 최초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분산특구)로 최종 확정됐다. 부산시가 ‘신산업활성화형’ 분산특구로 지정됨에 따라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 설치와 인공지능(AI) 기반 에너지 관리 효율화를 통해 에너지신산업 거점으로 도약할 전망이다. 정부는 5일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 주재로 제...

전체 기사 읽기

국제신문 2025-11-05 19:27:18 oid: 658, aid: 0000125067
기사 본문

부산형 분산특구 주요 내용 - 명지 일대 민자 2094억 원 투입 - 500㎿ 규모 ‘ESS 팜’ 조성 계획 - 심야 충전한 전력, 피크 때 활용 - 전기료 연간 157억 절감 예상 - 설비투자비 2500억 감소 기대 중앙(수도권) 집중형 전력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분산특구)에 부산이 최종 선정되면서 강서구 일대를 ‘부산형 분산특구’로 조성하려는 부산시 계획이 본궤도에 오르게 됐다. 그간 정부의 지정 절차가 수차례 지연돼 사업 불확실성이 높았지만 앞으로는 관계부처로부터 각종 지원을 받으면서 특구 조성에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 부산형 분산특구의 키워드는 ‘에너지저장장치(ESS)’다. 부산이 분산에너지 특화지역(분산특구)에 최종 선정되면서 강서구 일대를 ‘부산형 분산특구’로 조성하려는 부산시 계획이 본궤도에 오르게 됐다. 사진은 강서구 명지동 에너지저장장치팜(ESS Farm) 조성 예정 부지 전경. 이원준 기자 windstorm@kookje.co.kr...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