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은행 가계대출 증가폭 ‘반토막’…“10·15 대책은 지켜봐야”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은행 가계대출 잔액 1170.2조원…2.0조↑ 전세자금 수요 감소·부실채권 상각 영향 [연합뉴스]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 폭이 전월보다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6·27 대책 영향에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증가 폭이 감소했다. 전세자금도 수요 감소로 증가세가 둔화됐고 기타대출은 분기말 부실채권 상각 등 영향에 감소 전환했다. 다만 상반기 중 늘었던 주택거래가 시차를 두고 반영되면서 주택 구입 목적의 대출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9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1170조2000억원으로 한 달 새 2조원 증가했다. 이는 8월(4조1000억원)보다 증가 폭이 절반 수준으로 축소된 수치다. 가계대출 가운데 주담대는 2조5000억원 늘어 전월(3조8000억원)보다 증가 폭이 줄었다. 6·27 대책의 영향이 지속되는 가운데 계절적 요인으로 전세자금 대출 수요가 감소한 것이 주된 요인이다. 전세자금대출은 8월 4000억원 증...
기사 본문
증가 규모 4조→2조…계절적 요인도 영향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효과 살펴야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바라본 강남북 집합건물(아파트·다세대·연립·오피스텔) 모습.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김윤주 기자] 6·27 대출 규제 시행과 비(非)이사철 수요 감소 영향으로 지난 9월 은행 가계대출 증가폭이 2조원대로 줄었다. 비은행권을 포함한 전체 가계대출 증가규모도 1조원대에 그쳤다. 이에 더해 정부가 지난 10월 15일 내놓은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이 부동산 시장과 금융시장에 어떤 파급효과를 낼지도 주목된다.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170조2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8월 말보다 2조원 늘어난 수치다. 지난 6월 6조2000억원에 이르던 가계대출 증가폭은 6·27 대책 이후 7월 2조7000억원으로 줄었다가 8월 4조원대로 반등했지만, 9월에는 다시 절반 수준으로 축소됐다. 대출 종류별로는 전세자금...
기사 본문
6.27 대책 후 주담대 축소 영향 한국은행이 9월 은행권 가계대출 동향을 발표했다. /뉴시스 9월 은행권 가계대출이 1.1조원대 오르는 데 그치면서 6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주택담보대출은 늘었지만, 신용대출이 감소세로 전환한 영향이다. 1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9월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 가계대출은 2조원 늘어나 전월(4.1조원) 대비 증가 규모가 절반가량 감소했다. 지난해 같은 달(5.6조원)과 비교해도 둔화된 흐름이다. 주택담보대출은 2조5000억원 증가해 8월(3조8000억원)보다 증가 폭이 축소됐다. 한국은행은 "6·27 대책의 영향이 이어지는 가운데 계절적 요인으로 전세자금 수요가 줄면서 주담대 증가세가 완화됐다"고 설명했다. 실제 전세자금대출은 8월 4000억원 늘었지만 9월에는 2000억원 감소했다. 기타대출(신용대출·마이너스통장 등)도 5000억원 감소하며 두 달 만에 내리막길을 걸었다. 한은은 "신용대출 한도 축소 정책이 ...
기사 본문
은행권 증가 폭 4조서 2조로 한은 “계절적 요인도 영향… 10·15 대책, 효과 지켜봐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점 전경. [연합뉴스] 6·27 대출 규제 영향과 비(非)이사철 수요 감소 등으로 지난달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 폭이 감소했다.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8월 말보다 2조원 많은 1170조2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6월 6조2000억원에 이르던 가계대출 증가 폭은 6·27 대책 이후 7월 2조7000억원으로 줄었다가 8월 다시 4조원대로 반등했다. 그러나 9월에 다시 절반 수준으로 축소됐다. 대출 종류별로는 전세자금 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932조7000억원)이 2조5000억원 늘었고, 반대로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236조6000억원)은 5000억원 줄었다. 박민철 한은 시장총괄팀 차장은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6·27 대책 영향이 이어진 데다 7∼8월 이사철과 비교해 ...
기사 본문
수시입출식예금 35.5조원 늘어…정기예금 0.4조원 감소 9월 은행 가계대출 2조원 증가…주담대 2.5조원↑·기타대출 0.5조원↓ 기업대출 5.3조원 늘어…대기업 1.3조원·중소기업 4조원↑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2025년 9월중 금융시장 동향'에 의하면 9월말 예금은행의 수신 잔액은 2513조4000억원으로 9월중 31조9000억원 증가했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제공 9월중 은행 수신은 31조9000억원 늘며 두 달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수시입출식예금은 크게 늘어난 반면 정기예금은 감소 전환했다.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2025년 9월중 금융시장 동향'에 의하면 9월말 예금은행의 수신 잔액은 2513조4000억원으로 9월중 31조9000억원 증가했다. 수시입출식예금(8월 +18조1000억원→9월 +35조5000억원)은 분기말 재무비율 관리 등을 위한 법인자금 유입 등으로 증가폭이 크게 확대됐다. 반면 정기예금(+12조2000억원→-4000억원)은 지자체 재정집행, ...
기사 본문
6·27 대출 규제와 이사 수요 감소 등으로 지난달 은행 가계대출 증가 폭이 급감했습니다. 한국은행의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8월 말보다 2조 원 많은 1천170조2천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 6월 6조 원대였던 가계대출 증가폭이 6·27 규제 이후 2조 원대로 줄었다, 8월에 4조 1천억원으로 반등했지만 9월에 다시 절반 수준으로 축소된 겁니다. 대출 종류별로는 전세자금 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이 932조7천억 원으로 2조5천억 원 늘었고, 반대로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은 236조6천억 원으로 5천억 원 줄었습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공개한 가계대출 동향에서도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달 1조1천억 원 늘어나는 데 그쳤습니다.
기사 본문
9월 은행권 가계대출 1170.2조원...전월比 2조원↑ 6·27 대책으로 주택담보대출 증가폭 6개월래 최저 주택거래량 급감 영향...전세자금대출도 감소 전환 한은 “10·15 효과, 판단 어려워...좀 더 지켜봐야”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6·27 가계대출 규제가 시행 3개월 만에 가계대출 불씨를 꺼트렸다. 주택 거래량이 절반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규제 직전 6조원을 넘긴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액이 지난달 2조원까지 급감했다. 비은행권을 포함한 전체 가계대출 증가액도 1조원대로 떨어진 가운데, 정부가 지난 15일에 꺼내든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의 경우 부동산 시장 과열 진정 효과를 더 지켜봐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9월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폭, 2조원으로 ‘뚝’ 한국은행 제공.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2025년 9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1170조2000억원으로 전월보다 2조원 증가했다. 지난 2월(3조2000억원)과 ...
기사 본문
한은, 2025년 9월 금융시장 동향 발표 은행권 가계대출 2조↑…9월(+4.1조)의 절반 주담대 2.5조↑…전세자금대출 -0.2조로 감소 전환 "10·15 부동산 대책, 효과 지켜봐야" [서울=뉴시스] 김근수 기자 = 정부가 10·15 부동산 대책을 발표한 15일 오후 서울 남산에서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보이고 있다.정부가 6·27 대출 규제과 9·7공급대책에 이어 발표한 추가 대책은 기존 규제지역인 강남3구·용산구를 포함한 서울 25개 구 전역과 한강 이남의 경기도 12곳 등 총 27곳을 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토지거래허가구역 등 '삼중 규제지역'으로 묶고 금융규제까지 강화하는 내용이다. 2025.10.15. ks@newsis.com [서울=뉴시스]남주현 기자 = 9월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폭이 반토막 났다. 정부의 6·27 부동산 대책 효과와 계절적 요인으로 주택담보대출이 축소된 영향이다. 여기에 전세자금대출도 9개월 만에 감소 전환했다. 기업대출은 미국 관세 불확실성에 따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