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월 나라살림 적자 88.3조…역대 두번째 규모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총수입 35조·총지출 38.4조 증가 중앙정부 채무 잔액 1260.9조, 전월比 20.4조↑ 기획재정부 전경 (기획재정부 제공) 2020.11.23/뉴스1 (세종=뉴스1) 심서현 기자 = 올해 1~8월 나라살림 적자 규모가 88조 3000억 원을 기록해 역대 두 번째로 많았다. 기획재정부가 16일 발표한 '월간 재정동향 10월호'에 따르면, 1~8월 총수입은 431조 7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35조 원 늘었다. 이 중 국세 수입은 260조 8000억 원으로 1년 전보다 28조 6000억 원이 증가했다. 법인세가 17조 8000억 원, 소득세가 9조 6000억 원씩 각각 늘었다. 부가가치세는 1조 2000억 원 감소했다. 세외수입은 22조 8000억 원으로 2조 2000억 원 증가했고, 기금수입은 148조 1000억 원으로 4조 2000억 원 늘었다.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 대비 총수입 진도율은 67.2%로, 본예산 기준으로는 전년 동기보다 2.4%포인트(p) 높았고, 결산 ...
기사 본문
세종청사 기획재정부 건물 현판 이창준 기자 정부의 실질적 재정 상태를 나타내는 관리재정수지 적자 폭이 올해 8월 말 기준 88조원을 넘어섰다. 코로나19 팬데믹 당시인 2020년 이후 역대 두 번째로 많은 수준이다. 기획재정부가 16일 발표한 ‘월간 재정동향 10월호’를 보면 지난 8월 말 기준 총수입은 431조7000억원으로 전년대비 35조원 늘었다. 국세수입이 1년 전보다 28조6000억원 늘어난 영향이 크다. 기업실적 개선으로 법인세가 1년 전보다 17조8000억원 증가했다. 성과급 지급 확대, 해외 주식 호조 등의 영향으로 소득세도 1년 전보다 9조6000억원 더 걷혔다. 부가가치세는 1년 전보다 1조2000억원 줄었다. 세외수입(22조8000억원)과 기금수입(148조1000억원)도 각각 1년 전보다 2조2000억원, 4조2000억원 늘었다. 총수입 진도율은 67.2%로 전년대비 결산 기준 0.5%포인트 높다. 총지출은 1년 전보다 38조4000억원 늘어난 485조400...
기사 본문
기재부 8월말 기준 재정동향 발표 관리재정수지 88조3000억 적자 코로나 추경 2020년 이어 두번째 나랏빚은 1260조원, 계속 불어나 李정부 역대급 재정지출 확장 기조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올해 나라살림 적자가 90조원에 육박했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적자국채를 대거 발행했던 2020년 이후 역대 두 번째로 많은 규모다. 13조원 규모의 소비쿠폰 등 두 차례 추가경정예산(추경)으로 확장재정을 지속하면서 적자국채 발행이 늘어난 이유다. 나랏빚(중앙정부 채무)도 1260조원으로 늘었다. 저출생 고령화와 경기침체 등에 따른 의무지출이 크게 늘어날 수밖에 없어 정부의 재정운영 부담과 나라재정 건전성에 경고음도 커지고 있다. 16일 기획재정부는 정부 재정 상태를 실질적으로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가 8월말 기준 88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84조2000억원 적자)과 비교하면 4조1000억원 늘었다.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53조7000억원 적자를...
기사 본문
ⓒ연합뉴스 정부의 실질적인 재정 상태를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 적자 폭이 올해 8월 말 기준 88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월간 재정동향 10월호'에 따르면 8월 말 기준 총수입은 431조7천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35조원 늘었다. 국세수입은 260조8천원으로 지난해보다 28조6천억원 더 걷혔다. 작년까지 부진을 거듭했던 기업실적이 개선되면서 법인세가 17조8천억원 늘었다. 소득세가 9조6천억원 증가했으나 부가세는 1조2,천억원 줄었다. 세외수입은 2조2천억원 늘어난 22조8천억원, 기금수입은 4조2천억원 늘어난 148조1천억원이었다. 8월까지 총지출은 485조4천억원으로 집계됐다. 2차 추가경정예산 대비 지출 진도율은 69.0%다.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53조7천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통합재정수지에서 국민연금 등 4대 보장성 기금을 차감한 관리재정수지는 88조3천억원 적자였다. 2020년 96조원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많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