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페이백’ 9월분 받으셨나요?···415만명에 2414억 환급 ‘1인당 평균 5만8000원’

2025년 10월 16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22개
수집 시간: 2025-10-16 14:58:46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12개

경향신문 2025-10-16 14:01:00 oid: 032, aid: 0003402434
기사 본문

중소벤처기업부는 ‘상생페이백’ 9월분을 415만 명에게 2414억원 지급했다고 16일 밝혔다. 상생페이백은 만 19세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9∼11월 월별 카드 소비액이 지난해 월평균 소비액보다 늘면 증가분의 20%(월 최대 10만원)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 주는 사업이다. 지난달 15일부터 접수를 시작해 이달 14일까지 1058만 명이 신청했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신청 비중이 570만 명으로 54%를 차지했다. 수도권 외 지역에서는 부산(6.4%), 경남(6.0%) 순으로 신청이 많았다. 연령별로는 30대가 25.4%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이 40대(24.8%), 50대(19.6%) 등의 순이었다. 지난 9일까지 페이백 신청을 완료한 국민 중 지난해 월평균 카드 소비액보다 지난달 소비액이 증가해 지급 대상이 된 국민은 전체 신청자의 41% 수준인 415만 명으로 집계됐다. 이들에게는 지난 15일 2414억원 페이백이 지급됐다. 1인당 평균 지급액은...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TV 2025-10-16 14:03:11 oid: 422, aid: 0000791496
기사 본문

[중기부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달 415만명에게 상생페이백 2,414억원을 지급했다고 밝혔습니다. 상생페이백은 9∼11월 월별 카드소비액이 지난해 월평균 소비액보다 늘면 증가분의 20%(월 최대 10만원)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 주는 사업으로, 접수를 시작한 지난달 15일부터 한 달간 1,058만명이 신청했습니다.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신청 비중이 570만명으로 54%를 차지했으며 연령별로는 30대가 25.4%로 가장 많았습니다. 지난 9일까지 신청을 완료한 국민 중 지난해 월평균 카드 소비액보다 지난 달 소비액이 증가해 페이백 대상이 된 국민은 415만명으로 확인됐습니다. 대상자에게는 어제(15일) 2,414억원의 페이백이 지급됐는데, 1인당 평균 지급액은 약 5만8,155원입니다. 페이백은 백화점·아웃렛, 대형마트,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의 카드 소비액을 제외하고 작년 대비 카드 소비 증가분의 20%를 환급한 금액입니다. 중기부는 지급액의 5...

전체 기사 읽기

전자신문 2025-10-16 14:14:10 oid: 030, aid: 0003359644
기사 본문

중소벤처기업부는 16일 상생페이백 접수 한 달간 총 1058만명이 신청했으며, 9월분 페이백으로 총 2,414억원을 지급했다고 밝혔다. 상생페이백은 만 19세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9월부터 11월까지 월별 카드소비액이 지난해 월평균보다 늘어난 경우, 증가분의 20%(월 최대 10만원)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 주는 소비진작형 민생지원 사업이다. 지난 9월 15일부터 10월 14일까지 한 달 동안 1058만명이 신청했으며, 이 가운데 지난해 월평균 카드소비액보다 9월 소비가 증가한 국민은 총 415만명(신청자의 41%)으로 집계됐다. 이들에게는 15일 기준 총 2,414억원이 지급됐으며, 1인당 평균 환급액은 약 5만8000원이다. 지역별 신청 비중은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이 54%(570만명)로 가장 높았고, 부산(6.4%), 경남(6.0%)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30대가 25.4%, 40대 24.8%, 50대 19.6%로 비교적 소비활동이 활발한 세대가 주를 이뤘...

전체 기사 읽기

서울경제 2025-10-16 14:11:08 oid: 011, aid: 0004544045
기사 본문

해당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 뉴스1 [서울경제] 월 최대 10만원씩, 3개월간 많게는 30만원을 환급해주는 ‘상생페이백’ 지급이 시작됐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15일부터 상생페이백 지급이 본격 개시됐다. 상생페이백은 중소·소상공인이 운영하는 매장에서 사용한 신용카드 결제액이 지난해보다 늘었을 경우, 증가분의 20%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주는 제도다. 예를 들어 지난해 월평균 카드 소비가 100만원이고 올해 10월 소비가 140만원이라면, 증가액 40만원의 20%인 8만원을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돌려받게 된다. 개인별로 월 최대 10만원, 3개월간 최대 30만원까지 환급받을 수 있다. 지급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5년간 전통시장과 상점가 등 약 13만개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가맹점 정보는 ‘디지털온누리’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상품권 수령을 위해서는 해당 앱을 설치해야 한다. 9월 사용분에 대한 페이백은 15일부터 순차적으로 지급되고 있으며 10월과 1...

전체 기사 읽기

매일경제 2025-10-16 15:03:10 oid: 009, aid: 0005573970
기사 본문

작년보다 월 평균 카드 소비액 많으면 증가분의 20% 디지털온누리상품권 환급 인당 환급액 약 5만8100원···11월까지 신청 중소벤처기업부는 상생페이백 제도 시행 한달 간 1058만명의 신청자가 몰렸다고 16일 밝혔다. <중기부> 중소벤처기업부가 올해 신설한 상생페이백 제도에 한 달간 1058만명이 신청한 것으로 집계됐다. 작년보다 올해 신용카드 소비액이 늘어난 사람에게 최대 10만원을 현금처럼 쓸 수 있는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하는 제도에 신청자가 쇄도했다. 16일 중기부에 따르면 지난달 15일부터 이달 14일까지 한달간 상생페이백 접수에 약 1058만명이 신청했다. 지난 9일까지 신청을 마친 국민 중 지난해 월평균 카드소비액보다 올해 9월 소비액이 증가해 환급 기준을 충족한 사람은 신청자의 41%인 415만명이었다. 이들에게는 지난 15일 총 2414억원이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지급됐다. 1인당 평균 지급액은 약 5만8155원이다. 중기부는 백화점과 아울렛, 대형마트, 온라인 ...

전체 기사 읽기

노컷뉴스 2025-10-16 13:35:08 oid: 079, aid: 0004075738
기사 본문

1인당 평균 5만 8천 원 환급…중기부 "상생페이백으로 1조 2천억 원 소비 진작 효과" 연합뉴스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 9월분 '상생페이백'으로, 415만 명에게 총 2414억 원을 지난 15일 지급했다"고 16일 밝혔다. 1인당 평균 지급액은 5만 8155원이다. 상생페이백은 만 19세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지난 9월부터 다음 달까지 석 달간 월별 카드 소비액이 지난해 월평균보다 늘면 증가분의 20%(월 최대 10만 원)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하는 사업이다. 지급 완료된 페이백 2414억 원은 백화점·아울렛, 대형마트,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 카드 소비액을 제외한 지난해 대비 증가분의 20%를 환급한 액수다. "따라서 페이백 지급액의 5배인 1조 2천억여 원의 소비 진작 효과가 발생해 중소·소상공인 및 전통시장 매출 증가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중기부는 설명했다. 한편, 지난달 15일부터 접수를 시작한 상생페이백은 지난 14일까지 접수 한 달간 약 1058만 명이 신청...

전체 기사 읽기

SBS Biz 2025-10-16 12:00:23 oid: 374, aid: 0000468787
기사 본문

415만명에 2414억 환급 '1인당 평균 5만8000원' 지난해 보다 카드를 더쓰면 증가분의 일부를 돌려주는 상생페이백 제도에 접수한달 동안 총 1천 57만 9937명이 신청하고, 9월 페이백 지급 대상자 415만명에게 1인당 평균 5만 8천원이 환급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상생페이백 접수 한 달간 총 1천 58만명이 신청하고, 9월 페이백으로 총 2천 414억원을 지급했다고 오늘(16일)밝혔습니다. 상생페이백은 만 19세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9월부터 11월까지 월별 카드소비액이 작년 월 평균 소비액보다 늘면 증가분의 20%(월 최대 10만원)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 주는 사업입니다. 접수 한 달(9.15~10.14) 동안 약 1천 58만명 신청했는데, 지역별로는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신청 비중이 54%(570만), 수도권 외 지역에서는 부산(6.4%), 경남(6.0%) 순으로 신청이 많았습니다. 연령별로는 30대가 25.4%, 40대 24.8%, 5...

전체 기사 읽기

이데일리 2025-10-16 12:50:17 oid: 018, aid: 0006139425
기사 본문

상생페이백, 지난 15일부터 지급 시작 1달간 1058명 신청, 대상자 415만명 "생각보다 많이 받았다" 환급금 인증에 "디지털온누리 깔고 사용처 확인" 안내도 [이데일리 이재은 기자] 상생페이백이 지난 15일부터 지급되기 시작한 가운데 온라인 공간에서 환급 금액을 인증하거나 사용처를 공유하는 등 누리꾼들의 후기가 올라오고 있다. 상생페이백은 9~11월 월별 카드소비액이 지난해 월평균 소비액보다 늘었을 경우 증가분의 20%(월 최대 10만원)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 주는 사업이다.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 없음. (사진=연합뉴스) 16일 각종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누리꾼들이 자신의 상생페이백 환급 금액을 캡처한 사진이나 온오프라인 사용처를 공유하는 등 게시물이 연달아 업로드되고 있다. 이날 12시까지 X(엑스·구 트위터)에 올라온 상생페이백 관련 게시물은 50개를 넘어선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은 게시물에서 “기대도 안 했는데 돌려받았다”, “생각보다 많이 ...

전체 기사 읽기

MBN 2025-10-16 16:44:10 oid: 057, aid: 0001913504
기사 본문

사진=상생페이백 홈페이지 캡처 중소벤처기업부는 '상생페이백' 9월분을 415만 명에게 2414억 원 지급했다고 오늘(16일) 밝혔습니다. 상생페이백은 만 19세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9월부터 11월까지 월별 카드 소비액이 지난해 월평균보다 증가할 경우, 그 증가분의 20%(월 최대 10만 원)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주는 제도입니다. 지난달 15일부터 접수를 시작해 이달 14일까지 1058만명이 신청했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신청 비중이 570만명으로 54%를 차지했으며, 수도권 외 지역에서는 부산(6.4%), 경남(6.0%) 등 순으로 신청이 많았습니다. 연령별로는 30대가 25.4%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40대(24.8%), 50대(19.6%)등 입니다. 지난 9일까지 상생페이백 신청을 완료한 국민 중 지난해 월평균 카드 소비액보다 지난달 소비액이 증가해 지급 대상이 된 국민은 전체 신청자의 41% 수준인 415만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들에게...

전체 기사 읽기

한국경제TV 2025-10-16 17:16:57 oid: 215, aid: 0001227287
기사 본문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달 415만명에게 상생페이백 2,414억원을 지급했다고 밝혔다. 상생페이백은 9~11월 월별 카드소비액이 지난해 월평균 소비액보다 늘면 증가분의 20%(월 최대 10만원)를 디지털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 주는 사업이다. 접수를 시작한 지난달 15일부터 한 달간 1,058만명이 신청했다. 9일까지 신청을 완료한 국민 중 지난해 월평균 카드 소비액보다 지난 달 소비액이 증가해 페이백 대상이 된 국민은 415만명으로 확인됐다. 지급 완료된 페이백 2,414억원은 백화점·아울렛, 대형마트,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 카드 소비액을 제외한 지난해 대비 증가분의 20%를 환급한 액수다. 1인당 평균 지급액은 5만8,155원으로 신청 국민 중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신청 비중이 570만명(54%)을 차지했다. 연령별로는 30대가 25.4%로 가장 많았다. 중기부는 상생페이백 지급액의 약 5배인 1조2,070억원의 소비 진작 효과가 발생해 중소·소상공인 및 전통시장 매출 증가에 기여...

전체 기사 읽기

한경비즈니스 2025-10-16 17:00:09 oid: 050, aid: 0000097296
기사 본문

서울 시내 전통시장에 붙어있는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팻말. 사진=연합뉴스 중소벤체기업부는 ‘상생소비지원금(상생페이백)’제도 신청자가 접수 한 달만에 1058만 명에 달했으며 이중 415만 명이 9월분 페이백을 지급 받았다고 16일 밝혔다. 페이백 지급 대상자에게는 총 2414억 원이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형태로 환급됐으며 1인당 평균 8155원이 돌아갔다. 상생페이백은 만 19세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9~11월까지 월별 카드소비액이 전년도 월평균보다 증가한 경우 증가분의 20%(월 최대 10만원)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 주는 사업이다. 단 백화점·대형마트·온라인쇼핑·명품·유흥업소 등은 실적에서 제외된다. 온라인 결제도 제외되지만 배달앱 현장결제는 인정된다. 세금·공과금·현금결제·계좌이제 등은 해당 되지 않는다. 중소벤처기업부 제공 지역분포를 보면 수도권(서울. 경기.인천)이 54%, 비수도권에서는 부산(6.4%), 경남(6.0%) 순으로 많았다. 연령별로는 30대가 25.4%...

전체 기사 읽기

문화일보 2025-10-16 16:34:17 oid: 021, aid: 0002743097
기사 본문

지난 7월 27일 서울 동대문구 제기동 청량리종합시장의 모습. 곽성호기자 카드를 지난해보다 많이 쓰면 증가분의 일부를 환급해 주는 ‘상생페이백’ 으로 415만 명(9월 분)이 2414억 원을 환급받게 됐다. 16일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달 상생페이백에 1058만 명이 신청해 이 중 해당자인 415만명에게 평균 5만8155원 씩 지급했다고 밝혔다. 상생페이백 올 9∼11월 월별 카드소비액이 지난해 월평균 소비액보다 늘면 증가분의 20%(월 최대 10만 원)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 주는 사업이다. 3개월 모두 지난해보다 소비가 늘었다면 최대 30만 원을 환급받을 수 있다. 신청자는 수도권(서울·경기·인천) 비중이 570만명으로 54%를 차지했고, 연령별로는 30대가 25.4%로 가장 많았다. 중기부는 지급액의 5배인 약 1조2070억 원의 소비 진작 효과가 발생해 중소·소상공인 및 전통시장 매출 증가에 기여했다고 판단했다. 지난 10일 이후 페이백 신청자 중에서 9월 소비 증가분...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