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 2.8% 오르는 동안 의식주 물가 4.6% 올라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한경협 '민생물가 상승 요 인 분석 및 대책' 보고서 최근 5년간 의식주 연평균 4.6%↑…관리비 상승 탓에 주거비 5.5%↑ 전용 84㎡ 아파트 기준 18만원→25만원 서울 마포구 하늘공원에서 바라본 아파트 모습. 황진환 기자 최근 5년 동안 주거 등 의식주 물가가 연평균 4.6% 올랐다는 조사가 나왔다.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연평균 2.8%)보다 1.8%p 높은 결과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16일 한성대학교 김상봉 교수에게 의뢰한 '민생물가 상승 요인 분석 및 대책' 보고서를 내고 이같이 밝혔다. 의식주 항목 분석 결과 주거 물가가 연평균 5.5% 오르는 등 가장 크게 상승했다. 구체적으로는 △전기·가스 및 기타연료(연평균 7.0%) △수도·주거 관련 서비스(4.3%) △주거시설 유지·보수(4.0%)로 나타났다. 코로나19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2021~2022년 천연가스 가격이 치솟았고 환율도 상승한 탓이다. 관리비 상승폭도 컸다. 인건비와 전기요금 인상...
기사 본문
전체 물가 상승률보다 높아 주거 5.5%로 상승세 가장 커 식재료비 올라 외식 물가도 상승 "의식주 분야별 대책 마련해야" 최근 5년간 전기요금, 장바구니, 아파트 관리비 등 의식주 물가가 급등하면서 실제 물가상승률보다 체감 물가 부담이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는 16일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에게 의뢰한 '민생물가 상승 요인 분석 및 대책' 보고서를 통해 최근 5년간(2019~2024년) 의식주 물가 연평균 상승률이 4.6%로, 전체 물가(2.8%) 대비 1.8%포인트 높았다고 밝혔다. 한경협은 "민생과 직결된 의식주 물가의 가파른 상승으로 서민들의 체감물가 부담이 컸을 것"이라며 민생물가 안정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의식주 항목 중 가장 높은 상승세를 보인 것은 주거 물가였다. 최근 5년간 주거 물가는 연평균 5.5% 올라 전체 물가 상승률을 크게 웃돌았다. 세부적으로는 ▲전기·가스 및 기타연료(7.0%) ▲수도·주거 관련 서비스(4.3%...
기사 본문
한경협 '민생물가 상승 요인 분석·대책' 보고서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김상봉 한성대 교수에게 의뢰한 '민생물가 상승 요인 분석·대책' 보고서를 통해 최근 5년간 의식주 물가가 전체 소비자 물가보다 빠르게 올랐다며 민생물가 안정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16일 밝혔다. /이새롬 기자 최근 5년간(2019~2024) 의식주 물가가 전체 소비자 물가보다 빠르게 올라 실제물가와 체감물가 사이 괴리가 커졌다며 민생물가 안정을 위한 근본 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김상봉 한성대 교수에게 의뢰한 '민생물가 상승 요인 분석·대책' 보고서를 통해 최근 5년간 의식주 물가가 전체 소비자 물가보다 빠르게 올랐다며 민생물가 안정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16일 밝혔다. 보고서에서 최근 5년간 소비자물가지수 중분류 항목 중 상승률 상위 15개를 바탕으로 민생과 직결된 의식주 항목을 분석한 결과, 주거 물가가 연평균 5.5% 오르며 가장 크게 올랐다. 주...
기사 본문
■ 한경협, 최근 5년 물가 분석 가스 등 주거는 연평균 5.5%↑ 식생활 4.6%·의류 2.9% 올라 국제 에너지값 상승 등이 원인 최근 5년간 전기요금과 아파트 관리비, 식료품, 의류 등 의식주 물가가 연평균 4.6% 오르면서 전체 소비자 물가 상승률(2.8%)을 크게 뛰어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민생과 직결된 의식주 물가의 가파른 상승으로 서민의 체감 물가부담이 더 커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김상봉 한성대 교수에게 의뢰한 ‘민생물가 상승 요인 분석 및 대책’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민생물가 안정을 위한 근본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2019∼2024년 소비자물가지수 중분류 항목 중 의식주와 관련되고, 상승률이 높은 항목을 중점적으로 분석했다. 의식주 물가 중에서 전기·가스·수도 요금 등 주거 물가 상승률(연평균 5.5%)이 가장 가팔랐다. 이를 구성하는 세부항목 중에선 전기·가스 비용 등이 7.0%의 상승률로 가장 높았고, 수도 및 주거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