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코스닥 시총 격차 최근 10년 새 최대…외국인 코스닥으로 갈아타나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코스피가 5거래일 만에 하락 마감한 4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 지수가 전 거래일 대비 100.13포인트(2.37%)하락한 4,121.74을 나타내고 있다. 이날 원달러환율은 전 거래일대비 9.90원(0.69%)상승한 1,438.70원에, 코스닥은 12.02포인트(1.31%)상승한 926.57에 거래를 마쳤다./뉴스1 유가증권 시장(코스피)과 코스닥 시장의 시가총액 격차가 최근 10년 새 최대 수준으로 벌어졌다. ‘반도체 대장주’ 랠리로 코스피 중심의 상승세가 가속화된 반면, 코스닥은 상대적으로 부진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증권가에선 “연말로 갈수록 종목 위주 장세로 전환이 이뤄지며 코스닥이 반등할 수 있다”는 기대 섞인 전망도 나온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3일 기준 코스피 전체 시총은 3477조461억원으로, 코스닥(483조2354억원)의 7.2배에 달했다. 코스닥 시장 개설(1996년 7월) 초기 이후 올해 초만 해도 코스피 시...
기사 본문
코스닥, 외국인 매수세 힘입어 920선 회복 외국인 최근 5일 연속 코스닥서 순매수 코스피 대비 상대적 부진 만회할 수 있을지 주목 코스피가 사상 최고치 행진을 이어가며 역대급 랠리를 펼치고 있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뒤처졌던 코스닥이 이달 들어 달라진 모습을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특히 외국인이 최근 유가증권시장에서 코스닥시장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코스닥 강세에 힘을 실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게티이미지 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닥은 전일 1.31% 오른 926.57로 마감했다. 코스피가 2% 넘게 하락한 것과 대비된다. 코스닥이 종가 기준으로 920선에 올라선 것은 2023년 9월 이후 처음이다. 올들어 코스피가 역대급 상승 랠리를 지속했지만 코스닥은 상대적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코스피가 연초 대비 71.78% 상승하는 동안 코스닥은 36.62% 상승했다. 이에 코스피와 코스닥의 격차는 사상 최고 수준으로 벌어졌다. 코스피가 처음으로 4200선을 돌파했던 지난 3일 코...
기사 본문
코스피·코스닥 상승 격차 36.9%p…2000년 이후 최대 수준 150조 규모 국민성장펀드 출범…코스닥150 지수 구성과 비슷 ⓒ News1 김초희 디자이너 (서울=뉴스1) 손엄지 기자 = 코스피가 단기 조정 국면에 접어든 가운데 외국인 투자자들이 코스피를 팔고 코스닥을 사들이는 흐름이 뚜렷해지고 있다. '11월은 코스닥의 계절'이라는 통계적 특성이 올해도 재현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외국인은 이날 하루 코스피 시장에서 2조 5000억 원이 넘는 순매도를 기록했다. 지난 9~10월 내내 순매수세를 유지하던 외국인이 11월 들어 매도세로 급격히 전환했다. 이달 들어 가장 많이 팔아치운 종목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로, 사상 최고가 수준으로 치솟은 종목에서 차익 실현이 집중됐다. 반면 코스닥 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의 순매수가 나타났다. 이날 외국인이 국내 증시에서 가장 많이 순매수한 종목은 알테오젠(196170),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다....
기사 본문
코스피↓·코스닥↑…수급 엇갈린 양대 시장 중소형주로 수급 이동, '키 맞추기' 기대감 확산 [서울=뉴시스] 박주성 기자 = 4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업무를 하고 있다.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914.55)보다 12.02포인트(1.31%) 상승한 926.57에 거래를 종료했다. 2025.11.04. park7691@newsis.com [서울=뉴시스] 배요한 기자 =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이 뚜렷하게 다른 흐름을 보이면서 중소형주 순환매에 대한 기대가 고조되고 있다. 대형주 중심 랠리에 대한 피로감이 누적되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덜 오른 코스닥을 중심으로 '키 맞추기' 장세가 나올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던 코스피는 2.37% 하락한 반면, 코스닥지수는 1.31% 상승하며 극명하게 엇갈린 흐름을 나타냈다. 코스피 시장에선 시가총액 상위 대형주들의 부진이 두드러졌다. 삼성전자(-5.58%), SK하이닉스(-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