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물가 2.4% 상승, 15개월 만에 최고치…“쿠폰보다 연휴·기후탓”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외식 외 개인서비스 3.6% 올라…농산물·석유류 제외 지수 1년8개월 만에 최고 추경발 인플레 가능성엔…정부 "소비쿠폰 특별히 영향 없어" 10월 소비자물가 2.4%, 돼지고기 6.1%↑ (서울=연합뉴스) 임화영 기자 =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4%를 기록하며 1년 3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가데이터처가 4일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 물가지수는 117.42(2020년=100)으로 1년 전보다 2.4% 올랐다. 지난해 7월(2.6%) 이후 가장 높다. 농축수산물 물가가 3.1% 뛰며 전체 물가를 0.25%포인트(p) 끌어올렸다. 이중 축산물은 5.3%, 수산물은 5.9% 올랐다. 특히 돼지고기(6.1%), 고등어(11.0%)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사진은 4일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에서 직원이 돼지고기를 진열하는 모습. 2025.11.4 hwayoung7@yna.co.kr (세종=연합뉴스) 이대희 안채원 기자 =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기사 본문
국가데이터처, 10월 소비자물가동향…작년 7월 이후 최고 농축수산물(3.1%), 가공식품(3.5%), 외식(3.0%) 고공행진 환율 영향에 석유류 4.8% 상승…경유 8.2%·휘발유 4.5%↑ 초장기 연휴에 해외단체여행비 12.2%·콘도이용료 26.3%↑ 근원물가 상승률 2.2%…2024년 7월 이후 최고치 정부 "향후 기상여건 등 불확실성…체감물가 안정 총력" [서울=뉴시스] 권창회 기자 = 2일 서울 시내 한 주유소에 유가정보가 게시되어 있다. 2025.11.02. kch0523@newsis.com [세종=뉴시스] 안호균 박광온 기자 = 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작년 7월(2.6%) 이후 최고이자 올 들어 가장 높은 2.4%를 기록했다. 먹거리 가격이 고공행진을 지속했고, 환율 상승과 단계적 유류세 인하 축소 등 영향으로 석유류 가격이 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4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7.42(2020=...
기사 본문
국가데이터처, 10월 물가동향 발표 정부 "소비쿠폰 특별히 영향 없어" 쌀 21.6% 급등···6년 9개월 만에 최대 상승 찹쌀 45.5% 상승···사과 21.6% 올라 외식 제외 서비스 가격 3.6% 급등···장기 추석 연휴 영향 한은 "연말·연초 2% 내외로 안정" 사진은 4일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고등어. 연합뉴스. [서울경제] 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4%를 기록하며 지난해 7월(2.6%) 이후 1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체감물가를 좌우하는 외식·교통 등 개인서비스 가격 상승세가 이어진 데다 국제유가와 원·달러 환율 상승 영향으로 석유류 가격도 오르면서 전체 물가를 크게 끌어올렸다. 특히 이례적인 잦은 비로 농산물 출하가 지연되면서 농산물 가격이 크게 오른 점도 물가 상승에 기여해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하는 정부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4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가 발표한 ‘2025년 10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
기사 본문
쌀 21.3%, 찹쌀 45.5% '폭등'… 현미는 2017년 집계 이래 최고 10월 물가 2.4%↑, 1년3개월래 최고…긴 연휴에 개인서비스 '들썩' 4일 오후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고객들. 2025.11.4/뉴스1 ⓒ News1 오대일 기자 (세종=뉴스1) 전민 기자 = 밥상물가 상승을 주도했던 채소 가격이 안정세를 찾는 반면, 곡물 가격 상승률이 약 7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치솟으며 장바구니 물가를 위협하고 있다. 4일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10월 곡물가격지수는 124.61(2020년=100)로 전년 동월 대비 21.8% 상승했다. 이는 2018년 12월(22.3%) 이후 82개월(6년 10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쌀 21.3%·현미 28.8%↑…먹거리 물가 불안 계속 곡물 중에서도 특히 주식인 쌀 가격이 21.3% 급등했다. 이는 2019년 1월(21.8%) 이후 6년 9개월 만의 최고 상승률이다. 현미도 28.8% 올라 물가 집계에 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