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휴직·출산 1년 이내인 부부, 어린이 보험금 깎고, 보험금 납부 유예해준다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정부·보험업계 ‘저출산 극복 지원 3종 세트’ 발표 내년 4월부터 육아휴직 중이거나 출산한 지 1년이 되지 않은 부부라면 어린이 보험료를 할인받을 수 있게 된다. 또 보험금 납부도 최대 1년까지 이자를 물지 않고 유예할 수 있게 된다. 16일 이억원 금융위원장과 국내 보험사 20곳 최고경영자(CEO)는 간담회를 갖고 육아 가정의 소득 감소로 발생하는 보험료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보험업권 ‘저출산 극복 지원 3종 세트’를 발표했다. 지원 내용은 ➊어린이 보험 보험료 할인, ➋보험료 납입 유예, ➌보험계약대출 상환 유예 등 크게 세 가지다. 지원 대상은 보험계약자 본인 또는 배우자가 출산한 경우 출산일로부터 1년 이내이거나, 육아휴직 기간 중인 경우에 해당한다. 어린이보험 보험료 할인 기간은 최소 1년 이상으로, 할인율은 보험회사가 자율로 결정한다. 연 보험료가 9조4000억원에 달하는 국내 모든 어린이보험이 대상이다. 육아휴직한 계약자는 모든 자녀에 대해 제한 없...
기사 본문
손해율 계리가정·기본자본비율 규제 개혁 의지 생산적 금융 정책지원 차원서 위험계수 정비 시사 보험업계 "건전성 규제 관련 연착륙 지원 요구" [이데일리 김형일 기자]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보험사 최고경영자(CEO)과의 간담회에서 “건전성 규제 틀을 바꿔 나가겠다”고 언급하며 규제 개혁 의지를 드러냈다. 이를 위해 손해율 등 계리가정을 구체화해 지급여력비율(K-ICS)의 비교 가능성을 높이고, 연내 기본자본 비율 규제 방안을 마련해 자본의 질을 끌어올리는 복안도 내놨다. 16일 서울 중구 손해보험협회에서 진행된 보험사 CEO 간담회에서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16일 이 위원장은 서울 중구 손해보험협회에서 진행된 보험사 CEO 간담회에서 김철주 생명보험협회장, 이병래 손해보험협회장, 20개 보험사 CEO와 함께 건전성 관리와 생산적 금융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이 위원장은 “보험업은 건전성에 기반한 신뢰 금융과 생산적 금융 간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수 있다”며 ...
기사 본문
금융위원장-보험회사 CEO 간담회. 금융위원회 제공 보험업권과 금융당국이 어린이보험료 할인, 보험료 납입유예, 계약대출 상환유예를 포함한 '저출산 지원 3종 세트'를 내년 4월 도입한다. 연 1200억원의 소비자 부담 완화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16일 손해보험협회에서 20개 보험사 CEO와 간담회를 열어 이같은 방안을 발표했다. '저출산 지원 3종 세트'는 고령층을 대상으로 하는 사망보험금 유동화, 소상공인 특화의 지방자치단체 상생 상품에 이어 보험업계의 세 번째 국민 체감형 지원 상품이다. 어린이보험 보험료 할인은 출산이나 육아휴직시 보험료를 최소 1년 이상 할인 받을 수 있다. 연 보험료 9조4천억원에 달하는 전체 어린이보험이 대상으로 할인기간과 할인율은 보험사가 자율 결정한다. 다만, 출산의 경우 피보험자 출산 사유로 할인은 제외되며 형제·자매 출산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둘째 출산시, 첫째 어린이보험은 할인 가능하지만 둘째 어린이 보험은 할인이 되지...
기사 본문
금융위·보험업계, 내년 4월 도입…연1천200억 부담 완화 보험사 최종관찰만기 확대 2035년까지 추진…듀레이션 규제 도입 금융위, 보험회사 CEO 간담회 개최 (서울=연합뉴스) 이재희 기자 = 16일 서울 종로구 손해보험협회에서 열린 '금융위원장-보험회사 CEO 간담회'에서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2025.10.16 scape@yna.co.kr (서울=연합뉴스) 임수정 기자 = 보험업권과 금융당국이 어린이보험료 할인, 납입유예, 대출 상환유예를 포함한 '저출산 지원 3종 세트'를 내년 4월 도입한다. 출산·육아 가정의 보험료 부담을 덜어주는 이번 조치로 연간 약 1천200억원의 소비자 부담 완화 효과가 기대된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16일 서울 종로구 손해보험협회에서 보험사 최고경영자(CEO)들과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상생 방안을 발표했다. '저출산 지원 3종 세트'는 사망보험금 유동화, 지방자치단체 상생 상품에 이어 보험업계가 추진하는 세 번째 국민 체감형 지원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