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외환보유액 다섯달째 증가…홍콩 제치고 9위로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연합뉴스 지난달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이 68억달러 늘어 다섯달째 증가했다. 외환보유액 규모가 홍콩을 제치고 세계 9위로 올라섰다. 5일 한국은행 집계를 보면, 10월 말 기준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4288억2천만달러로 전달 말(4288억2천만달러) 대비 68억달러 늘었다. 외환보유액은 지난 5월 말(4046억달러) 5년여 만에 최소 수준까지 줄었는데 6월 이후 다섯달째 증가했다. 한은은 “10월 중 외화 운용 수익이 늘었고 외화 외평채를 신규 발행하면서 외환보유액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지난달 23일 17억달러 규모(달러 표시 10억달러 및 엔화 표시 1100억엔)의 외국환평형기금채권을 발행했다. 우리나라 외환보유액 규모는 9월 말 기준(4163억달러) 세계 9위 수준이다. 사우디아라비아와 홍콩을 제외하고 대부분 외환보유액이 늘었다. 중국이 3조3387억달러로 가장 많았고, 이어 일본(1조3413억달러), 스위스(1조545억달러), 인도(7001억달러), 러시아(7133억달러...
기사 본문
11위 싱가포르와 290억달러 차이로 9위…'연 200억달러 투자' 부담 2000년 말 5위서 순위 하락세…환율 영향 등도 주목 한국은행 전경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한지훈 기자 = 대규모 대미 현금 투자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 우리나라 외환보유액 세계 순위가 10위권 밖으로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지난 9월 말 기준 4천220억달러로, 세계 9위 수준이었다. 올해 3월 말 10위로 밀렸다가 이번에 다시 9위로 올라섰다. 외환보유액은 2021년 말 4천631억달러, 2022년 말 4천232억달러, 2023년 말 4천202억달러, 2024년 말 4천156억달러 등으로 감소세를 이어왔다. 올해 2∼5월에는 4천100억달러를 밑돌기도 했다. 5월 말의 4천46억달러는 지난 2020년 4월 말(4천40억달러) 이후 5년 1개월 만에 최소 수준이었다. 주요국 외환보유액 추이를 보면 10위권 사수가 여유롭지 못한 상황으로...
기사 본문
한은, 10월말 외환보유액 통계 운용수익·외평채 덕분…68억불↑ 2년 9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폭 보유액, 5개월 연속 증가세 지속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이 운용수익 증가와 신규 외평채 발행으로 큰 폭 늘어났다. 사진은 서울 중구 명동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서 달러를 살펴보고 있는 한 직원 [헤럴드DB]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10월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이 운용수익 증가와 신규 외국환평형기금채권 발행으로 70억달러 가깝게 늘어나며 6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외환보유액 세계 순위도 9월 기준으로 6개월 만에 세계 9위로 한 단계 올라섰다. 한국의 운용수익이 견조한 흐름을 나타냈고, 홍콩은 외환시장 개입을 적극적으로 펼치면서 나타난 결과다. 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10월말 외환보유액 통계에 따르면 10월말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4288억2000만달러로 전월말 대비 68억달러 증가했다. 이는 지난 2023년 1월(+68억달러) 이후 2년 9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 폭이다...
기사 본문
한 달 새 68억달러 증가 환율 상승에도 운용수익 증가 글로벌 10위→9위로 올라 [이데일리 이정윤 기자] 최근 정부가 연 200억달러 규모로 총 20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현금 투자에 합의한 가운데, 지난달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이 68억달러 늘어났다. 원·달러 환율 상승에도 불구하고 미국 증시 호조에 운용 수익이 늘어난 영향이다. 세계 외환보유액 순위도 한 단계 올라간 9위를 기록했다. 사진=AFP 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10월말 외환보유액’에 따르면 지난달 외환보유액 잔액은 전월 말 대비 68억달러 증가한 4288억 2000만달러로 집계됐다. 외환보유액은 지난 6월 증가 전환한 이래 다섯 달 연속 늘어났다. 10월에는 미국 증시가 고공행진하면서 운용수익이 증가했고, 외화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이 신규 발행되면서 외환보유액이 늘어났다. 10월 달러화가 강세를 나타내면서 원·달러 환율이 1440원을 웃도는 등 외환보유액이 감소할 수 있었으나, 운용수익 증가가 이를 상...
기사 본문
미국 달러화 ⓒ연합뉴스 지난달 말 외환보유액이 4288억 달러를 넘기며 21개월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9월 세계 외환보유액 순위는 7개월 만에 홍콩을 제치고 9위로 올라섰다. 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10월 말 외환보유액'에 따르면 지난달 말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이 4288억2천만달러로, 8월 말(4220억2천만달러)보다 68억달러 증가했다. 2023년 1월 4299억7천만 달러 이후 최대 규모다. 지난 5월 말(4046억달러) 약 5년 만에 최소로 줄었다가 이후 5개월째 증가세를 기록했다. 자산별로 보면, 국채, 회사채 등 유가증권이 3779억6천만달러로 4억6천만달러 줄었다. 국제통화기금(IMF) 특별인출권(SDR)도 157억1천만달러로 7천만달러 감소했다. 예치금은 259억4천만달러로 74억달러 늘었다. 금은 시세를 반영하지 않고 매입 당시 가격으로 표시하기 때문에 전월과 같은 47억9천만달러를 유지했다. 9월 말 기준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4220억 달러로 ...
기사 본문
한은 2025년 10월 말 외환보유액 美 증시 호조에 운용 수익 늘어 21개월 만에 최대 9월 외환보유액, 홍콩 따돌리고 7개월만에 9위 탈환 [서울=뉴시스] 배훈식 기자 =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2025년 8월 말 외환보유액'은 4162억9000만 달러로 지난달 말 대비 49억5000만 달러 증가하며 3개월 째 상승했다. 3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서 보유중인 달러를 정리하고 있다. 2025.09.03. dahora83@newsis.com [서울=뉴시스]남주현 기자 = 지난달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이 70억 달러 가까이 늘며 21개월 만에 다시 4300억 달러에 육박했다. 미국 증시 호조 등에 운용 수익이 늘어난 데다 외평채 신규 발행 등의 영향이 작용했다. 9월 세계 외환보유액 순위는 7개월 만에 홍콩을 제치고 9위를 탈환했다. 한국은행이 4일 발표한 '2025년 10월 말 외환보유액'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외환보유액은 4288억2000만 달러로 직전달(42...
기사 본문
68억달러 늘며 5개월 연속 증가 2년9개월 만에 최대치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서 직원이 100달러 지폐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뉴스1 지난달말 기준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이 4288억2000만달러로 집계됐다. 2023년 1월(4299억6800만달러) 이후 2년9개월 만에 최대치다. 외환보유액 규모는 세계 9위로 한 계단 올라왔다.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2025년 10월말 외환보유액'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4288억2000만달러로 전월말 대비 68억달러 증가했다. 5개월 연속 증가세다. 지난달 외환보유액은 운용수익 증가와 외화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 신규 발행 등으로 늘었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구성 요소별로는 국채·정부기관채·회사채 등 유가증권이 3779억6000만달러로 전체의 88.1%를 차지했다. 유가증권은 전월 대비 4억6000만달러 줄었다. 예치금은 259억4000만달러로 74억달러 늘었다. 특별인출권(SDR)은 157억1000...
기사 본문
전월 대비 68억달러↑…"운용수익 증가·외평채 발행 영향"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서 놓인 달러화. 2025.10.10/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서울=뉴스1) 이강 기자 = 지난달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이 5개월 연속 늘어나며 4280억 달러를 넘어섰다. 이 같은 증가세로 외환보유액 세계 순위도 9위로 상승했다. 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은 4288억 2000만달러로, 전월 말(4220억 2000만달러)보다 68억 달러 늘었다. 외환보유액은 지난 5월 4046억달러로 최근 5년 사이 최저치를 기록한 이후, 6월 4100억 달러 선을 회복하며 5개월 연속 증가세를 유지했다. 한은은 이번 증가 원인에 대해 "운용수익 증가와 외화 외평채 신규 발행 등에 주로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세부 항목별로 보면, 지난달 외환보유액은 유가증권이 3779억 6000만 달러로 전체의 88.1%를 차지했다. 지난 9월(3784억 2000만 달러)과 비교하면 보유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