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버스 "한국, 아시아 내 가장 중요한 전략적 파트너"
관련 기사 목록 12개
기사 본문
산업협력 강화하며 항공우주 분야 동반 성장 추진 이희환 에어버스코리아 대표./사진=에어버스코리아 에어버스는 한국과의 오랜 협력 관계를 강화해 국내 항공우주 산업의 역량 발전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희환 에어버스코리아 대표는 16일 더 플라자호텔 서울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에어버스에게 대한민국은 아시아 내에서 가장 중요한 전략적 파트너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며 “향후에도 에어버스는 한국의 산업 파트너와의 협력을 지속해 협력 범위를 더욱 확장하고 첨단 기술에 대한 교류 확대 등을 통해 상호 이익이 되는 생태계 조성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에어버스는 한국 정부, 항공사, 연구기관, 주요 산업 파트너 및 협력업체 등과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은 협력관계를 이어가고 있다. 현재 한국에서 160대 이상의 에어버스 상용기, 60대의 헬리콥터, 30대의 군용 수송기가 성공적으로 운용되고 있다. 에어버스의 한국 내 산업 기반은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및 대한항공 항공우주...
기사 본문
에어버스, 서울 ADEX 2025 참가 이희환 대표 "한국과 항공우주 동반 성장 추진" 이희환 에어버스코리아 대표가 차세대 화물기 'A350F'를 앞세워 한국 화물기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의지를 내보였다. 반세기가 넘는 한국과 협력을 토대로 미래 항공우주 분야에서 한국과 동반 성장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이희환 에어버스코리아 대표가 16일 서울 프라자호텔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에어버스코리아 이 대표는 16일 서울 프라자호텔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A350F는 연료효율성과 운항효율성이 뛰어나 완전 적재 상태에서 서울에서 미국 뉴욕까지 논스톱으로 갈 수 있어 다양한 화물운송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며 "차세대 화물기의 새 기준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A350 플랫폼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A350F는 최대 적재용량이 111t에 달하며, 경쟁사 화물기 대비 15% 더 넓은 면적을 갖춘 데크 화물용 개폐문(MDCD)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2026년 서비스 시작을 목...
기사 본문
이희환 에어버스코리아 대표 간담회…ADEX 2025 참가 이희환 에어버스코리아 대표가 16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는 모습(에어버스코리아 제공) (서울=뉴스1) 박종홍 기자 = 에어버스가 한국과의 협력 관계를 한층 강화해 국내 항공우주 산업 발전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또 한국 내 R&D 센터 설립 사업 무산 가능성에 대해선 "계속 준비하고 있다"고 부인했다. 이희환 에어버스코리아 대표는 16일 서울 국제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 참가를 앞두고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국내 항공우주 생태계에서 에어버스 역할이 점차 확대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표는 "에어버스 한국 내 조달 활동이 약 6000여 명의 숙련 인력 고용에 기여하고 있다"며 "매년 약 6억 달러, 8500억 원 규모의 경제적 가치를 항공우주 부품 구매를 통해 한국 산업에 기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 내 R&D 센터 설립 사업 무산 가능성에 대해선 "계속 준...
기사 본문
'서울 ADEX 2025' 앞두고 사전 기자간담회 51년 한국과 맺어 온 전략적 파트너십 강조 "지난해 맺은 MOU, 그룹사 전체 확대 검토" ADEX서 A350F 항공기·신형 헬기 등 전시 [이데일리 이윤화 기자] “산업 협력과 지속 가능한 성장을 통해 대한민국 항공우주 산업의 역량 발전을 적극 지원할 것이다. 한국 연구개발(R&D)센터 설립 사업도 당초 계획보다 확장해 구체화하고 있다.” (이희환 에어버스코리아 대표) 유럽 항공우주·방산업체 에어버스는 ‘서울 국제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서울 ADEX 2025)’를 나흘 앞둔 16일 오전 기자간담회를 열고 “한국과의 협력 관계를 한층 강화하며 항공우주 산업 역량 발전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희환 에어버스코리아 대표. (사진=에어버스코리아) 에어버스 측은 에어버스 DS(Defence & Space·방산우주)와 우리 산업통상자원부가 맺은 ‘에어버스ITC(International Technology Centr...
기사 본문
ADEX 2025 앞두고 기자간담회...“장기 협력 강화” “AI 활용 협력 여지 커...R&D 센터 설립 무산 아냐” 이희환 에어버스코리아 대표가 16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데일리안 백서원 기자 [데일리안 = 백서원 기자] 유럽 항공기 제작사 에어버스가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를 앞두고 한국과의 장기 파트너십 강화를 선언했다. 한국 항공우주 생태계에서 에어버스의 역할이 확대되는 가운데 공급망 고도화와 연구개발(R&D) 센터 설립을 중심으로 산업 전반의 협력을 넓혀가겠다는 계획이다. 이희환 에어버스코리아 대표는 16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에어버스는 대한민국을 아시아 내 가장 중요한 전략적 파트너로 인식하고 있다”면서 “한국은 단순한 시장이 아닌, 50년 넘게 함께해 온 소중한 동반자”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그 관계의 시작은 무려 1974년 대한항공이 에어버스의 첫 광동체 여...
기사 본문
ADEX 2025 기자간담회 개최 이희환 에어버스코리아 대표, 2년 만에 공식 석상 에어버스코리아는 16일 오전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최의종 기자 이희환 에어버스코리아 대표가 "한국은 미래 항공우주 산업을 공동으로 개발하는 전략적 동반자"라고 강조했다. 오는 17~24일 ADEX(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 2025에 참여하는 에어버스는 다양한 설루션을 선보인다는 입장이다. 이 대표는 16일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ADEX 2025 기자간담회를 열고 "한국과의 오랜 협력 관계를 한층 강화하며 산업 협력과 지속 가능한 성장으로 한국 항공우주 산업 역량 발전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ADEX 2023 이후 2년 만에 처음 공개 행보에 나섰다. 현재 한국에서는 160대 이상 상용기와 60대 헬리콥터, 30대 군용 수송기 등 에어버스 제품이 운용되고 있다. 에어버스는 한국 정부와 항공사, 연구기관, 주요 산업 파트너·협력 업체 ...
기사 본문
이희환 에어버스코리아 대표, 16일 기자간담회 개최 한국 R&D센터 무산설 반박···"그룹사 전체로 개념 진화" "한국에 우수한 인재풀 보유···계획 구체화 후 소통할 것" 이희환 에어버스코리아 대표가 16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한국 사업 현황과 향후 계획 등을 공유했다. 사진 제공=에어버스코리아 [서울경제] 유럽 최대 항공기 제작사인 에어버스가 한국에서 항공·우주·방위산업 전반의 기술력을 제고하기 위한 연구개발(R&D)센터 구축을 추진한다. 방산·우주 분야를 담당하는 에어버스DS 뿐 아니라 민항기 부문인 에어버스, 헬기 제작사 에어버스 헬리콥터스 등 그룹사 전체의 참여로 아시아를 대표하는 R&D 거점으로 조성할 방침이다. 이희환 에어버스코리아 대표는 16일 서울 더플라자 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한국은 에어버스에게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시장” 이라며 “에어버스는 단순한 공급자를 넘어 한국 항공·우주 산업의 발전을 함께 이끄는 진정한 ‘항공 우주 시...
기사 본문
이희환 에어버스코리아 대표가 16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표하고 있는 모습/사진= 에어버스 제공 유럽 항공우주·방산업체 에어버스가 국내 항공산업과 협력을 한층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최근 무산설이 제기됐던 한국 내 연구·개발(R&D) 센터 설립 계획도 기존보다 확장된 형태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희환 에어버스코리아 대표는 16일 '국제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서울 ADEX 2025)' 개막을 앞두고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대한민국은 아시아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전략적 파트너로 향후 협력 범위를 넓히고 기술 교류를 확대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히 이 대표는 최근 제기된 R&D 센터 무산설에 대해서도 "사실이 아니다"라며 "준비 과정에서 개념이 발전해 에어버스 디펜스앤드스페이스(DS)뿐 아니라 에어버스 전체가 한국의 R&T(연구&기술, Research & Technology)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은 우수한 산업 기반과 인재 풀을 갖춘 국가로 향후 R&T...
기사 본문
[이희환 에어버스코리아 대표(에어버스코리아 제공=연합뉴스)] 항공우주기업 에어버스(Airbus)가 우리나라와의 50년 협력 관계를 기반으로 산업 생태계 전반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며, 한국 항공우주 산업의 역량 강화에 적극 나섭니다. 이희환 에어버스코리아 대표는 오늘(16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에어버스와 한국은 지난 반세기 동안 신뢰, 기술 혁신, 그리고 산업적 우수성을 바탕으로 한 협력 관계를 이어왔다"며 "한국은 단순한 고객을 넘어 미래 항공우주 산업을 함께 만들어가는 전략적 동반자"라고 말했습니다. 에어버스는 현재 국내에서 160대 이상의 상용기, 60대의 헬리콥터, 30대의 군용 수송기가 운용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특히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대한항공 항공우주사업본부(KAL-ASD) 등 주요 협력사와의 오랜 파트너십을 통해 A320과 A330, A350 등 글로벌 민항기 프로그램에 핵심 부품을 공급하며, 다수의 국내 중소기업과도 협력 네트워크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헬리콥...
기사 본문
KAI·대한항공 등과 오랜 협력… 차세대 방위·우주 시스템 공동 모색 에어버스가 한국과의 기술 협력를 통해 국내 항공우주 산업의 동반 성장을 약속했다./사진=최유빈 기자 글로벌 항공우주 기업 에어버스는 산업 협력과 지속 가능한 성장을 통해 한국 항공우주 산업의 발전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희환 에어버스코리아 대표는 16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에서 미디어 브리핑을 열고 한국 항공우주 생태계에서 에어버스의 역할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을 강조했다. 이 대표는 "에어버스와 한국은 지난 50 년이 넘는 기간 동안 상호 신뢰, 기술 혁신, 그리고 산업적 우수성을 바탕으로 한 파트너십을 이어왔다"며 "한국은 단순한 고객을 넘어 미래 항공우주 산업을 공동으로 개발해나가는 전략적 동반자"라고 말했다. 현재 한국에서는 160 대 이상의 에어버스 상용기, 60 대의 헬리콥터, 30 대의 군용 수송기가 성공적으로 운용되고 있으며 에어버스는 한국 정부, 항공사, 연구기관, 주요 산업 파트너 및 협...
기사 본문
이희환 에어버스코리아 대표 기자간담회 “무산 아냐…처음보다 개념 진화해 추진” 韓, 아시아서 가장 중요한 전략적 파트너 ADEX서 A350F 항공기·신형 헬기 등 전시 이희환 에어버스 코리아 대표가 기자 간담회를 진행하고 있다. <에어버스 코리아> 유럽 항공우주·방산업체 에어버스(Airbus)가 최근 무산설까지 제기된 한국 R&D센터 설립사업과 관련 되려 처음보다 개념을 확장해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희환 에어버스코리아 대표는 이달 17~19일 개최되는 서울 국제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서울 ADEX 2025)를 앞두고 16일 개최한 기자간담회에서 “한국 항공우주 생태계에서 에어버스의 역할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표는 지난해 산업통상자원부와 발표한 한국 R&D 센터 설립 계획이 무산된 것이 아니라며 착실히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준비를 하는 과정에서 사실 좀 개념이 진화했다”며 “에어버스DS(디펜스앤스페이스)뿐만 아니라 에어버스 전사에서...
기사 본문
서울 ADEX 2025 앞두고 15일 기자간담회 "A350F, 서울~뉴욕 운용 가능한 화물기" "산업부와 R&D센터 설립⋯무산 아냐" 에어버스가 최신형 A350F 화물기로 한국 화물기 시장 공략을 강화하겠다고 16일 밝혔다. 이희환 에어버스코리아 대표는 서울 국제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서울 ADEX 2025)를 앞두고 이날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A350F는 서울~뉴욕을 한 번에 운용할 수 있는 화물기로, 현재 프랑스에서 첫 시험 비행용 기체의 최종 조립을 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에어버스는 오는 17일 경기도 성남시 서울공항과 킨텍스에서 열리는 ADEX 2025에서 A350F 화물기 등을 선보일 계획이다. 이희환 에어버스코리아 대표 [사진=권서아 기자] 에어버스는 한국과 지난 50년 동안 파트너십을 이어왔다. 가장 큰 한국 파트너로는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대한항공을 꼽았다. 또 에어버스는 지난해 3월 대한항공에 대형 항공기 33대를 인도하는 공급 계약을 체결한 바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