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철강 수출 보증상품’ 신설 MOU…철강 CEO 간담회

2025년 11월 05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76개
수집 시간: 2025-11-05 05:16:48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노컷뉴스 2025-11-05 04:56:10 oid: 079, aid: 0004082500
기사 본문

"업계-정부 협의한 결과…필요한 부분 담긴 대책" 호평 中 철강에 대한 경계 여전…설비 축소해도 저가 철강 물량 공세 역부족 연합뉴스 철강업계가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와 글로벌 공급 과잉으로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정부가 설비규모 조정과 불공정 수입재 단속 강화 등을 핵심으로 한 대책을 내놨다. 업계에서는 이번 대책에 대해 대체로 당장 필요한 내용들이 두루 담겨있다는 호평이 나오는 한편, 더 강력한 제재 조치가 필요하다는 아쉬움의 목소리도 이어지고 있다. 4천억 금융 패키지…고부가·저탄소 전환 지원에 일단 '호평' 정부는 5일 △설비구조 조정 △수출·통상 대응 △고부가·저탄소 전환 등 3대 축을 중심으로 한 철강 대책을 발표했다. 공급 과잉 품목에 대해선 설비를 줄이고, 전망이 좋은 품목에는 투자를 지원한다. 중국산 저가 수입재에는 적극 대응하기로 했다. (참고 기사: '50% 관세' 갇힌 철강…정부, 반덤핑 강화하고 설비 줄인다) 아울러 5700억원 규모의 금융 지원 방안도 이번 대...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1-04 08:00:00 oid: 003, aid: 0013578560
기사 본문

3대원칙 바탕으로 설비 규모 조정…수출장벽·불공정 수입에 대응 연내 특수탄소강 R&D 로드맵 수립…미래 유망 기술로 위기 돌파 저탄소 철강재 수요 창출…K-스틸법으로 수소환원제철 전폭지원 [서울=뉴시스] 현대제철 인천공장 전기로. (사진=현대제철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김동현 기자 = 정부가 미국의 고율의 관세 부과와 글로벌 공급 과잉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철강산업의 생존력 확보와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산업구조 재편을 본격화한다. 정부는 공급과잉 품목에 대한 선제적 설비규모 조정, 수출 기업 애로 해소 및 통상대응 강화, 수소 환원제철, 특수탄소강 등 저탄소·고부가 전환 등을 추진하며 과잉설비 규모를 줄이는 한편 미래 경쟁력을 키워나간다는 구상이다. 산업통상부는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및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1-04 08:00:03 oid: 001, aid: 0015721953
기사 본문

美·EU 등 보호주의 대응…4천억원 규모 수출보증 등 지원 내년 철강 품질검사증명서 도입 추진…저가 철강재 유입 '차단' 특수탄소강 R&D 2천억원 지원…2030년까지 특수강 비중 12→20% 경기 평택시 평택항에 쌓여 있는 철강 제품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정부가 공급 과잉과 산업 성숙으로 위기에 처한 철강 산업의 체질 개선을 위해 철근 등 범용재의 설비 축소에 나선다. 날로 높아지는 각국의 보호무역 장벽에 대응해 수출 보증 상품을 신설하고, 밀려드는 저가 수입 철강 제품에 대해서는 반덤핑 관세 조치 등 대응을 강화한다. 철강 산업의 본원 경쟁력 강화를 위해 고부가·저탄소 철강재 생산 전환을 지원하고, 환경규제에 대응해 철강 산업 경쟁력을 제고할 '게임 체인저'로 꼽히는 수소환원제철 전환에 속도를 낸다. 인천 한 제철 공장에 쌓여있는 철근들 [연합뉴스 자료사진] 산업통상부는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및 산업경쟁력강화관계장관회의에서...

전체 기사 읽기

머니투데이 2025-11-05 04:05:00 oid: 008, aid: 0005273544
기사 본문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 형강·강관 등 경쟁력 약화군 설비 규모 조정 시 정부 지원 관세 피해기업 5700억 투입 전방위 협업, 덤핑 단속 강화 정부가 글로벌 공급과잉과 경쟁력 약화 등으로 벼랑 끝에 몰린 철강업계를 살리기 위해 5700억원 규모의 정책금융을 지원한다. 관세피해를 입은 기업은 지원하되 경쟁력이 떨어진 품목은 설비규모를 조정하고 고부가·저탄소 제품으로 전환해 미래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4일 경제관계장관회의 및 산업경쟁력강화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이같은 내용의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을 발표했다. 철강산업은 국내 주력산업 경쟁력의 근간이 됐지만 최근 몇 년간 지속된 글로벌 공급과잉과 업황침체 여파로 국내 기업들이 어려움에 처했다. 이에 정부는 철강산업 구조조정과 고도화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공급과잉 품목에 대해서는 설비규모 조정의 3대 원칙(설비조정 지원, 자율조정 여건조성, 경쟁력 있는 품목 선제투자)을 정하고 선제적인 조정에 나선다. 형...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