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 구조조정 시동… ‘철근’ 줄이고 ‘특수강’ 키운다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형강·강판 등 범용재 생산 조정 특수탄소강에 2천억 R&D 지원 4천억 수출 보증프로그램 신설 철강산업이 수출 급감과 내수 침체, 글로벌 공급과잉의 삼중고를 겪으며 위기가 확산되자 정부가 철근을 비롯한 공급과잉 범용제품의 설비를 조정하고, 저탄소·고부가가치 전환을 병행하는 산업 재편에 나섰다. 철강산업의 수출력 강화를 위한 4000억원 규모의 보증프로그램도 신설한다. 단기적으로는 설비 규모를 줄여 생존력을 확보하고, 장기적으로는 수소환원제철과 특수탄소강 등 고부가·저탄소 분야에 투자를 집중해 미래경쟁력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4일 산업통상부는 경제관계장관회의 및 산업경쟁력강화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했다. 정부는 먼저 공급과잉에 따른 경쟁력 약화 품목에 대한 선제적 조정에 착수해 철근을 비롯해 형강, 강판 등 범용재에 대한 생산 조정에 나선다. 특히 철근은 수입재 침투율이 3% 수준으로 낮고, 기업의 자발적 설비 조정 ...
기사 본문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 형강·강관 등 경쟁력 약화군 설비 규모 조정 시 정부 지원 관세 피해기업 5700억 투입 전방위 협업, 덤핑 단속 강화 정부가 글로벌 공급과잉과 경쟁력 약화 등으로 벼랑 끝에 몰린 철강업계를 살리기 위해 5700억원 규모의 정책금융을 지원한다. 관세피해를 입은 기업은 지원하되 경쟁력이 떨어진 품목은 설비규모를 조정하고 고부가·저탄소 제품으로 전환해 미래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4일 경제관계장관회의 및 산업경쟁력강화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이같은 내용의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을 발표했다. 철강산업은 국내 주력산업 경쟁력의 근간이 됐지만 최근 몇 년간 지속된 글로벌 공급과잉과 업황침체 여파로 국내 기업들이 어려움에 처했다. 이에 정부는 철강산업 구조조정과 고도화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공급과잉 품목에 대해서는 설비규모 조정의 3대 원칙(설비조정 지원, 자율조정 여건조성, 경쟁력 있는 품목 선제투자)을 정하고 선제적인 조정에 나선다. 형...
기사 본문
3대원칙 바탕으로 설비 규모 조정…수출장벽·불공정 수입에 대응 연내 특수탄소강 R&D 로드맵 수립…미래 유망 기술로 위기 돌파 저탄소 철강재 수요 창출…K-스틸법으로 수소환원제철 전폭지원 [서울=뉴시스] 현대제철 인천공장 전기로. (사진=현대제철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김동현 기자 = 정부가 미국의 고율의 관세 부과와 글로벌 공급 과잉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철강산업의 생존력 확보와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산업구조 재편을 본격화한다. 정부는 공급과잉 품목에 대한 선제적 설비규모 조정, 수출 기업 애로 해소 및 통상대응 강화, 수소 환원제철, 특수탄소강 등 저탄소·고부가 전환 등을 추진하며 과잉설비 규모를 줄이는 한편 미래 경쟁력을 키워나간다는 구상이다. 산업통상부는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및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
기사 본문
美·EU 등 보호주의 대응…4천억원 규모 수출보증 등 지원 내년 철강 품질검사증명서 도입 추진…저가 철강재 유입 '차단' 특수탄소강 R&D 2천억원 지원…2030년까지 특수강 비중 12→20% 경기 평택시 평택항에 쌓여 있는 철강 제품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정부가 공급 과잉과 산업 성숙으로 위기에 처한 철강 산업의 체질 개선을 위해 철근 등 범용재의 설비 축소에 나선다. 날로 높아지는 각국의 보호무역 장벽에 대응해 수출 보증 상품을 신설하고, 밀려드는 저가 수입 철강 제품에 대해서는 반덤핑 관세 조치 등 대응을 강화한다. 철강 산업의 본원 경쟁력 강화를 위해 고부가·저탄소 철강재 생산 전환을 지원하고, 환경규제에 대응해 철강 산업 경쟁력을 제고할 '게임 체인저'로 꼽히는 수소환원제철 전환에 속도를 낸다. 인천 한 제철 공장에 쌓여있는 철근들 [연합뉴스 자료사진] 산업통상부는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및 산업경쟁력강화관계장관회의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