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소비자물가 2.4%↑…1년 3개월 만에 '최고'(종합)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쌀 21.3%, 사과 21.6% 상승 석유류(4.8%)는 8개월만 최고 장기 연휴 효과로 서비스 물가↑ 해외단체여행비(12.2%) 등 올라 OECD 기준 근원물가 2.2% 상승 구 부총리 "생활 물가 안정 총력" 지난달 소비자 물가가 2.4% 오르며 15개월 만에 최고치를 찍었다. 쌀과 사과 등 일부 농산물을 포함한 농축수산물 및 석유류 가격이 상승한 데다 장기 추석연휴에 따른 숙박, 여행 등의 서비스 물가가 함께 오른 데 따른 결과다. 정부는 앞으로 생활물가 안정에 집중할 계획이다. 당장 이달부터는 김장철을 맞아 장바구니 물가 부담을 줄이는 데 힘쓰기로 했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물가관계장관회의 및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국가데이터처가 4일 발표한 '2025년 10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4% 상승했다. 이는 전월(2.1%)보다 0.3...
기사 본문
외식 외 개인서비스 3.6% 올라…농산물·석유류 제외 지수 1년8개월 만에 최고 추경발 인플레 가능성엔…정부 "소비쿠폰 특별히 영향 없어" 10월 소비자물가 2.4%, 돼지고기 6.1%↑ (서울=연합뉴스) 임화영 기자 =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4%를 기록하며 1년 3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가데이터처가 4일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 물가지수는 117.42(2020년=100)으로 1년 전보다 2.4% 올랐다. 지난해 7월(2.6%) 이후 가장 높다. 농축수산물 물가가 3.1% 뛰며 전체 물가를 0.25%포인트(p) 끌어올렸다. 이중 축산물은 5.3%, 수산물은 5.9% 올랐다. 특히 돼지고기(6.1%), 고등어(11.0%)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사진은 4일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에서 직원이 돼지고기를 진열하는 모습. 2025.11.4 hwayoung7@yna.co.kr (세종=연합뉴스) 이대희 안채원 기자 =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기사 본문
가을 장마에 농산물 출하 늦어져… 찹쌀 46% 등 곡물가격 22% 치솟아 긴 추석연휴에 여행비도 10%대↑… 환율 급등속 물가 불안 우려 커져 정부, 김장철 맞아 배추-무 등 공급 4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판매 중인 쌀을 살펴보고 있다. 이한결 기자 always@donga.com 10월 소비자물가가 1년 전보다 2.4% 올라 15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나타냈다. 쌀이 21.3%, 사과가 21.6%, 고등어가 11.0% 오르는 등 먹거리 물가 상승 폭이 두드러졌다. 이례적인 가을 장마로 일부 농산물 가격이 급등한 데다 길었던 추석 연휴에 여행·숙박 수요가 늘어난 영향이다. 정부는 물가 상승률이 연말에 물가 안정 목표인 2.0% 내외로 떨어질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지만 이달은 김장철이라 농산물 수요가 늘며 물가가 불안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 가을 장마-추석 연휴가 끌어올린 물가 4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1년 ...
기사 본문
국가데이터처, 10월 소비자물가동향…작년 7월 이후 최고 농축수산물(3.1%), 가공식품(3.5%), 외식(3.0%) 고공행진 환율 영향에 석유류 4.8% 상승…경유 8.2%·휘발유 4.5%↑ 초장기 연휴에 해외단체여행비 12.2%·콘도이용료 26.3%↑ 근원물가 상승률 2.2%…2024년 7월 이후 최고치 정부 "향후 기상여건 등 불확실성…체감물가 안정 총력" [서울=뉴시스] 권창회 기자 = 2일 서울 시내 한 주유소에 유가정보가 게시되어 있다. 2025.11.02. kch0523@newsis.com [세종=뉴시스] 안호균 박광온 기자 = 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작년 7월(2.6%) 이후 최고이자 올 들어 가장 높은 2.4%를 기록했다. 먹거리 가격이 고공행진을 지속했고, 환율 상승과 단계적 유류세 인하 축소 등 영향으로 석유류 가격이 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4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7.42(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