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내 집’ 쉽지 않다… 전세 4% 오르고, 매매는 또 수도권만 오른다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건산연 “매매가 0.8%↑·수도권 2%↑·지방 0.5%↓” 입주 감소와 수요 집중이 만든 ‘이중 시장’ 서울 도심의 고층 아파트와 공사 현장이 어우러진 도시 전경. 부동산 시장의 온도차를 상징적으로 담았다. (편집 이미지) 내년 주택시장은 오르는 곳과 멈추는 곳이 분명히 갈릴 전망입니다. 전세는 전국 평균 4% 오르고, 매매가는 0.8% 상승에 그칠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 등 수도권은 2% 오를 것으로 예상되지만, 지방은 0.5% 하락이 점쳐지며 부동산 시장의 불균형이 구조적으로 굳어지고 있습니다. 공급은 늘었지만 체감되지 않고, 정책 방향은 여전히 갈피를 잡지 못한 채 혼선을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4일 발표한 ‘2026년 건설·자재·부동산 경기 전망’에 따르면 수도권은 금리 조정과 대출 규제에도 불구하고 상승세를 이어가지만, 지방은 미분양 적체와 경기 둔화로 하락세를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공급은 수치상 확대되지만 실제 시장에서 체감할 물량은 오히려 줄...
기사 본문
건산연, 내년 수도권 2% 상승 전망 수도권 집값이 내년엔 공급 부족 압력 누적으로 올해보다 더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전세시장은 신규 입주 감소,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계약갱신청구권 종료에 따른 매물 출회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해 올해보다 큰 폭의 상승세가 전망된다. 집값 상승과 전세난 심화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4일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열린 ‘2026년 건설·자재·부동산 경기전망 및 시장 안정·지속가능성 확보 세미나’에서 내년 수도권 집값이 2.0%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올해 1~9월(1.3%), 1~12월 전망치(1.5%)보다 0.5% 포인트 이상 높은 수준이다. 반면 지방은 0.05% 하락하며 수도권과 지방 부동산 양극화는 지속할 전망이다. 지방 매맷값 낙폭은 올해보다 감소(-0.08→-0.05%)해 전국 기준으로 0.8%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집값은 공급과 수요 모든 측면에서 상승압력이 센 상황이다. 건산연은 “최근 건설기성(...
기사 본문
내년 전국 주택 전세가격이 연간 4.0% 오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올해 전세가격이 1.0%(연간 잠정치) 오른 점을 고려하면 내년 전세값이 상당히 급등할 수 있다는 얘기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은 4일 개최한 ‘2026년 건설·부동산 경기전망 세미나’에서 이같이 예상했다. 문재인 정부 시절인 2021년 전세가격이 연간 5.1% 상승한 이후 가장 높은 상승 폭이다. 김성환 연구위원은 “2021년에는 전세계약갱신청구권이 처음 도입되면서 전세가격이 크게 뛰었던 때”라며 “이번에는 10·15 대책 강도가 워낙 세 내년에도 전셋값이 크게 오를 수 있다”고 말했다. ▶내년 신규 입주 물량이 주는 데다 ▶수도권 주요 지역이 토허 구역으로 지정돼 전세 낀 매물이 줄어드는 점 ▶매수세 둔화에 따른 전세 수요 유입 등을 전세가격 상승 요인으로 짚었다. 김 연구위원은 “인기 지역인 수도권은 내년 전세가격이 연간 5.0% 이상 오를 수 있다”고 덧붙였다. 현장에서도 내년 전셋값 상승을 예상하는 ...
기사 본문
신규 입주 물량 감소 등 복합 요인에 전세 가격 ↑ 전국 주택 매매 가격 0.8% 상승 예상…지방은 하락 김성환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4일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열린 '2026년 건설·자재·부동산 경기 전망 및 시장 안정·지속가능성 확보 세미나'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이정윤 기자 내년 전국 집값이 0.8% 오를 때 전세 가격은 이보다 높은 4%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김성환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 연구위원은 4일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열린 '2026년 건설·자재·부동산 경기 전망 및 시장 안정·지속가능성 확보 세미나'에서 2026년 전국 전세 가격이 4%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올해 전망치 1.0%와 비교할 때 3%포인트 높은 수치다. 김 연구위원은 큰 폭의 전세가 상승 원인으로 신규 입주 감소, 매수세 둔화로 인한 전세 수요 유입,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 지정으로 인한 전세 매물 감소, 계약갱신청구 등을 지적했다. 특히 10·15 대책으로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