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산연 "내년 전국 집값 0.8%·전셋값 4.0% 상승 전망"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자료사진] 내년 집값은 수도권과 지방의 양극화가 지속하며 상승세가 완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 김성환 연구위원은 오늘(4일) 서울 강남구 논현동 건설회관에서 열린 '2026년 건설·자재·부동산 경기 전망 및 시장 안정·지속가능성 확보 세미나'를 통해 내년 전국 주택 가격이 0.8%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누적된 공급 부족 압력과 수도권 수요 집중 현상이 지속하는 가운데, 수도권은 2.0% 상승하고 지방은 0.5% 떨어질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전세는 신규 입주 물량 감소, 매수세 둔화에 따른 전세 수요 유입, 실거주 수요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올해(1.0% 상승 전망) 대비 상승 폭이 크게 확대된 4.0% 상승이 전망됐습니다. 내년 주택 인허가와 분양은 각각 47만가구, 25만가구로 예상됐습니다. 주택 인허가는 민간 부문의 수도권 중심 확대와 공공 부문의 물량 회복으로 증가세가 예상되지만,...
기사 본문
김성환 건설산업연구위원 분석 비수도권 주택 0.5% 하락 전망 "전세 올해 대비 4% 상승 예상" 내년 수도권 집값은 오르고 강원도 등 비수도권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부동산시장 양극화가 심화될 것으로 우려된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김성환 연구위원은 4일 서울 건설회관에서 열린 '2026년 건설·자재·부동산 경기 전망 및 시장 안정·지속가능성 확보 세미나'에서 주택 가격이 수도권은 2.0% 상승하고 비수도권은 0.5% 떨어질 것으로 분석했다. 전국 평균 주택가격은 0.8%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전세는 신규 입주 물량 감소, 매수세 둔화에 따른 전세 수요 유입, 실거주 수요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올해(1.0% 상승 전망) 대비 상승 폭이 크게 확대된 4.0% 상승이 전망됐다. 또 내년 주택 인허가와 분양은 각각 47만가구, 25만가구로 예상됐다. 국내 건설 수주는 올해 대비 4.0% 증가한 231조2000억원으로, 건설 투자는 같은 기간 2.0% 증가한 270조원 수준으...
기사 본문
내년 전국 주택 전세가격이 연간 4.0% 오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올해 전세가격이 1.0%(연간 잠정치) 오른 점을 고려하면 내년 전세값이 상당히 급등할 수 있다는 얘기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은 4일 개최한 ‘2026년 건설·부동산 경기전망 세미나’에서 이같이 예상했다. 문재인 정부 시절인 2021년 전세가격이 연간 5.1% 상승한 이후 가장 높은 상승 폭이다. 김성환 연구위원은 “2021년에는 전세계약갱신청구권이 처음 도입되면서 전세가격이 크게 뛰었던 때”라며 “이번에는 10·15 대책 강도가 워낙 세 내년에도 전셋값이 크게 오를 수 있다”고 말했다. ▶내년 신규 입주 물량이 주는 데다 ▶수도권 주요 지역이 토허 구역으로 지정돼 전세 낀 매물이 줄어드는 점 ▶매수세 둔화에 따른 전세 수요 유입 등을 전세가격 상승 요인으로 짚었다. 김 연구위원은 “인기 지역인 수도권은 내년 전세가격이 연간 5.0% 이상 오를 수 있다”고 덧붙였다. 현장에서도 내년 전셋값 상승을 예상하는 ...
기사 본문
신규 입주 물량 감소 등 복합 요인에 전세 가격 ↑ 전국 주택 매매 가격 0.8% 상승 예상…지방은 하락 김성환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4일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열린 '2026년 건설·자재·부동산 경기 전망 및 시장 안정·지속가능성 확보 세미나'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이정윤 기자 내년 전국 집값이 0.8% 오를 때 전세 가격은 이보다 높은 4%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김성환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 연구위원은 4일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열린 '2026년 건설·자재·부동산 경기 전망 및 시장 안정·지속가능성 확보 세미나'에서 2026년 전국 전세 가격이 4%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올해 전망치 1.0%와 비교할 때 3%포인트 높은 수치다. 김 연구위원은 큰 폭의 전세가 상승 원인으로 신규 입주 감소, 매수세 둔화로 인한 전세 수요 유입,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 지정으로 인한 전세 매물 감소, 계약갱신청구 등을 지적했다. 특히 10·15 대책으로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