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신안 ‘지역특화발전특구’ 지정…“규제 완화로 지역 자원 활용 본격화”

2025년 11월 04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3개
수집 시간: 2025-11-04 17:47:13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조선비즈 2025-11-04 16:01:08 oid: 366, aid: 0001120099
기사 본문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중소벤처기업부 제공 중소벤처기업부는 4일 열린 지역특화발전특구위원회에서 울산 해양산악레저 특구와 전남 신안 1004섬 문화예술산업 특구를 신규 지정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기존 특구 3곳의 주요 사항 변경과 지정 목적을 달성한 3개 특구의 해제안도 심의·의결했다. ‘지역특화발전특구’는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방자치단체가 지역의 고유 자원을 활용해 특화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각종 규제를 완화하는 제도로, 현재 전국에서 172개 특구가 운영 중이다. 이번에 신규 지정된 울산 해양산악레저 특구는 ‘일산해수욕장’ 등 해양 자원과 ‘영남알프스’ 산악 자원을 연계해 ‘하루 더 머무는 체류형 복합 레저 도시’ 조성을 목표로 한다. 중기부는 이를 통해 제조업 중심의 산업 구조를 관광 중심으로 다변화하고 지역 고용을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2025년부터는 해상·산악 케이블카 등 관광 거점을 구축하고, 해양과 산악을 아우르는 통합 브랜딩을 추진한다. 최근 ‘반구천...

전체 기사 읽기

매일경제 2025-11-04 16:17:16 oid: 009, aid: 0005584438
기사 본문

딥테크 2030 비전 AI 글로벌 빅테크 육성에 100억원 투입해 추진 딥테크 전용 펀드도 기획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전경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특구재단)이 국가전략기술과 딥테크를 중심으로 공공기술 사업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기술주도 성장을 견인하기 위해 연구개발특구를 딥테크의 핵심 거점으로 키우기 위해서다. 향후 5년간 특구재단이 추진할 중기 전략인 '딥테크(Deep Tech) 2030 비전'도 내놨다. 특구재단은 올해 딥테크 분야 기술사업화에 방점을 찍고 이를 뒷받침하는 글로벌과 혁신 생태계 구축에 적극 나서고 있다. 딥테크는 첨단 원천기술 기반으로 장기적 연구개발과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혁신 분야로, 상용화까지 10년 이상이 걸리고 이전에 없는 시장과 산업을 창출한다는 점에서 산업·경제적 파급력이 상당하다. 특히 글로벌 시장을 선점한 기업이 산업 주도권을 쥐게 되는 만큼 초기 단계부터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갖춘 '빅테크'로 육성하는 전략이 중요하다. 이에 특구재단은 딥테크 기업의...

전체 기사 읽기

뉴스1 2025-11-04 17:11:00 oid: 421, aid: 0008585049
기사 본문

동물용의약품 클러스터 혁신 성장 가속화 지역혁신성장자원 연계 국가 동물의약품산업 선도 전북특별자치도청. ⓒ News1 유경석 기자 (전주=뉴스1) 유승훈 기자 = 전북도는 중소벤처기업부 주관 '차세대 동물의약품 규제자유특구' 공모에서 후보특구로 선정됐다고 4일 밝혔다. 2019년 도입된 규제자유특구는 비수도권 지역에서 신기술 기반 신산업 추진을 위해 규제를 완화해 주는 구역이다. 전북은 앞서 친환경자동차특구(2019년), 탄소융복합특구(2020년), 기능성식품특구(2025년)로 지정된 바 있다. 차세대 동물의약품 규제자유특구(18만 16㎢)에 최종 지정되면 익산 동물용의약품 클러스터와 정읍 전북첨단과학산업단지를 중심으로 2027년부터 2030년까지 총 450억 원이 투입된다. 한국동물용의약품평가연구원이 총괄을 맡고 국가독성과학연구소와 협력해 약 17개 기업과 기관이 참여하는 실증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구 지정으로 동물의약품 신약 개발 병목현상 해결, 수입 의약품 대체 확대, 자가...

전체 기사 읽기

뉴스1 2025-11-04 16:00:00 oid: 421, aid: 0008584887
기사 본문

전국적으로 172개 특구가 운영 중 4일 오후 울산 동구 일산해수욕장에서 피서객들이 물놀이를 즐기고 있다. 해안가에는 냉수대 현상으로 인해 짙은 해무가 깔렸다. 2024.8.4/뉴스1 ⓒ News1 조민주 기자 (서울=뉴스1) 이재상 기자 = 중소벤처기업부는 4일 지역특화발전특구위원회(위원장 중기부 장관)를 열고, 울산 해양산악레저 특구, 전남 신안 1004섬 문화예술산업 특구를 신규 지정했다. 아울러 기존 특구 3곳의 주요사항 변경과 지정 목적을 달성한 3개 특구의 지정해제 등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지역특화발전특구'는 전국의 기초자치단체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역 특성에 맞는 특화사업을 추진하려는 경우, '지역특구법'에 열거된 129개 규제특례를 활용해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일정구역을 지정하는 제도이다. 2004년 도입된 지역특화발전특구는 현재 전국적으로 총 172개 특구가 운영 중이다. 특구로 지정될 경우 지리적표시제 우선심사(농수산물품질법), 특허출원 우선심사(특...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