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철강 수출기업에 4천억 보증 지원…"중소기업 숨통 틔운다"

2025년 11월 04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65개
수집 시간: 2025-11-04 17:25:44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이데일리 2025-11-04 16:37:09 oid: 018, aid: 0006156098
기사 본문

공급과잉 품목 설비 감축 정부 지원 美·EU 관세 ‘총력 대응’…협상 지속 고부가 강재 개발·저탄소 전환 속도 “투자비·인프라·지역충격 완화 관건” [이데일리 김은경 김형욱 기자] 정부가 위기인 철강산업을 살리기 위해 산업 구조 개편에 착수했다. 공급 과잉 품목에 대한 설비 감축, 고관세 등 통상 대응, 고부가·저탄소 전환 지원이 핵심이다. ‘산업의 쌀’이자 제조업 경쟁력의 근간인 철강산업이 겹악재로 큰 타격을 받자 생존력 확보와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긴급 처방전을 내린 것이다. 철강업계에선 정부 정책의 큰 방향성에 공감하며 일제히 환영의 목소리를 냈다. 다만 제도 이행 속도와 투자 부담 완화 대책이 철강업계 구조 개편의 성패를 좌우할 것으로 관측된다. 현대제철 후판 제품.(사진=현대제철) 범용 제품 한계…고부가 키워 경쟁력 강화 4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의 골자는 품목별 경쟁력과 시장 구조에 따라 설비 조정 강도를 달리하는 것이다. 형강·강관 등 공급...

전체 기사 읽기

동아일보 2025-11-04 17:01:12 oid: 020, aid: 0003672023
기사 본문

29일 오후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에 철강제품이 쌓여있는 모습. 2025.10.29/뉴스1 중국발 공급 과잉과 미국의 50% 관세 부과로 위기에 처한 철강산업에 대해 정부가 선제적 구조조정을 지원하고, 4000억 원 규모 철강 수출공급망 강화보증을 신설해 수출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또 특수탄소강 등 고부가가치 상품 중심으로 산업 체질을 바꿔 경쟁력을 높일 방침이다. 자율 구조조정이 지지부진한 석유화학업계에는 사실상 연말까지 자구책을 내놓으라고 압박했다. ● ‘삼중고’ 빠진 철강 업계 정부는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을 발표했다. 국내 철강산업은 글로벌 공급 과잉과 저가 제품 증가로 수출은 줄고, 수입은 늘고, 내수 침체로 국내 수요도 감소하는 삼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여기에 올해 6월 미국이 25%였던 철강 관세를 50%로 인상하고, 최근 유럽연합(EU)이 수입 철강에 대한 고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하면서 수출...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1-04 08:00:00 oid: 003, aid: 0013578560
기사 본문

3대원칙 바탕으로 설비 규모 조정…수출장벽·불공정 수입에 대응 연내 특수탄소강 R&D 로드맵 수립…미래 유망 기술로 위기 돌파 저탄소 철강재 수요 창출…K-스틸법으로 수소환원제철 전폭지원 [서울=뉴시스] 현대제철 인천공장 전기로. (사진=현대제철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김동현 기자 = 정부가 미국의 고율의 관세 부과와 글로벌 공급 과잉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철강산업의 생존력 확보와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산업구조 재편을 본격화한다. 정부는 공급과잉 품목에 대한 선제적 설비규모 조정, 수출 기업 애로 해소 및 통상대응 강화, 수소 환원제철, 특수탄소강 등 저탄소·고부가 전환 등을 추진하며 과잉설비 규모를 줄이는 한편 미래 경쟁력을 키워나간다는 구상이다. 산업통상부는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및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

전체 기사 읽기

한겨레 2025-11-04 15:48:15 oid: 028, aid: 0002774625
기사 본문

10월 8일 경기도 평택항에 철강 제품이 쌓여있는 모습. 연합뉴스 정부가 중국발 공급 과잉과 내수 위축으로 위기에 놓인 철강 산업을 개선하기 위해 5700억원 규모의 금융 지원 방안을 발표하고, 과잉 공급 제품 설비 축소에 나섰다. 산업통상부는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및 산업경쟁력강화관계장관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을 담은 철강 산업 고도화 방안을 발표했다. 산업부는 “제조업 경쟁력의 근간인 철강 산업이 수출 급감과 내수 침체, 글로벌 공급 과잉 등 삼중고를 겪으며 위기가 확산하고 있다”며 “업계 자율 컨설팅, 민관 합동 태스크포스(TF) 활동 등 의견 수렴을 거쳐 이번 대책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정부 대책에는 크게 △5700억원 금융 지원 △경쟁력 약한 범용재(철근, 형강, 강판 등) 자율적 구조조정 유도 △미국·유럽(EU) 수출장벽 대응 및 불공정 수입재 차단 △고부가·저탄소 전환 투자 등 네가지 내용이 담겼다. 정부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무관세 수입할당제...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