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사주 교환사채 발행하려면 주주 영향 상세히 공시해야…‘주주관점’ 정보제공 강화

2025년 10월 16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2개
수집 시간: 2025-10-16 12:26:32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8개

경향신문 2025-10-16 12:00:00 oid: 032, aid: 0003402416
기사 본문

서울 여의도의 금감원 건물. 경향신문 자료사진 앞으로 자사주를 담보로 교환사채를 발행하는 기업은 주주에게 미치는 영향 등 주요 정보를 상세히 공시해야 한다. 금융감독원은 16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개정 공시 작성기준을 오는 20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현재 사업보고서 제출대상 법인은 자사주 교환사채 발행 시 ‘자기주식 처분 결정’ 등의 주요 사항을 공시하고 있다. 올해 3분기 중 자사주를 담보로 발행 결정된 교환사채 금액은 1조4455억원(50건)으로 지난해 전체 규모 9863억원(28건)을 넘어섰다. 특히 지난달 발행결정된 자사주 대상 교환사채 금액은 1조1891억원(39건)에 달했다. 교환사채는 자금 조달이 필요한 회사가 자기 주식 또는 보유 중인 다른 회사 주식을 담보로 발행하는 회사채로, 투자자는 일정 기간 후 채권을 주식으로 교환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금감원은 자사주를 활용한 교환사채 발행이 최근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자사주 소각 등 주주환원을 기대했던 주주들과의 신...

전체 기사 읽기

비즈워치 2025-10-16 12:00:11 oid: 648, aid: 0000040758
기사 본문

금감원, 16일 자사주 기반 교환사채 발행공시 제도개선 '자사주 의무소각' 가시화되자 상장사 교환사채 발행 급증 급작스런 EB 발행 결정...자금조달 목적 등 사유 불명확 금감원 "교환사채 공시 강화해 주주중심 경영활동 유도" 상장사가 보유한 자기주식(이하 자사주) 을 의무적으로 소각하도록 한 3차 상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논의 중인 가운데 상장사 중심으로 자사주를 기반으로 한 교환사채(EB, Exchangeable Bond) 발행이 증가하고 있다. 자사주 의무소각 제도가 도입되기 전에 어떻게든 자사주를 처분해 현금을 확보하거나 우호세력에 지분을 넘기기 위한 전략이다. 하지만 자사주 소각을 통해 주가부양을 원하던 소수주주 입장에서는 상장사의 자사주 기반 교환사채 발행이 달가울 리 없다. 이에 태광산업과 트러스톤자산운용처럼 소송까지 가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늘어난 교환사채 발행으로 주가 변동성이 커지고 제3자에게 교환사채를 발행하는 사모형태로 추후 시장에 자사주 물량이 매물...

전체 기사 읽기

머니S 2025-10-16 12:00:00 oid: 417, aid: 0001106942
기사 본문

지난달 EB발행 1.2조원…투심 위축 우려해 공시 의무 강화 자료=금융감독원 자사주를 담보로 한 교환사채(EB) 발행이 급증하면서 금융감독원이 공시 기준을 강화한다. 발행 선택 이유부터 주주이익 영향까지 상세히 공시하도록 해 무분별한 발행을 억제하겠다는 취지다. 금융감독원은 16일 자사주 대상 EB 발행 결정시 주주이익에 미치는 영향 등 주요정보를 상세히 기재하도록 공시 작성기준을 개정해 20일부터 즉시 시행한다고 밝혔다. 금감원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자사주 대상 EB 발행결정 규모는 50건 1조4455억원으로, 2024년 전체 발행 수준(28건, 9863억원)을 크게 상회했다. 특히 9월 한 달 발행결정이 39건, 1조1891억원으로 3분기 발행결정 규모의 78.0%(건수 기준)를 차지하는 등 최근 급증 추세를 보였다. 2023년 연간 25건, 2024년 28건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올해만 67건이 발행 결정돼 급격한 증가세가 뚜렷하다. EB 발행 급증은 기업·시장·투자자 모두...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0-16 12:00:00 oid: 003, aid: 0013538389
기사 본문

20일 시행…"충분한 정보로 냉정한 시장 판단 기대" 3분기에만 EB 1.5조 발행…작년 한해보다 많아 [서울=뉴시스]우연수 기자 = '깜깜이 교환사채(EB) 발행' 논란에 금융감독원이 사모 교환사채 관련 발행 공시를 강화하기로 했다. 기업들은 많은 자금 조달 수단 중 왜 하필 자사주 대상 교환사채 발행을 선택했는지, 지배구조에 어떤 영향이 생기는지 등 투자자가 알아야 할 정보를 구체적으로 기재해야 한다. 16일 금감원에 따르면 3분기 중 교환사채 발행 결정 규모는 50건, 1조4455억원으로 전년도 총 발행 수준인 28건, 9863억원을 상회했다. 특히 9월 중 교환사채 발행 결정만 39건, 1조1891억원에 달해 3분기 발행 결정 규모의 78.0%를 차지하는 등 최근 급증 추세를 보였다. 최근 시장은 교환사채 발행을 악재로 인식하고 있다. 지난달 교환사채 발행 결정을 최초 공시한 36개사 중 25개사(69.4%)의 다음날 주가가 하락을 기록했다. 심지어 자사주를 보유했다는 사실만...

전체 기사 읽기

아시아경제 2025-10-16 12:10:00 oid: 277, aid: 0005665308
기사 본문

주주이익 영향·재매각 계획 등 의무 명시 올해 EB 발행액만 1조4000억…"주가 하락·시장 불신 확산에 대응" 올해 기업들의 자사주(자기주식) 대상 교환사채(EB) 발행이 급증하면서 주가 하락과 투자심리 위축 등 부정적 영향이 확산되자 금융감독원이 투자자 보호를 위해 공시기준을 강화한다. 앞으로는 발행 이유와 시점의 타당성, 주주이익에 미치는 영향 등 핵심 정보를 반드시 공시에 포함해야 한다. 금감원은 16일 EB 발행결정 시 주주이익에 미치는 영향 등 주요정보를 상세히 기재토록 공시 작성기준을 개정하고 이달 20일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기업들이 자사주를 담보로 한 EB 발행을 잇달아 추진해서다. 금감원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교환사채 발행결정 건수는 50건, 규모는 1조4455억원이다. 지난해 28건(9863억원)을 이미 넘어섰다. 9월 한 달에만 39건(1조1891억원)이 몰리며 급증세를 보였다. 금감원은 "회사 측면에서는 소각 등 주주환원을 기대하였던 주주들과의 신뢰관...

전체 기사 읽기

아이뉴스24 2025-10-16 12:01:17 oid: 031, aid: 0000972296
기사 본문

교환사채 선택 이유·발행시점 타당성·주식교환 영향·주주이익 등 공시항목 추가 20일부터 시행⋯공시위반시 정정명령 등 조치 예고도 금융감독원이 자기주식을 기초로 한 교환사채(EB) 발행 남발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자사주 EB 발행에 따르는 주주이익 침해 여부는 물론이고 주식 교환에 따른 지배구조 영향을 공시하도록 했다. 공시 위반 시에는 정정명령은 물론이고 과징금 부과 등을 경고했다. 금감원은 16일 교환사채 발행에 대한 공시 서식을 개정해 자사주 EB를 선택한 이유, 발행 시점의 타당성, 주식교환에 따른 지배구조 영향, 기존 주주이익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공시하도록 한다고 밝혔다. 개정 서식은 오는 20일부터 시행된다. 금감원이 자사주 EB에 대한 공시를 강화한 것은 올해 들어 자사주 EB 발행이 급격히 늘어났기 때문이다. 올해 3분기 자사주 교환사채 발행은 50건, 1조4455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8건, 9863억원)에 비해 대폭 늘어났다. 특히 올해 9월 EB 발행은 39...

전체 기사 읽기

전자신문 2025-10-16 12:01:17 oid: 030, aid: 0003359571
기사 본문

사진=금융감독원 최근 기업들의 자사주 대상 교환사채 발행이 급증하자 금융당국이 관련 공시를 강화한다. 기존에는 발행 배경과 주주 이익 영향 등이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아 투자자 혼란이 있었다는 지적에 따라, 앞으로는 주요 내용을 상세히 기재해야 한다. 1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자사주를 대상으로 한 교환사채 발행 시 투자자에게 충분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공시 서식을 개정해 오는 20일부터 즉시 시행한다 앞으로는 △다른 자금조달 수단 대신 자사주 교환사채를 선택한 이유 △발행시점의 타당성 검토 내용△실제 교환 시 지배구조 및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기존 주주 이익에 대한 영향 △교환사채 또는 교환주식 재매각 계획(사전협약 포함) △주선기관이 있을 경우 기관명 등을 구체적으로 공시해야 한다. 교환사채란 회사가 보유한 자사주를 교환 대상으로 삼아 발행하는 사채를 말한다. 금감원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교환사채 발행 결정 건수는 50건, 금액으로는 1조4455억 원에 달해 전년도 총발...

전체 기사 읽기

조선비즈 2025-10-16 12:01:16 oid: 366, aid: 0001114875
기사 본문

올해 3분기 국내 기업들의 교환사채(EB) 발행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정부와 여당이 자사주 소각 의무화를 골자로 하는 3차 상법 개정안 논의가 본격화하면서 선제적인 교환사채 발행으로 자사주를 처분하려는 움직임으로 보인다.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모습./뉴스1 금융감독원은 올해 3분기 중 교환사채 발행 결정 규모가 50건, 1조4455억원으로 조사됐다고 16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총발행 수준인 28건, 9863억원을 크게 넘어서는 규모다. 교환사채 발행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지난 9월 중 교환사채 발행이 결정된 건은 39건, 3분기 전체 발행 규모인 50건의 78%를 차지했다. 금액 규모로도 3분기 1조4455억원 중 9월 발행된 비중만 1조1891억원에 달한다. 금감원은 “다양한 자금조달 방법과 필요성에 대해 충분히 검토하지 않고 교환사채 발행을 급하게 추진하는 경우 주주환원을 기대하던 주주들과의 신뢰 관계가 훼손된다”며 “실제 주식 교환 시 주주 간 지분율 변동...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