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산연 “내년 전국 집값 0.8% 오를 때…전세는 4% 오른다”[집슐랭]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집값 수도권 2% 오르고 지방 0.5% 하락 "전세가는 올해 1%···내년 4배 증가할 듯" "내년 공급 총량 증가 제한적···양극화 심화"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서울경제] 내년 전국 집값이 0.8% 오르는 반면 전세가는 4% 급등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김성환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 연구위원은 4일 서울 강남구 논현동 건설회관에서 열린 '2026년 건설·자재·부동산 경기 전망 및 시장 안정·지속가능성 확보 세미나'에서 이 같이 발표했다. 지역별 집값은 수도권이 2.0% 상승하고 지방은 0.5% 떨어질 것으로 예측됐다. 김 연구위원은 “누적된 공급 부족 압력과 수도권 수요 집중 현상이 지속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세는 올해(1.0% 상승 전망) 대비 상승 폭이 크게 확대된 4.0% 상승이 점쳐졌다. 신규 입주 물량 감소와 매수세 둔화에 따른 전세 수요 유입, 실거주 수요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내년 주택 인허가와 분양...
기사 본문
내년도 수도권 및 지방 핵심 입지 중심으로 수요가 몰리는 ‘쏠림 현상’이 지속되며, 수도권 주택 매매 시장은 완만한 상승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서울 시내의 한 부동산에 월세 물건 안내문이 붙어 있다. 뉴시스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 김성환 연구위원은 4일 서울 강남구 논현동 건설회관에서 ‘2026년 건설·자재·부동산 경기 전망 및 시장 안정·지속가능성 확보 세미나’를 열고 이같은 전망을 내놨다. 건산연은 금리 조정과 대출 억제 등 요인에도 불구하고 전국적으로는 주택 매매가가 0.8%, 수도권은 2.0% 상승하면서 내년에도 상승세가 유지될 것이라고 봤다. 건산연은 “수도권 및 지방 핵심 입지 중심으로만 수요가 집중되며 한 지역 안에서도 완판과 미분양이 공존하는 양극화 현상이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전세는 신규 입주 물량 감소, 매수세 둔화에 따른 전세 수요 유입, 실거주 수요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올해(1.0% 상승 전망) 대비 상승 폭이 크게 확대된...
기사 본문
[이주희 디지털팀 기자 hee_423@naver.com] 국내 건설 수주·투자 각각 4.0%·2.0%↑ 전망 지난달 28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 아파트 모습 ⓒ연합뉴스 내년 전국의 집값이 0.8% 오르면서 완만한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수도권 집값은 상승하지만 지방은 떨어져 지역 간 양극화도 지속될 것으로 예측됐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은 4일 서울 강남구 논현동 건설회관에서 '2026년 건설·자재·부동산 경기 전망 및 시장 안정·지속가능성 확보 세미나'를 열었다. 이날 김성환 건산연 연구위원은 내년 전국 주택 가격이 0.8%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누적된 공급 부족 압력과 수도권 수요 집중 현상이 지속하는 가운데, 수도권은 2.0% 상승하고 지방은 0.5% 떨어질 것으로 예측됐다. 전세의 경우 올해(1.0% 상승 전망) 대비 상승폭이 크게 확대돼 4.0%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신규 입주 물량 감소, 매수세 둔화에 따른 전세 수요 유입,...
기사 본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제공] 내년 입주물량 감소와 전세 수요 유입이 이어지며 전국 전셋값이 4% 오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은 4일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2026 건설·자재·부동산 경기전망 및 시장 안정·지속가능성 확보 세미나’를 열고 이 같은 전망을 내놨다. 건산연은 내년 전국 주택 가격 0.8%, 전세 가격 4.0%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누적된 공급 부족 압력과 수도권 수요 집중 현상이 지속하면서 수도권 집값은 2.0% 상승하고 지방은 0.5% 떨어질 것으로 예측됐다. 전세의 경우 신규 입주 물량 감소, 매수세 둔화에 따른 전세 수요 유입, 실거주 수요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올해(1.0% 상승 전망)보다 상승폭이 크게 확대된 4.0% 상승이 전망됐다. 내년 주택 인허가와 분양은 각각 47만가구, 25만가구로 예상됐다. 김성환 건산연 연구위원은 “주택 인허가는 민간 부문의 수도권 중심 확대와 공공 부문의 물량 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