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랑끝' 철강산업에 5700억 투입…공급과잉 줄이고 미래 경쟁력 확보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에 철강제품이 쌓여있는 모습. 2025.10.29/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뉴스1 정부가 글로벌 공급과잉과 경쟁력 약화 등으로 벼랑끝에 몰린 철강업계를 살리기 위해 5700억원 규모의 정책금융을 지원한다. 관세 피해기업은 지원하되 경쟁력이 떨어진 품목은 설비규모를 조정하고 고부가·저탄소 제품으로 전환해 미래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4일 경제관계장관회의 및 산업경쟁력강화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을 발표했다. 철강산업은 우리나라 주력 산업 경쟁력의 근간이 돼 왔지만 최근 몇 년간 지속된 글로벌 공급과잉과 업황 침체의 여파로 관련 국내 기업들이 어려움에 처해 있다. 대규모 장치산업 특성상 산업이 성숙기로 접어들면서 범용재 경쟁력이 약화하는 문제도 발생했다. 이런 가운데 철강 수출 '밀어내기'로 인한 덤핑 문제...
기사 본문
10월 8일 경기도 평택항에 철강 제품이 쌓여있는 모습. 연합뉴스 정부가 중국발 공급 과잉과 내수 위축으로 위기에 놓인 철강 산업을 개선하기 위해 5700억원 규모의 금융 지원 방안을 발표하고, 과잉 공급 제품 설비 축소에 나섰다. 산업통상부는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및 산업경쟁력강화관계장관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을 담은 철강 산업 고도화 방안을 발표했다. 산업부는 “제조업 경쟁력의 근간인 철강 산업이 수출 급감과 내수 침체, 글로벌 공급 과잉 등 삼중고를 겪으며 위기가 확산하고 있다”며 “업계 자율 컨설팅, 민관 합동 태스크포스(TF) 활동 등 의견 수렴을 거쳐 이번 대책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정부 대책에는 크게 △5700억원 금융 지원 △경쟁력 약한 범용재(철근, 형강, 강판 등) 자율적 구조조정 유도 △미국·유럽(EU) 수출장벽 대응 및 불공정 수입재 차단 △고부가·저탄소 전환 투자 등 네가지 내용이 담겼다. 정부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무관세 수입할당제...
기사 본문
정부부처 합동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 발표 보호무역 대응…철근 줄이고 특수강 키운다 우회 덤핑 규제 강화·저가 철강재 유입 '차단 특수탄소강 R&D 2000억 원 지원 2030년 특수강 비중 12→20%↑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물가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모두발언하고 있다. 기재부 제공 출처: 관계부처 합동 정부가 공급과잉과 수출 급감, 내수 침체 등으로 벼랑 끝에 내몰린 국내 철강업계를 살리기 위해 철근 범용재의 설비 축소 등 대대적인 구조조정에 나선다. 날로 높아지는 각국의 보호무역 장벽에 대응해 수출 보증 상품을 신설하고, 밀려드는 저가 수입 철강 제품에 대해서는 반덤핑 관세 조치 등 대응을 강화한다. 산업통상부는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및 산업경쟁력강화관계장관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철강 산업 고도화 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먼저 공급과...
기사 본문
산업부, ‘철강 산업 고도화 방안’ 발표 문신학 산업통상부 차관(오른쪽 네번째)이 4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철강업계 최고경영자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는 장영진 한국무역보험공사 사장, 김형일 IBK기업은행 전무, 이희근 포스코 사장, 서강현 현대제철 사장, 최삼영 동국제강 사장, 오치훈 대한제강 회장, 이경호 한국철강협회 회장 등 철강업계 관계자가 참석했다. 산업부 제공 세계적으로 확산하는 보호무역주의, 저가 중국산 공급 등에 따라 국내 철강업계에 냉기가 짙어지고 있다. 정부는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철강업계의 생존력 확보와 미래경쟁력 강화를 위한 산업구조 재편에 나서기로 했다. 4일 철강업계와 산업통상부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지난 9월 한국의 조강 생산량은 500만t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2.4% 줄었다. 조강이란 쇳물을 부어 만든 최초의 고체 형태 철강 생산품으로, 조강 생산량은 철강 경기를 알 수 있는 지표다. 업계에서는 미국의 고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