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특허괴물에 또 한방?...삼성전자 2740억 배상 평결에 "즉각 불복"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미국 텍사스 연방법원 배심원단이 삼성전자가 픽티바 디스플레이스의 OLED 기술 특허 두 건을 침해했다고 판단했습니다. 배상액은 1억9140만 달러, 우리 돈 약 2740억 원입니다. 픽티바는 2년 전 소송을 내면서, 삼성전자의 갤럭시 스마트폰·TV·컴퓨터·웨어러블 기기 등이 자사 특허 기술을 적용해 디스플레이 성능을 향상시켰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기술은 화질 균일성과 수명 개선에 쓰이는 핵심 OLED 구동 방식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삼성은 특허 효력 자체를 문제 삼으며 반박했지만, 픽티바가 배심원단을 설득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물론 이번 평결은 아직 법원의 최종 판결이 아니고, 판사가 배상액을 조정하거나 평결 자체가 뒤집힐 가능성도 남아 있습니다. 다만 최근 텍사스주 마셜 법원을 중심으로 삼성을 상대로 한 특허 소송이 잇따르면서 미국 내 '특허 리스크'가 확대되는 흐름입니다. 특히 픽티바는 제품을 직접 생산하지 않고 특허권 소송 등으로 수익을 내는 '특허괴물' 업체 100% 자회사로...
기사 본문
뉴욕 3대 증시 혼조세 아마존과 엔비디아, 기술주 끌어올려 팔란티어, 매출 역대 최고치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3일(현지시간)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혼조로 마감했다. 엔비디아가 중동으로 수출할 수 있는 길이 열리고 아마존도 오픈AI 대규모 클라우드 서비스 계약을 맺었다는 소식이 기술주를 끌어올렸다. 다만 기술주를 제외한 대부분의 종목은 약세를 보이며 지수를 제약했다. 사진=로이터 뉴욕 3대 증시 혼조세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전장보다 0.17% 오른 6851.97에 거래를 마쳤고, 나스닥지수는 0.46% 오른 2만3834.723을 기록. -반면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0.48% 내린 4만7336.68을 기록. 여전히 강한 AI 투자 행렬…아마존4%↑·엔비디아 2.2%↑ -시장을 이끈 것은 대형 기술주 ‘매그니피센트 7’ 중 아마존과 엔비디아. -아마존은 오픈AI와 380억달러 규모의 파트너십 체결 소식에 주가가 4% 급등....
기사 본문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직원들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뉴스1 ⓒ News1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 삼성전자는 최종 1심 판결이 나오기 전인 만큼, "특허 침해라는 배심원 평결에 대응해 적극 불복 절차를 밟을 것이며, 이와 동시에 미국 특허청에 해당 특허 무효를 주장하는 별도 소송도 진행하고 있으며 승소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 텍사스 연방법원 배심원단은 픽티바가 주장한 총 5건의 특허 침해와 관련, 3건은 침해 무효를, 나머지 2건에 대해서 침해 평결을 냈다. 소송은 이번 '배심원 평결'에 이어, '삼성전자의 불복', 이후 '최종 1심 판결'로 전개된다. 삼성전자는 평결 불복과 더불어 특허 무효 소송으로, 특허 괴물들의 소송전에 적극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쟁점이 되고 있는 기술은 삼성전자 100% 자회사인 삼성디스플레이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 관한 것으로, 삼성디스플레이는 미 특허청에 특허 무효에 관한 소송을 진행 중이다. 아일랜드에 본사를 둔...
기사 본문
텍사스 배심원단, 삼성 OLED 기술 침해 인정 아일랜드계 특허괴물 '픽티바'의 반격 삼성 "특허 무효" 주장 평결은 1심 판결 위한 참고 절차 (출처=뉴시스/NEWSIS) /사진=뉴시스 [파이낸셜뉴스] 삼성전자가 미국에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기술 특허 침해와 관련해 약 2700억원의 배심원단 배상 평결을 받았다. 글로벌 디스플레이 산업을 주도해온 삼성의 핵심 기술이 미국 법정에서 특허 분쟁의 대상이 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기술 패권 경쟁이 특허 리스크로 확산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텍사스주 마셜 연방법원 배심원단은 3일(현지시간) 삼성전자가 아일랜드계 특허관리회사 '픽티바 디스플레이스'가 보유한 OLED 관련 2건의 특허를 침해했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삼성은 약 1억9140만달러(약 2750억원)를 배상하라는 평결을 받았다. 이번 사건은 삼성의 갤럭시 스마트폰, TV, 웨어러블 등 다수의 주력 제품이 적용 대상에 포함된다. 단순한 배상 이슈를 넘어 특허 관리 체계 전반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