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생산성 떨어져 자본 유출 가속..GDP 충격 1.5배"

2025년 11월 04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5개
수집 시간: 2025-11-04 15:08:10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파이낸셜뉴스 2025-11-04 12:01:31 oid: 014, aid: 0005429343
기사 본문

'해외투자 증가 거시경제적 배경' 보고서 생산성 둔화가 GDP와 국내 자본량 줄여 해외자본투자 의존·생산성 하락, 日과 닮아 "노동유연화 등 경제구조개혁 지속해야" 한국개발연구원(KDI)은 4일 해외투자 증가의 거시경제적 배경과 함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KDI 김준형, 정규철 연구위원이 설명하고 있다. KDI 제공 [파이낸셜뉴스] 급속한 고령화에 따른 생산성 둔화가 국내 자본의 해외 유출을 가속화하고 있다. 경제활력이 떨어지고 국민소득의 상당부분이 해외 투자로 전환되는 패턴이 '잃어버린 30년' 장기 저성장에 빠진 일본과 유사하다. 국내 경제가 잘 돌아가지 않은 채 해외 투자수익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는 것은 경제 구조개혁이 시급하다는 의미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4일 발표한 해외투자 증가의 거시경제적 배경과 함의 보고서에서 "생산성 둔화는 직접적으로 국내총생산(GDP)뿐만 아니라 국내 자본량을 감소시킨다"며 "GDP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충격)이 1.5배 정도로 증폭된다"고 ...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1-04 12:00:01 oid: 001, aid: 0015723141
기사 본문

"생산성 하락에 해외투자 6배 증가…특히 노동소득에 더 악영향" 관세협상 2천억달러 미 직접투자엔…"1대 1로 국내투자 줄진 않을 것" 한미 관세협상 타결 (평택=연합뉴스) 홍기원 기자 = 30일 경기도 평택항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한국과 미국은 지난 7월 미국의 대한국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고, 한국이 총 3천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를 진행하는 방안에 합의했으나 후속 협의에 난항을 겪어왔다. 한미는 지난 29일 대미 투자금 중 2천억달러를 현금 투자하되, 연간 한도를 200억달러로 제한하고, 대미 투자에 대한 '상업적 합리성'을 문건에 명시하기로 하는 등 내용에 합의했다. 2025.10.30 xanadu@yna.co.kr (세종=연합뉴스) 이대희 기자 = 한국의 생산성 둔화는 자본의 해외 유출을 촉발해 국내총생산(GDP) 미치는 영향이 증폭된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일본에서 국내 투자 부진이 이어지며 경제 활력이 크게 떨어진 과정을 따라갈 우려가 있으므로 생...

전체 기사 읽기

뉴스1 2025-11-04 12:00:00 oid: 421, aid: 0008584067
기사 본문

"국내 자본수익성, 생산성 둔화로 지속 하락…2000년대 중반 해외에 역전" "생산성 0.1%p 하락시 GDP 1.5배↓…노동소득층에 더 큰 타격" 10월 29일 오후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에 수출용 컨테이너들이 쌓여있는 모습. 2025.10.29/뉴스1 ⓒ News1 김영운 기자 (세종=뉴스1) 전민 기자 = 우리나라의 생산성 증가세 둔화로 투자 매력이 떨어진 탓에, 국내 대신 해외 투자를 늘리는 현상이 빨라지고 있다는 국책연구기관의 경고가 나왔다. 이런 가운데 최근 한미 관세 협상 타결로 연간 200억 달러(약 28조 원) 규모의 대미 직접 투자가 더해지면서, 국내 자본시장을 추가로 위축시키고 경제 활력을 더욱 저하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4일 발표한 '해외투자 증가의 거시경제적 배경과 함의' 보고서에서 우리나라의 생산성 증가세 둔화로 인해 투자 결정의 핵심 요인인 자본수익성 또한 지속해서 하락해왔다고 분석했다. 2000년 이후 노동 투입 증가...

전체 기사 읽기

SBS Biz 2025-11-04 13:18:13 oid: 374, aid: 0000472730
기사 본문

[30일 경기도 평택항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내투자는 부진하고 해외투자가 확대되면서 국내 경제 활력이 저하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생산성 제고를 통한 경제 구조 개혁이 필요하다는 국책연구기관의 지적이 나왔습니다. 특히 생산성 하락에 따른 해외투자 전환이 장기적으로 GDP를 0.15% 떨어뜨릴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한국개발연구원(KDI)가 오늘 발표한 ‘해외투자 증가의 거시경제적 배경과 함의’ 보고서에 따르면 국민소득 대비 투자 비중은 대체로 안정적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투자 구성을 보면 국내투자에서 해외투자로 전환되는 추세입니다. 2000년 이후 국민소득 대비 투자 비중은 30%대 중반 수준에 머무르는 가운데 국민소득 대비 순해외투자 비중이 2000~2008년 0.7%에서 2015~2024년 4.1%로 6배 정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순해외투자가 증가한 이유에 대해 KDI는 투자 결정의 핵심 요인인 자본수익성이 생산성 증가세 둔화에 주...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