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0개 지원사업 한곳에…‘中企 통합지원 플랫폼’ 구축한다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중기부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 AI가 업종·지역에 맞는 지원사업 추천 불법 브로커 예방·신고 채널 신설키로 중소벤처기업부가 4일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사진은 서울 한 시중은행의 소상공인·자영업자 전담창구 모습. [연합] “지원사업 정보를 어디서 찾고, 어디서 신청해야할지 모르겠다” “생업이 바쁜데 신청서류가 너무 많아 고액의 수수료를 내고서라도 브로커의 손을 빌릴 수 밖에 없다” 정부가 정책 수요자인 중소기업들을 위해 지원사업 체계를 대폭 개편한다. 이를 위해 2700여개 지원사업 공고를 한곳에서 확인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을 구축하기로 했다.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4일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수요자 중심·AI 기반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중기부는 우선 지원사업 정보를 제공하는 양대 플랫폼인 기업마당과 중소벤처24의 서비스를 통합한 ‘중소기업 통합지원 플랫폼(가칭 기업마당)’을 구축한다. 정부부처, 지자체 ...
기사 본문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 발표 지원사업 한곳서 찾고 원스톱 신청 키워드 입력하면 AI가 계획서 써줘 중소기업들이 정부 지원사업을 한 곳에서 찾고 신청도 바로 할 수 있는 원스톱 체계가 마련된다. 인공지능(AI)이 중소기업 이력을 바탕으로 알맞은 지원사업도 추천해주고 사업계획서도 써준다. 4일 중소벤처기업부는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이같은 수요자 중심·AI 기반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우선 ‘중소기업 통합지원 플랫폼’(가칭 ‘기업마당’)을 구축한다. 정부부처와 지자체 등이 주관하는 2700여개 중소·벤처기업·소상공인 지원사업 공고를 통합 제공하고 중소기업 확인서, 벤처기업 확인서 등 21종의 확인·인증서를 통합 발급해준다. 통합플랫폼 로그인만으로 지원사업 신청까지 원스톱으로 가능하도록 지원사업 신청채널들과 연결할 예정이다. 먼저 중기부의 37개 신청채널과 연결한 뒤 부처 협의를 거쳐 타 부처의 중소기업 지원 공공기관으로도 확대할 계획이다. 중소기업과 ...
기사 본문
2700여개 지원 공고 통합 제공 AI 기반 중소기업 지원체계 구축 관세 정보 맞춤형 정보 제공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 중소벤처기업부 제공 [파이낸셜뉴스] 중소벤처기업부가 중소기업 지원 사업을 한 데 모아 볼 수 있는 통합지원 플랫폼을 곧 공개한다. 중소기업에 관세 정보를 제공하고 맞춤형 수출국가를 추천해주는 인공지능(AI) 서비스도 내달 개시할 예정이다. 4일 중소벤처기업부는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수요자 중심·AI 기반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개선 방안은 △중소기업 통합지원 플랫폼 구축 △AI 기반 맞춤형 서비스 제공 △디지털화로 서류부담 감축 △불법 브로커 등 제3자 부당개입 차단 △시장·AI 기반 혁신기업 선별 강화를 골자로 한다. 기업마당만 봐도 한눈에 정책 파악 먼저 중기부는 기존 플랫폼 '기업마당'과 '중소벤처24'를 하나의 플랫폼으로 통합하기로 했다. 정보가 분산돼 있어 어디서 찾고 신청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현장 목소리를 반영한 조...
기사 본문
중기 현장 목소리 반영한 세부 추진 방안 마련 AI 기반으로 중소기업 지원사업 본격 구축 [서울경제] 중소벤처기업부는 4일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수요자 중심·인공지능(AI) 기반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번 대책은 올해 8월 21일 한성숙 장관이 주재한 중소기업 현장 간담회와 지난 달 1일 주재한 ‘중소기업 지원 공공기관 정책협의회’ 등을 통해 업계 및 관련기관의 의견을 수렴해 마련됐다. 그간 기업 간담회 등에 참석한 중소기업들은 ‘지원사업 정보를 어디서 찾고, 어디서 신청 해야할지 모르겠다’, ‘생업이 바쁜데 신청서류가 너무 많아 고액의 수수료를 내고서라도 브로커의 손을 빌릴 수 밖에 없다’, ‘우리 기업의 기술을 평가위원이 잘 모르는 것 같다’ 등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에 중기부는 이번 대책에는 이러한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했다. 대책의 추진 방향은 △‘중소기업 통합지원 플랫폼’ 구축 △AI 기반 맞춤형 서비스 제공 △디지털화로 서류부담 감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