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간이 더 좋은데, 진짜 웃겨”… 새벽 배송 고집하는 쿠팡 기사의 하소연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서울 중구의 한 주차장에 쿠팡 배달 차량이 주차돼 있다. /뉴스1 노동계에서 0시부터 5시까지 새벽 배송을 금지하자는 주장이 나오자, 현직 쿠팡 기사가 “현장 상황을 모르고 하는 얘기”라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남편과 2인 1조로 새벽 배송을 하는 쿠팡 기사라고 밝힌 네티즌 A씨는 최근 스레드를 통해 “우리 일자리는 어떡하느냐”라며 새벽 배송 금지 방안에 대한 생각을 밝혔다. A씨는 쿠팡 배송 업무를 “주간 2년, 야간 2년 해봤다”며 “야간 수수료가 주간에 비해 넘사벽(넘을 수 없을 만큼 높다는 뜻)”이라고 했다. 이어 “마음대로 이래라저래라 하면 안 된다. 쿠팡 기사들은 개인 사업자다. 4대 보험을 떼는 쿠팡 소속 직원이 아니다”라며 “사업자들이 폐업하면 누가 먹여 살려 주느냐”고 했다. 그러면서 “주간은 자리도 없다. 이미 다들 꿰차고 있다”고 주장했다. 쿠팡은 회사 소속 택배 인력인 ‘쿠팡맨’과 별도로 개인이 자기 차량을 이용해 물량을 배송하는 ‘쿠팡 플렉스’ 제도를 운영하고...
기사 본문
한동훈 과로사 대책이 새벽배송 금지? 새벽 환경미화, 편의점도 금지? 새벽배송 논의, 민노총이 주도 "죽음 각오"는 극단적 표현 장혜영 초심야배송 제한은 고강도 노동 대안 0-5시 노동 제한해도 서비스 유지 택배기사가 분류, 프레시백 회수도 사람 살릴수 있다면 꼭 새벽배송? CBS 박재홍의 한판승부 ■ 방송 : CBS 라디오 <박재홍의 한판승부> FM 98.1 (18:00~19:30) ■ 진행 : 박재홍 아나운서 ■ 대담 :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 장혜영 정의당 전 의원 ▶ 알립니다 *인터뷰를 인용보도할 때는 프로그램명 'CBS라디오 <박재홍의 한판승부>'를 정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은 CBS에 있습니다.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박재홍> 박재홍의 한판승부 오늘 예고해 드린 대로 특별한 토론 자리를 준비했습니다. 최근 민주노총 등 노동계에서 새벽 택배 배송 금지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 ...
기사 본문
물류센터지부 "올해만 쿠팡 야간 물류노동자 최소 2명 사망…죽음의 고리 끊어야" 택배 노동자에 이어 물류센터 노동자들도 심야시간 택배 배송 규제에 찬성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쿠팡 등 물류사가 적정 비용을 감당하면 노동조건이나 서비스 후퇴 없이도 노동자의 건강에 위협이 되는 새벽배송을 규제할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다. 공공운수노조 전국물류센터지부는 3일 성명에서 "쿠팡의 새벽배송은 그동안 어떤 규제도 받지 않아왔다"며 "그 결과 물류센터 노동자들은 새벽배송 마감 압박 속에서 야간노동을 하며 극한의 노동강도를 감내해야 했다는 점에서 쿠팡의 새벽배송은 어떤 방식으로든 규제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야간노동의 건강 위험에 대해 지부는 "야간노동이 수면장애와 뇌혈관·심장질환, 암, 당뇨병 등 발생 위험을 높인다는 것은 의학에서 정설"이라며 "야간노동의 영향은 노동자의 몸에 서서히 축적돼 그 부정적 결과가 나중에야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고 짚었다. 지부는 "이에 야간노동을 하는 노동자들은 당장...
기사 본문
야간 택배기사 노동강도와 건강 위험에서 소비자의 새벽배송 선호까지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와 장혜영 전 정의당 의원이 택배기사의 새벽배송 금지 여부를 쟁점으로 맞붙었다. 야간 택배기사의 노동강도, 야간노동의 건강 위험에서 소비자들의 새벽배송에 대한 선호에 이르기까지 둘은 많은 부분에서 이견을 보였다. 큰 틀에서 보면, 장 전 의원은 사회적 대화를 통해 새벽배송 유지와 노동자 건강권 사이에 균형을 이루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전 대표는 개인의 선택을 존중해야 한다며 현행 유지 입장을 고수했고, 이번 논란의 뒤에 민주노총의 숨은 의도가 있다는 주장도 폈다. 새벽배송 금지 여부에 대한 사회적 논란이 커진 가운데 기독교방송(CBS) 3일 라디오에서 40여분 간 진행된 두 정치인의 토론을 크게 네 개 쟁점으로 나눠 정리했다. 쟁점 ① 논쟁의 출발점, 택배노조 제안에 대한 평가 새벽배송 논란의 출발은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전국택배노동조합이 지난 22일 '택배 사회적 대화기구'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