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식주 물가 5년간 연평균 4.6% 상승…주거비 5.5% 급등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서울 시내의 한 마트에서 시민들이 계란을 구매하고 있다. 2025.9.4/뉴스1 최근 5년간 전기요금, 장바구니, 아파트 관리비 등 의식주(衣食住) 물가가 연평균 4.6%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물가 상승률보다 더 가파르게 오르면서 서민들의 체감 물가 부담이 늘었다는 평가다. 16일 한국경제인협회가 김상봉 한성대학교 교수에게 의뢰한 ‘민생물가 상승 요인 분석 및 대책’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4년까지 최근 5년간 의식주 물가는 연평균 4.6%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2.8%)보다 1.8%포인트 높았다. 민생과 직결된 의식주 물가의 가파른 상승으로 서민들의 체감물가 부담이 커졌다. 보고서는 의식주 물가가 전체 물가보다 빠르게 오른 이유로 국제 에너지 및 농식품 가격 상승, 높은 유통비용, 인건비 부담 등 구조적 요인을 꼽았다. 의식주 중에서는 주거 물가 상승률이 연 5.5%로 가장 가파르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항목별로 ...
기사 본문
■ 한경협, 최근 5년 물가 분석 가스 등 주거는 연평균 5.5%↑ 식생활 4.6%·의류 2.9% 올라 국제 에너지값 상승 등이 원인 최근 5년간 전기요금과 아파트 관리비, 식료품, 의류 등 의식주 물가가 연평균 4.6% 오르면서 전체 소비자 물가 상승률(2.8%)을 크게 뛰어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민생과 직결된 의식주 물가의 가파른 상승으로 서민의 체감 물가부담이 더 커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김상봉 한성대 교수에게 의뢰한 ‘민생물가 상승 요인 분석 및 대책’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민생물가 안정을 위한 근본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2019∼2024년 소비자물가지수 중분류 항목 중 의식주와 관련되고, 상승률이 높은 항목을 중점적으로 분석했다. 의식주 물가 중에서 전기·가스·수도 요금 등 주거 물가 상승률(연평균 5.5%)이 가장 가팔랐다. 이를 구성하는 세부항목 중에선 전기·가스 비용 등이 7.0%의 상승률로 가장 높았고, 수도 및 주거 관...
기사 본문
한경협, 소비자물가 중 의식주 항목 분류 주거물가, 인건비, 식료품 물가 상승 빨라 "민생 물가 안정을 위한 근본 대책 필요" 서울 창동 하나로마트. 해당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 뉴스1 [서울경제] 최근 5년 간 전기요금, 장바구니, 아파트 관리비 등 의식주(衣食住) 물가가 소비자물가보다 더 빠른 속도로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주거 물가와 인건비가 상승하면서 전체 물가를 끌어올렸다. 특히 실제 통계와 국민들의 체감 물가의 괴리가 커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6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한성대학교 김상봉 교수에게 의뢰한 ‘민생물가 상승 요인 분석 및 대책’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4년까지 최근 5년간 의식주 물가는 연평균 4.6% 상승, 같은 기간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2.8%)보다 1.8%포인트 높았다. 의식주 중 주(住)가 5.5%로 가장 가파르게 상승했고 식(食) 4.6%, 의(衣) 2.9% 순이었다. 한경협 관계자는 “민생과 직결된 의식주 물가의 가...
기사 본문
전체 물가 상승률보다 높아 주거 5.5%로 상승세 가장 커 식재료비 올라 외식 물가도 상승 "의식주 분야별 대책 마련해야" 최근 5년간 전기요금, 장바구니, 아파트 관리비 등 의식주 물가가 급등하면서 실제 물가상승률보다 체감 물가 부담이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는 16일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에게 의뢰한 '민생물가 상승 요인 분석 및 대책' 보고서를 통해 최근 5년간(2019~2024년) 의식주 물가 연평균 상승률이 4.6%로, 전체 물가(2.8%) 대비 1.8%포인트 높았다고 밝혔다. 한경협은 "민생과 직결된 의식주 물가의 가파른 상승으로 서민들의 체감물가 부담이 컸을 것"이라며 민생물가 안정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의식주 항목 중 가장 높은 상승세를 보인 것은 주거 물가였다. 최근 5년간 주거 물가는 연평균 5.5% 올라 전체 물가 상승률을 크게 웃돌았다. 세부적으로는 ▲전기·가스 및 기타연료(7.0%) ▲수도·주거 관련 서비스(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