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 50% 관세 위기…정부, 공급과잉 품목 설비 감축

2025년 11월 04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51개
수집 시간: 2025-11-04 12:57:29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연합뉴스TV 2025-11-04 11:07:09 oid: 422, aid: 0000798015
기사 본문

미국의 철강 50% 고율 관세로 철강 산업 위기가 커지는 가운데 정부가 철강 공급 과잉 품목에 대해 선제적으로 설비 규모 조정에 착수합니다. 산업통상부는 오늘(4일) 경제장관회의에서 "더 이상 범용재 경쟁력만으로는 철강산업 경쟁력을 유지하기 어렵다"며 이같은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정부는 앞으로 공급과잉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수입재 침투율이 낮은 철근에 대해 설비 규모 조정에 중점 착수합니다. 필요시에는 국회 협의를 거쳐 '철강 특별법' 등 대안을 모색할 예정입니다. 또 특수탄소강 미래 시장 선점을 위해 2천억 원 규모의 지원을 통해 기술력과 생산 기반을 확보할 방침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문화일보 2025-11-04 12:11:27 oid: 021, aid: 0002747522
기사 본문

■ 정부 철강산업 고도화 추진 수출 보증상품 4000억 등 지원 정부가 벼랑 끝에 몰린 철강업계를 살리기 위한 대대적인 구조조정에 나선다. 정부는 대규모 공적 자금을 투입해 철강의 품목별 경쟁력을 강화하고, 차세대 철강 생산을 위한 기반 확대와 연구·개발(R&D)을 위한 투자도 늘린다는 방침이다. 정부의 대책을 계기로 경기 침체 및 중국발 밀어내기로 인한 공급과잉과 미국발 고율 철강 관세 등 겹악재에 시름하고 있는 국내 철강업계가 위기를 돌파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4일 한국철강협회와 포스코경영연구원 등에 따르면, 국내 조강(가공 전 철근) 생산량은 지난 2018년 7250만t에서 지난해 6350만t으로 감소했다. 올해 우리나라의 조강 생산량은 6300만t 수준까지 떨어질 것으로 추산된다. 국내 건설 경기 부진 여파가 길어지면서 올해 철근 수요도 역대 최저치인 720만t에 그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지난해 국내 철근 수요는 798만t으로 지난 2021년(1132만t)에 비해 이미 ...

전체 기사 읽기

SBS Biz 2025-11-04 12:05:11 oid: 374, aid: 0000472729
기사 본문

[앵커] 내수 침체와 수입산 저가 제품 공습으로 위기에 처한 철강업계를 살리기 위해 정부가 철강산업 구조개편에 나섰습니다. 철근 같은 범용 제품 생산은 점차 줄여가 나고 특수강 등 고부가 제품 생산을 늘리는 게 골자인데, 그간 업계에서 꾸준히 요구했던 전기요금 한시적 인하는 대책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류정현 기자, 먼저 철강산업 구조개편안부터 전해주시죠? [기자] 정부가 철강산업 구조조정을 위해 철근 등 범용 설비를 감축하고 특수강 등 고부가 제품 생산을 지원하는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을 오늘(4일) 발표했습니다. 철근, 형강, 강판 같은 공급과잉이 심한 제품 생산 설비를 줄이고 특수탄소강 등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으로 철강업계 체질을 바꿔나가기로 했습니다. 경쟁력이 약화해 공급과잉이 심화하는 품목에 대해 선제적으로 설비 규모를 조정하겠다는 겁니다. [김정관 /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 범용재 중심의 현재 구조로는 설비 및 원가 경쟁력 약화를 피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지금이 산업구조 ...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1-04 11:04:52 oid: 001, aid: 0015722790
기사 본문

정부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저가 수입 차단·KS 인증 강화도 철강업계 "설비조정 방향·지원대책 담아 의미…사후조치·발전 기대" 수출 앞둔 철강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정부가 4일 발표한 '철강 산업 고도화 방안'은 국내 철강산업이 공급과잉과 산업 성숙으로 날로 경쟁력을 잃어가는 현실을 타개하고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을 담고 있다. 공급과잉으로 출혈 경쟁 양상이 나타나는 철근 품목에 대해서는 정부가 주도해 과잉 설비를 조정하고, 미래 먹거리로 불리는 저탄소·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전환을 위한 지원에 방점이 찍혔다. 산업통상부는 이날 대책에서 '설비 규모 조정' 카드를 처음 꺼내며 '3대 원칙'을 제시했다. 먼저 공급과잉 품목 중 시장 자율적 조정 계획이 미진한 경우 정부가 나서서 자율적 조정 계획 도출을 위한 여건을 조성하겠다고 했다. 대표적으로 꼽은 생산 조정 품목은 철근이다. 철근은 연간 수입 규모가 20만t 내외로 수입재 침투율이 3%로...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