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아파트 3만6600여가구 공급…일반분양은 2만3300여가구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전국 11월 아파트 분양 전년比 24% 증가 수도권에 74% 집중 직방은 이달 전국 아파트 분양 예정 물량이 총가구수 기준 3만6642가구로, 지난해 11월(2만9462가구) 대비 24% 늘어날 예정이라고 3일 밝혔다. 2024년 11월과 올해 11월 전국 아파트 분양 예정 물량 비교. /직방 제공 일반분양 가구는 같은 기간 21% 늘어난 2만3396가구로 전망됐다. 특히 이달 분양 예정 물량의 약 74%는 수도권에 몰려있다. 경기 2만437가구, 인천 5364가구, 서울 1230가구로 수도권이 2만7031가구에 달한다. 지방에선 9611가구가 분양된다. 이달 수도권에서 분양을 앞둔 총 29개 단지 가운데 7곳(24%)은 규제지역, 22곳(76%)은 비규제지역에 위치한다. 물량 기준으로는 비규제지역이 1만8247가구(68%)로, 규제지역 8784가구(32%)의 두 배가 넘는다. 서울 25개 구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으로 묶은 10·15대책에 따...
기사 본문
[11월 분양]반포3주구·서초신동아 재건축 경기 2만가구…'풍무역 푸르지오 더 마크' 지방 9611가구…부산에 2400여가구 공급 2025년이 불과 2개월 남은 시기, 건설사들이 분양 물량을 쏟아낸다. 지난해 11월 대비 4000가구 이상 많은 일반공급량이 이달 예상된다. 규제 강화 흐름 속 비규제지역에 많은 물량이 나온다. 다만 규제로 묶인 서울이 더 큰 관심을 받는다. 서초·반포 등 선호도 높은 입지에 시세보다 낮은 가격의 재건축 단지 분양이 예정돼 있어서다.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는 신규 택지를 중심으로 1000가구 이상 대단지들이 청약을 받는다. 4일 부동산 정보업체 직방과 리얼투데이, 대한주택건설협회 등에 따르면 이달 전국 아파트 분양 예정 물량은 총 3만6642가구(30가구 미만·임대아파트·사전청약 제외)다 전년 동월(2만9462가구) 대비 24% 많다. 일반분양 가구수는 2만3396가구로 전년(1만9319가구)보다 21% 늘어난다. 지역별 물량을 살피면 수도권 내 비규...
기사 본문
부동산R114, 전국 1만47837가구 분양 전망 경기 물량이 전체의 72% 차지. 지방 0.9만 가구 분양시장 위축에도 연말까지 분양밀어내기 이어질듯 초강력 규제인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으로 서울 및 수도권 집값 상승세가 다소 둔화한 가운데 이달 수도권 분양물량이 올해 월간 기준 최대를 기록할 전망이다. 정부의 규제로 분양시장이 위축되고 있지만 올 연말까지는 계획 물량이 최대한 분양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다. 4일 부동산R114(www.r114.com)에 따르면 이달 전국에서 4만7837가구(임대포함 총가구수)의 분양 물량이 예측됐다. 올해 월간 기준 최대 물량으로 전월(1.7만) 및 지난해 동기(3.2만)와 비교해도 1.5만~3.1만 가구 많은 수준이다. 특히 2021년 12월 5만9447가구 분양 이후 최근 4년여 새 월간 기준 최대 물량이다. 이 중 수도권 분양 예정물량은 총 3만8833가구로 이는 2016년 10월(4만9096가구 분양) 이후 약 9년 만에 월...
기사 본문
수도권 3만8833가구, 지방 9004가구 [서울=뉴시스] 월간 아파트 분양물량 추이. (그래픽=부동산R114 제공) 2025.11.04.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정진형 기자 = 이달 전국 아파트 분양 물량이 임대를 포함해 5만가구에 육박할 것이란 예측이 나왔다.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으로 규제지역 청약 요건이 까다로워졌지만 연말 '밀어내기'로 역대급 물량이 청약시장에 나올 전망이다. 4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11월 전국에서 4만7837가구(임대포함 총가구수)의 분양물량이 예측됐다. 올해 월간 기준 최대 물량으로 전월 1만6811가구 및 작년 동기(3만2000여가구)와 비교해도 1.5~3.1만가구 많은 수준이다. 특히 2021년 12월 5만9447가구 분양 이후 최근 4년여 사이 월간 기준 최대 물량이라는 게 부동산R114의 설명이다. 부동산R114는 "까다로운 청약 조건과 재당첨 제한, 중도금 대출 규제 강화에도 건설사는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