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 테슬라 ESS 배터리 공급 기대감…장중 52주 신고가

2025년 11월 04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37개
수집 시간: 2025-11-04 12:17:51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뉴시스 2025-11-04 10:15:25 oid: 003, aid: 0013579041
기사 본문

3조 규모 테슬라 ESS 공급설 삼성SDI, 장중 52주 신고가 [서울=뉴시스] 삼성SDI 기흥사업장 본사. (사진=삼성SDI 제공) 2025.4.25.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배요한 기자 = 삼성SDI가 테슬라에 3조원 규모의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배터리를 공급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장중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다만 삼성SDI는 이와 관련해 "해당 기사와 관련해 배터리 공급 논의를 진행 중이나, 구체적으로 확정된 사항은 없다"고 밝혔다. 4일 오전 10시 5분 현재 삼성SDI는 전 거래일보다 5.05%(1만6500원) 오른 34만3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장 초반에는 35만4500원(8.40%)까지 오르며 52주 신고가를 새로 썼다. 앞서 전날 장 마감 후 한 매체는 삼성SDI가 테슬라와 3년에 걸쳐 총 3조원 규모의 ESS용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보도했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삼성SDI는 미국 인디애나주에 있는 스텔...

전체 기사 읽기

한국경제 2025-11-03 17:48:18 oid: 015, aid: 0005206313
기사 본문

테슬라도 뚫은 삼성SDI ESS… 배터리 兆단위 공급 최소 3년간…첫 대규모 납품 LG엔솔도 물량 50% 확대 협의 삼성SDI가 미국 테슬라에 3조원이 넘는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배터리를 3년에 걸쳐 공급할 예정이다. 삼성SDI가 미국 ESS업계 1위인 테슬라에 배터리를 조 단위로 납품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 7월 테슬라에 연 20기가와트시(GWh) 규모 ESS용 배터리 공급 계약을 맺은 LG에너지솔루션은 납품 물량을 연 30GWh로 50% 늘리는 방안을 협의 중이다. 테슬라가 그동안 중국 CATL 배터리를 주로 사용해 온 만큼 미국의 ‘배터리 탈(脫)중국’ 정책 수혜가 한국 기업에 돌아오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3일 ESS업계에 따르면 테슬라 ESS 담당 임직원이 지난주 방한해 삼성SDI와 배터리 공급과 관련해 핵심 사안을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SDI는 최소 3년 동안 매년 10GWh 안팎의 배터리를 공급하기로 했다. 1GWh당 매출이 1000억~1500억원이...

전체 기사 읽기

한국경제 2025-11-03 17:46:23 oid: 015, aid: 0005206308
기사 본문

최소 3년간…첫 대규모 납품 LG엔솔도 물량 50% 확대 협의 삼성SDI가 미국 테슬라에 3조원이 넘는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배터리를 3년에 걸쳐 공급할 예정이다. 삼성SDI가 미국 ESS업계 1위인 테슬라에 배터리를 조 단위로 납품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 7월 테슬라에 연 20기가와트시(GWh) 규모 ESS용 배터리 공급 계약을 맺은 LG에너지솔루션은 납품 물량을 연 30GWh로 50% 늘리는 방안을 협의 중이다. 테슬라가 그동안 중국 CATL 배터리를 주로 사용해 온 만큼 미국의 ‘배터리 탈(脫)중국’ 정책 수혜가 한국 기업에 돌아오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3일 ESS업계에 따르면 테슬라 ESS 담당 임직원이 지난주 방한해 삼성SDI와 배터리 공급과 관련해 핵심 사안을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SDI는 최소 3년 동안 매년 10GWh 안팎의 배터리를 공급하기로 했다. 1GWh당 매출이 1000억~1500억원이 나오는 만큼 이 정도 규모면 1조~1조5000억원이 ...

전체 기사 읽기

아시아경제 2025-11-04 11:22:59 oid: 277, aid: 0005674200
기사 본문

수요 둔화 장기화에 새 돌파구 LG에너지솔루션과 스텔란티스가 캐나다에 세운 합작공장이 일부 라인을 전기차용에서 에너지저장장치(ESS)로 전환하며 생산 조정에 나선다. 전기차 수요 둔화가 장기화하자 국내 배터리 업계가 전기차 배터리 생산라인을 ESS용으로 전환하는 등 돌파구를 모색하고 있다. 에너지저장장치(ESS). 넥스트스타에너지 4일 외신과 배터리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과 스텔란티스의 합작사 넥스트스타에너지는 캐나다 온타리오주 윈저 공장의 전기차 배터리 생산 라인 일부를 리튬인산철(LFP) 기반 ESS용으로 전환해 연내 양산을 추진한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 6월 미시간 홀랜드 공장에서 LFP ESS 배터리 양산을 시작했으며 중국 난징과 폴란드 브로츠와프 공장도 일부 라인 전환을 검토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국내 배터리 3사의 내년 ESS 배터리 생산 능력 목표는 총 60~70기가와트시(GWh) 수준이다. LG에너지솔루션이 30GWh 이상, 삼성SDI 30GWh, SK온...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