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건설 3분기 영업익 작년 대비 81.5%↑…"원가율 안정화"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GS건설은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1천485억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81.5%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오늘(4일) 공시했습니다. 이는 연합인포맥스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 1천17억원을 46% 웃도는 수준입니다. 매출은 3조2천80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3.2% 증가했습니다. 순이익은 1천221억원으로 같은 기간 1.0% 늘었습니다. 다수의 건축주택사업본부 고원가율 현장 종료와 함께 인프라, 플랜트사업본부의 이익률 정상화 등 전체 사업본부의 원가율이 안정화된 것이 주요 특징입니다. 3분기 신규 수주액은 4조4천529억원으로, 올해 3분기까지 누적 수주액이 12조3천386억원에 이르렀습니다. GS건설은 건축주택사업본부에서 '쌍문역 서측 도심공공주택 복합사업'(5천836억원)과 '신길제2구역 재개발 정비 사업'(5천536억원) 등이, 인프라사업본부에서 '부산항 진해 신항 컨테이너 부두 1-1단계 2공구'(1천100억원) 등이 수주 실적을 이끌었다고 설명했습니다. 3분...
기사 본문
GS건설CI. [사진 GS건설] [이코노미스트 이승훈 기자] GS건설이 원가 관리와 수익성에 기반한 선별 수주로 3분기 실적 개선에 성공했다. GS건설은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1485억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81.5%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4일 공시했다. 매출은 3조2080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3.2% 증가했다. 순이익은 1221억원으로 같은 기간 1.0% 늘었다. 3분기 신규 수주액은 4조4529억원으로, 올해 3분기까지 누적 수주액이 12조3386억원에 이르렀다. GS건설은 건축주택사업본부에서 ‘쌍문역 서측 도심공공주택 복합사업’(5836억원)과 ‘신길제2구역 재개발 정비 사업’(5536억원) 등이, 인프라사업본부에 ‘부산항 진해 신항 컨테이너 부두 1-1단계 2공구’(1100억원) 등이 수주 실적을 이끌었다고 설명했다. 3분기 누적 영업이익은 작년 동기(2457억원) 대비 55.0% 증가한 3809억원을 나타냈다. 3분기 누적 매출은 9조4670억원...
기사 본문
GS건설의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1년 전보다 81.5% 증가한 1485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GS건설은 올해 3분기 매출은 3조 2080억원으로 전년 동기(3조 1092억원) 대비 3.2% 증가했다고 4일 공시했다. 3분기 누적 매출은 9조4670억원으로 전년 동기(9조 4774억원) 수준을 유지했다. 3분기 영업이익 1485억원은 전년 동기(818억원) 대비 81.5% 증가한 수준이다. 3분기 누적 영업이익은 3809억원으로 전년(2457억원) 대비 55.0% 늘어났다. 특히, 다수의 건축주택사업본부 고원가율 현장 종료와 함께 인프라, 플랜트사업본부의 이익률 정상화 등 전체 사업본부의 원가율이 안정화되면서 3분기 누계 기준 영업이익률은 전년 2.6%에서 4.0%로 개선됐다. 3분기 신규 수주는 4조 4529억원으로 3분기 누적 12조3,386억원을 기록했다. 기존 전망치(가이던스) 14조3000억원 대비 86.3%를 달성했다. 사업본부별로는 건축주택사업본부에서 쌍문역서측 도심공...
기사 본문
올 3분기 매출 3.2%↑·누적은 전년 수준 유지 누적 영업익 3809억…전년 대비 55% 늘어 3분기 부채비율 239.9%·전년 대비 10%포인트↓ GS건설이 시장 전망을 웃도는 3분기 실적을 내놨다. 원가 구조를 개선하고 사업성 중심으로 선별 수주하는 전략으로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늘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GS건설은 4일 잠정 경영실적을 공시했다. 올해 3분기 매출은 3조2080억원으로 전년 동기(3조1092억원) 대비 3.2% 증가했다. 3분기 누적 매출은 9조467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9조4774억원)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대폭 늘었다. 3분기 영업이익은 1485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818억원)보다 81.5% 급증했다. 3분기 누적 영업이익도 3809억원으로 지난해 동기(2457억원)보다 55% 늘었다. 올해 들어 3분기까지 누적 영업이익률은 4.0%를 기록했다. 전반적인 원가 구조가 개선된 영향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회사 관계자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