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물가 상승률, 15개월 만에 최대…추석 여행이 견인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종합) [세종=뉴시스] 강종민 기자 = 이두원 국가데이터처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이 4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5년 10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발표하고 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7.42(2020=100)로 전년 동월 대비 2.4%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5.11.04. ppkjm@newsis.com /사진=강종민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4%를 기록하며 1년 3개월 만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긴 추석 연휴로 여행·숙박 수요가 늘면서 물가를 끌어올렸다. 국가데이터처가 4일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7.42(2020년=100)로 전년 동월 대비 2.4% 올랐다. 지난해 7월(2.6%) 이후 15개월 만의 최대 상승폭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6~7월 2%대를 유지하다가 8월 1.7%로 둔화됐지만 9월 2.1%, 10월 2.4%로 다시 오름세를 이어갔다. 물가 흐름이 재차 상승 국면으로 전환된 셈이다. 이번 상승의 핵심...
기사 본문
긴 추석 연휴에 개인서비스 '껑충'…정부 "소비쿠폰 영향은 없어" 석유류 4.8%·사과 21.6%·쌀 21.3% 상승…외식 3.0%·가공식품 3.5%↑ 롯데마트 서울역점의 채소 코너. ⓒ News1 오대일 기자 (세종=뉴스1) 임용우 전민 기자 =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1년 전보다 2.4% 오르며 상승 폭이 확대됐다. 채소류 가격은 14.1% 하락하며 안정세를 보였지만, 과일과 축산·수산물, 가공식품 등 먹거리 물가 불안이 여전히 계속됐다. 이에 더해 환율 상승과 유류세 한시적 인하 폭 축소 등의 영향으로 석유류 가격 오름폭이 커지고, 긴 추석 연휴에 개인서비스 가격도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 다만 정부는 외식 제외 개인서비스 가격 상승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발급 영향은 없다면서도 향후 기상여건 등으로 인한 농축수산물 등 물가 불확실성을 여전하다고 평가했다. 국가데이터처가 4일 발표한 '2025년 10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7.42(2020=100)로 1년...
기사 본문
쌀 21.3%, 사과 21.6% 상승 석유류(4.8%)는 8개월만 최고 장기 연휴 효과로 서비스 물가↑ 해외단체여행비(12.2%) 등 올라 OECD 기준 근원물가 2.2% 상승 구 부총리 "생활 물가 안정 총력" 지난달 소비자 물가가 2.4% 오르며 15개월 만에 최고치를 찍었다. 쌀과 사과 등 일부 농산물을 포함한 농축수산물 및 석유류 가격이 상승한 데다 장기 추석연휴에 따른 숙박, 여행 등의 서비스 물가가 함께 오른 데 따른 결과다. 정부는 앞으로 생활물가 안정에 집중할 계획이다. 당장 이달부터는 김장철을 맞아 장바구니 물가 부담을 줄이는 데 힘쓰기로 했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물가관계장관회의 및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국가데이터처가 4일 발표한 '2025년 10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4% 상승했다. 이는 전월(2.1%)보다 0.3...
기사 본문
국가데이터처, 10월 소비자물가동향…작년 7월 이후 최고 농축수산물(3.1%), 가공식품(3.5%), 외식(3.0%) 고공행진 환율 영향에 석유류 4.8% 상승…경유 8.2%·휘발유 4.5%↑ 근원물가 상승률 2.2%…2024년 7월 이후 최고치 정부 "향후 기상여건 등 불확실성…체감물가 안정 총력" [서울=뉴시스] 권창회 기자 = 2일 서울 시내 한 주유소에 유가정보가 게시되어 있다. 2025.11.02. kch0523@newsis.com [세종=뉴시스] 안호균 박광온 기자 = 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작년 7월(2.6%) 이후 최고이자 올 들어 가장 높은 2.4%를 기록했다. 먹거리 가격이 고공행진을 지속했고, 환율 상승과 단계적 유류세 인하 축소 등 영향으로 석유류 가격이 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4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7.42(2020=100)로 전년 동월 대비 2.4% 상승했다. 올해 소비자물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