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 지원사업, AI 기반으로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바뀐다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 발표 중소벤처기업부는 4일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수요자 중심·인공지능(AI) 기반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번 대책은 중소기업 현장 간담회와 중소기업 지원 공공기관 정책협의회 등을 통해 업계 및 관련기관의 의견을 수렴해 마련됐다. 대책의 추진 방향은 ▲중소기업 통합지원 플랫폼 구축 ▲AI 기반 맞춤형 서비스 제공 ▲디지털화로 서류부담 감축 ▲불법 브로커 등 제3자 부당개입 차단 ▲시장·AI 기반 혁신기업 선별 강화이다. 우선 지원사업 정보를 제공하는 양대 플랫폼인 기업마당과 중소벤처24의 서비스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제공한다. 정부 부처, 지자체 등이 주관하는 2700여개 중소·벤처기업·소상공인 지원사업 공고를 통합 제공하고 중소기업 확인서, 벤처기업 확인서 등 21종의 확인·인증서를 통합 발급한다. 또한 통합플랫폼 로그인만으로 지원사업 신청까지 원스톱으로 가능하도록 지원사업 신청채널들과 연결할 예정이다. 먼저 중기부...
기사 본문
2700여개 지원 공고 통합 제공 AI 기반 중소기업 지원체계 구축 관세 정보 맞춤형 정보 제공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 중소벤처기업부 제공 [파이낸셜뉴스] 중소벤처기업부가 중소기업 지원 사업을 한 데 모아 볼 수 있는 통합지원 플랫폼을 곧 공개한다. 중소기업에 관세 정보를 제공하고 맞춤형 수출국가를 추천해주는 인공지능(AI) 서비스도 내달 개시할 예정이다. 4일 중소벤처기업부는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수요자 중심·AI 기반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개선 방안은 △중소기업 통합지원 플랫폼 구축 △AI 기반 맞춤형 서비스 제공 △디지털화로 서류부담 감축 △불법 브로커 등 제3자 부당개입 차단 △시장·AI 기반 혁신기업 선별 강화를 골자로 한다. 기업마당만 봐도 한눈에 정책 파악 먼저 중기부는 기존 플랫폼 '기업마당'과 '중소벤처24'를 하나의 플랫폼으로 통합하기로 했다. 정보가 분산돼 있어 어디서 찾고 신청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현장 목소리를 반영한 조...
기사 본문
중기 현장 목소리 반영한 세부 추진 방안 마련 AI 기반으로 중소기업 지원사업 본격 구축 [서울경제] 중소벤처기업부는 4일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수요자 중심·인공지능(AI) 기반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번 대책은 올해 8월 21일 한성숙 장관이 주재한 중소기업 현장 간담회와 지난 달 1일 주재한 ‘중소기업 지원 공공기관 정책협의회’ 등을 통해 업계 및 관련기관의 의견을 수렴해 마련됐다. 그간 기업 간담회 등에 참석한 중소기업들은 ‘지원사업 정보를 어디서 찾고, 어디서 신청 해야할지 모르겠다’, ‘생업이 바쁜데 신청서류가 너무 많아 고액의 수수료를 내고서라도 브로커의 손을 빌릴 수 밖에 없다’, ‘우리 기업의 기술을 평가위원이 잘 모르는 것 같다’ 등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에 중기부는 이번 대책에는 이러한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했다. 대책의 추진 방향은 △‘중소기업 통합지원 플랫폼’ 구축 △AI 기반 맞춤형 서비스 제공 △디지털화로 서류부담 감축...
기사 본문
중기부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 발표 통합 지원 플랫폼으로 서류 9개→4.4개 줄어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지난 9월 22일 오전 서울 종로구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서울중부센터에서 열린 제3자 부당개입 없는 정책자금 생태계 조성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5.9.22/뉴스1 ⓒ News1 오대일 기자 (서울=뉴스1) 이정후 기자 = 중소벤처기업부가 중소기업 지원사업 정보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중소기업 통합 지원 플랫폼'을 AI 기반으로 구축한다. 이를 통해 기업이 제출하는 서류는 평균 9개에서 4.4개로 대폭 줄어들 전망이다. 중기부는 4일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수요자 중심·AI 기반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번 대책은 지난 8월 한성숙 장관이 주재한 '중소기업 현장 간담회'와 10월 주재한 '중소기업 지원 공공기관 정책협의회' 등을 통해 업계 및 관련 기관의 의견을 수렴해 마련됐다. 대책의 추진 방향은 △중소기업 통합...
기사 본문
중소벤처기업부가 중소기업 지원사업을 찾고 신청하는 전 과정을 인공지능(AI) 기반으로 개선한다. 복잡한 행정 절차와 과도한 서류 부담을 줄이고, 불법 브로커 개입을 차단하는 등 '고객 체감형 지원체계'로 전환한다는 목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4일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수요자 중심·AI 기반의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지난 8월 현장 간담회와 10월 정책협의회를 통해 업계 의견을 수렴한 결과 마련됐다. 중소벤처기업부 그간 중소기업은 각 부처와 기관별로 흩어진 2,700여 개 지원사업 정보를 일일이 찾아야 했다. 정부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중소기업 통합지원 플랫폼(가칭 기업마당)'을 구축, 기업마당과 중소벤처24를 통합 운영한다. 중소기업 확인서, 벤처기업 확인서 등 21종의 확인·인증서를 한곳에서 발급하고, 중기부 37개 신청채널을 시작으로 타 부처 기관까지 원스톱 신청이 가능하도록 연계한다. 또 AI가 기업의 업종·지역, 수혜 이력, 검색기록 ...
기사 본문
중기부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 AI가 업종·지역에 맞는 지원사업 추천 불법 브로커 예방·신고 채널 신설키로 중소벤처기업부가 4일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사진은 서울 한 시중은행의 소상공인·자영업자 전담창구 모습. [연합] “지원사업 정보를 어디서 찾고, 어디서 신청해야할지 모르겠다” “생업이 바쁜데 신청서류가 너무 많아 고액의 수수료를 내고서라도 브로커의 손을 빌릴 수 밖에 없다” 정부가 정책 수요자인 중소기업들을 위해 지원사업 체계를 대폭 개편한다. 이를 위해 2700여개 지원사업 공고를 한곳에서 확인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을 구축하기로 했다.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4일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수요자 중심·AI 기반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중기부는 우선 지원사업 정보를 제공하는 양대 플랫폼인 기업마당과 중소벤처24의 서비스를 통합한 ‘중소기업 통합지원 플랫폼(가칭 기업마당)’을 구축한다. 정부부처, 지자체 ...
기사 본문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 발표 지원사업 한곳서 찾고 원스톱 신청 키워드 입력하면 AI가 계획서 써줘 중소기업들이 정부 지원사업을 한 곳에서 찾고 신청도 바로 할 수 있는 원스톱 체계가 마련된다. 인공지능(AI)이 중소기업 이력을 바탕으로 알맞은 지원사업도 추천해주고 사업계획서도 써준다. 4일 중소벤처기업부는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이같은 수요자 중심·AI 기반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우선 ‘중소기업 통합지원 플랫폼’(가칭 ‘기업마당’)을 구축한다. 정부부처와 지자체 등이 주관하는 2700여개 중소·벤처기업·소상공인 지원사업 공고를 통합 제공하고 중소기업 확인서, 벤처기업 확인서 등 21종의 확인·인증서를 통합 발급해준다. 통합플랫폼 로그인만으로 지원사업 신청까지 원스톱으로 가능하도록 지원사업 신청채널들과 연결할 예정이다. 먼저 중기부의 37개 신청채널과 연결한 뒤 부처 협의를 거쳐 타 부처의 중소기업 지원 공공기관으로도 확대할 계획이다. 중소기업과 ...
기사 본문
한성숙 장관 "공공도 서비스 혁신 이뤄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불편하게 하지 말아야"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 방안. 중기부 제공 "중소기업 지원사업 정보를 어디서 찾고, 어떻게 신청해야 할지 모르겠다" "생업이 바쁜데 신청 서류가 너무 많아 고액의 수수료를 내고서라도 브로커 손을 빌릴 수밖에 없다" 지난 8월 21일과 지난달 1일 중소벤처기업부 한성숙 장관이 각각 주재한 '중소기업 현장 간담회'와 '중소기업 지원 공공기관 정책협의회' 등에서 나온 중소기업인들의 목소리다. 정부가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정작 수요자인 중소기업인들은 그 효과를 온전하게 누리지 못하고 있다는 절절한 호소다. 이에 중기부가 현장 의견을 적극 반영한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을 4일 열린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발표했다. 중소기업 지원 체계를 수요자들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AI(인공지능) 기반으로 혁신하겠다는 게 핵심이다. 중소기업 통합지원 플랫폼 구축, 지원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