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철강산업 숨통 트일까…산업부, '4000억 보증 프로그램' 신설

2025년 11월 04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44개
수집 시간: 2025-11-04 11:08:07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8개

뉴시스 2025-11-04 10:00:00 oid: 003, aid: 0013578948
기사 본문

美 통상장벽 강화에 중소·중견 지원 포스코·기업은행·무보 공동으로 추진 [포항=뉴시스] 강진구 기자 = 경북 포항시는 철강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추진해 오던 ‘철강산업 재도약 기술개발사업’이 과기정통부 예비타당성 조사 기술성평가를 통과하는 쾌거를 달성했다고 9일 밝혔다.사진은 고로 전경.(사진=포항시 제공) 2019.12.09. photo@newsis.com [세종=뉴시스]손차민 기자 = 정부가 미국 등 주요국의 통상장벽 강화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중견 협력사와 파생상품 생산업체를 지원하기 위해 철강산업에 대한 4000억원 규모의 보증 프로그램을 신설한다. 산업통상부는 4일 서울 중구 대한상의에서 '철강 수출공급망 강화 보증상품 신설 업무협약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이날 오전 산업경쟁력강화관계장관회의에서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을 발표했다. 설비조정 지원, 통상대응, 고부가·저탄소 전환 등을 추진해 근본적 경쟁력 제고를 도모할 계획이다. 그 일환으로 산업부는 수출기업...

전체 기사 읽기

헤럴드경제 2025-11-04 10:33:13 oid: 016, aid: 0002552297
기사 본문

형강·강관·철근 등 공급과잉 품목 선제 조정 수출문제 해소·친환경 제품 개발 속도전 업계 “맞춤형 정책 지원으로 실효성 높여야” “美 50% 관세·EU TRQ 해결 시급” 목소리도 경북 포항시 포스코 포항제철소 제2고로에서 관계자들이 쇳물을 생산하는 출선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헤럴드DB] [헤럴드경제=김성우 기자] ‘산업의 쌀’로 통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고율 관세와 중국 저가 제품 유입으로 인한 공급과잉 등으로 생존의 위기에 놓인 국내 철강업을 살리기 위해 정부가 본격적인 칼을 빼들었다. 관세 피해 기업에 대한 지원과 업계 구조개편, 저탄소 핵심 제품의 고도화 등 속도감 있는 대책에 방점이 찍힌 가운데 한층 속도감 있는 맞춤형 정책 지원이 시급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가 이날 발표한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은 크게 ▷공급과잉 품목에 대한 설비규모 조정 ▷수출기업 지원 및 통상대응 강화 ▷저탄소·고부가제품으로의 산업 전환(특수탄소강...

전체 기사 읽기

아이뉴스24 2025-11-04 09:59:08 oid: 031, aid: 0000977658
기사 본문

산업통상부,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 발표 공급과잉 품목에 선제적 설비규모 조정 해외 수출장벽·불공정 철강 수입에 대응 철강 수출기업 지원위해 5700억원 투자 글로벌 공급 과잉과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 등으로 국내 철강업계의 수익성이 악화한 가운데 정부가 철강산업 생존력 확보와 미래경쟁력 강화를 위한 산업구조 재편에 나선다. 정부는 공급과잉 품목에 대한 선제적 설비규모 조정, 수출 기업 애로 해소·통상대응 강화, 수소 환원제철, 특수탄소강 등 저탄소·고부가 전환 등을 추진한다고 4일 밝혔다. 경기도 평택항에 철강 제품이 쌓여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산업통상부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및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했다.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은 △설비규모 조정·지원 △해외 수출장벽·국내 불공정 수입 대응 △기술개발, 인공지능(AI) 전환·수...

전체 기사 읽기

디지털데일리 2025-11-04 10:48:16 oid: 138, aid: 0002208579
기사 본문

철강산업에 5700억원 금융지원 경기도 평택항에 쌓여 있는 철강 제품. [ⓒ 연합뉴스] [디지털데일리 최민지기자] 정부가 철강산업 구조 재편에 나섰다. 공급과잉과 관세정책으로 위기징후가 확산된 철강산업 생존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4일 산업통상부는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산업경쟁력강화관계장관회의에서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했다. 정부는 경쟁력이 약화된 품목 설비규모를 조정하고, 고부가·저탄소 제품으로 전환해 미래 경쟁력을 확보한다. 동시에 5700억원 규모 정책금융을 지원해 관세 피해기업을 돕는다. ◆정부, 철강 구조조정 3대 원칙 제시 정부는 먼저 공급과잉 품목에 대해 설비규모를 조정한다. 철근을 비롯해 형강·강판 등 범용재 생산을 조정한다. 관련해 정부는 '철강 설비 규모조정 3대 원칙'을 제시했다. 경쟁력 약화 품목 중 기업 설비조정 계획이 있다면 지원한다. 시장 자율조정이 미진하다면 자율조정을 위한 여건을 조성한다. 경쟁력을 유지했다면 ...

전체 기사 읽기

매일경제 2025-11-04 17:40:11 oid: 009, aid: 0005584541
기사 본문

산업부 '철강산업 고도화 대책' 공급과잉 철근 자발적 조정땐 금융 지원 등 정부 '인센티브' 할당관세 대상 늘려 원가 절감 특수탄소강 등 고부가 품목엔 2천억 R&D 지원·4천억 보증 K스틸법 여야 대치에 '발목' 정책 공백에 업계 위기감 커져 산업부·철강업계 CEO 간담회 문신학 산업통상부 차관(왼쪽 둘째)이 4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철강업계 최고경영자(CEO) 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다. 한주형 기자 정부가 내놓은 '철강산업 고도화' 대책은 기업의 자발적인 사업 재편과 고부가가치 품목 육성에 초점을 맞췄다. 강종별로 수급 상황과 산업 특성이 달라 품목별 차등 접근 방식을 취한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국내 철강산업을 둘러싼 구조적인 환경 변화 속에 보다 속도감 있는 구조 재편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4일 산업통상부에 따르면 정부는 철강 설비 규모 조정에 세 가지 원칙을 마련하고 해당 기준에 따라 품목별 전략을 달리 적용하기로 했다. 먼저 기업들이 설비를 조정할 계획을 갖고 ...

전체 기사 읽기

파이낸셜뉴스 2025-11-04 18:09:17 oid: 014, aid: 0005429597
기사 본문

정부, 철강산업 대수술 시동 공급과잉 품목 선제적 조정 착수 수입재 침투율따라 체계적 대응 업계, K스틸법 조속한 입법 촉구 산업부, 철강업계 CEO와 간담회 문신학 산업통상부 차관(왼쪽 여섯번째)이 4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철강업계 최고경영자(CEO) 간담회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문 차관은 이날 정부의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 주요 내용을 공유하고 업계 의견을 청취했다. 문 차관은 "정책 효과가 현장에서 체감되려면 업계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정부가 발표한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의 출발점은 '설비규모 조정'이다. 정부는 철강 설비규모 조정 3대 원칙을 제시한 가운데 가장 먼저 '기업의 책임있는 경영'을 전제로 지원한다는 방침을 명확히 했다. 이는 앞서 구조조정에 들어간 석유화학산업에 '선(先)자구노력 후(後)지원' 원칙을 세운 것과 비슷한 맥락이다. 또 품목별 시장상황에 따라 지원책을 다르게 한다는 것도 특징이다. 이에 따라...

전체 기사 읽기

매일경제 2025-11-04 18:05:11 oid: 009, aid: 0005584628
기사 본문

구윤철, 석화업계엔 경고장 정부가 미국의 관세 부과와 국내 과잉생산에 따라 경영난에 빠진 철강업계를 대상으로 5700억원 규모의 금융 지원과 함께 생산설비 규모 조정을 시행한다.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4일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철강 관세 피해 기업을 대상으로 4000억원 규모의 수출 공급망 강화 보증을 추가로 신설해 총 5700억원의 금융 지원을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포스코와 IBK기업은행이 총 200억원을 출연하면 이를 바탕으로 한국무역보험공사가 4000억원 규모의 우대 보증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앞서 정부는 9월 초 미국 관세협상 후속 지원책으로 철강 분야에 대한 1700억원 규모의 금융 지원책을 발표한 바 있다. 미국은 지난 6월부터 철강·알루미늄 수입 제품에 50% 관세율을 적용하고 있으며 이번 한미 관세협상에 철강 분야는 포함되지 않았다. 산업통상부는 철근을 중심으로 기업들이 자발적 사업 재편을 하도록 여건을 조성하기로 했다. 한편 구 부총리는 이날 석유...

전체 기사 읽기

세계일보 2025-11-04 18:09:10 oid: 022, aid: 0004080186
기사 본문

정부, 고도화 방안 발표 4000억 규모 수출 보증상품 지원 구윤철 “석유화학 재편 마지막 기회” 정부가 석유화학(석화)산업에 이어 철강산업 구조 개편에도 시동을 걸었다.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와 세계적인 공급 과잉, 중국산 저가 철강 공세 등으로 위기에 처한 국내 철강산업의 생존력 확보와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은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및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철강 품목별로 차등을 둔 설비규모 조정의 3대 원칙을 제시했다. 먼저 형강, 강관 등 공급 과잉이 심화하는 품목은 기업이 설비조정에 나서면 고용유지 등 기업의 책임경영을 전제로 정부가 지원한다. 철근 등 시장의 자율적 조정이 어렵고 수입재 침투율이 낮은 ...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