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을 지켜라!"… 포항·광양·당진, ‘관세폭탄’ 맞서 국가 기간산업 수호 긴급회의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K-steel법 연내 조속 제정, 산업용 전기요금 인하, 철강산업 고도화 종합대책 등 논의 향후 국회 공동기자회견 추진, 산자부 대미관세협상TF에 지자체·기업 참여 요청키로 철강심장 도시들이 뭉쳤다! 포항·광양·당진시가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철강이 제외된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기간산업 사수 긴급회의를 개최했다. 포항·광양·당진시가 3일 ‘철강산업도시 단체장 긴급 영상회의’를 개최했다. 포항시 제공 세 철강도시는 3일 지역경제의 존립 자체를 위협받는 심각한 위기감 속에 '철강산업도시 단체장 긴급 영상회의'를 열고 범정부 차원의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이강덕 포항시장, 김정완 광양부시장, 황침현 당진부시장이 참석해 미국의 고율 철강관세 부과 이후 각 지자체의 수출 현황과 피해 상황을 공유하고, 위기 극복을 위한 공동 대응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회의 참석자들은 "철강산업은 국가 기간산업이자 제조강국의 근간으로, 포항·광양·당진은 국내 조강 생산의 93%를 차지하는 핵...
기사 본문
형강·강관·철근 등 공급과잉 품목 선제 조정 수출문제 해소·친환경 제품 개발 속도전 업계 “맞춤형 정책 지원으로 실효성 높여야” “美 50% 관세·EU TRQ 해결 시급” 목소리도 경북 포항시 포스코 포항제철소 제2고로에서 관계자들이 쇳물을 생산하는 출선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헤럴드DB] [헤럴드경제=김성우 기자] ‘산업의 쌀’로 통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고율 관세와 중국 저가 제품 유입으로 인한 공급과잉 등으로 생존의 위기에 놓인 국내 철강업을 살리기 위해 정부가 본격적인 칼을 빼들었다. 관세 피해 기업에 대한 지원과 업계 구조개편, 저탄소 핵심 제품의 고도화 등 속도감 있는 대책에 방점이 찍힌 가운데 한층 속도감 있는 맞춤형 정책 지원이 시급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가 이날 발표한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은 크게 ▷공급과잉 품목에 대한 설비규모 조정 ▷수출기업 지원 및 통상대응 강화 ▷저탄소·고부가제품으로의 산업 전환(특수탄소강...
기사 본문
산업통상부,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 발표 공급과잉 품목에 선제적 설비규모 조정 해외 수출장벽·불공정 철강 수입에 대응 철강 수출기업 지원위해 5700억원 투자 글로벌 공급 과잉과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 등으로 국내 철강업계의 수익성이 악화한 가운데 정부가 철강산업 생존력 확보와 미래경쟁력 강화를 위한 산업구조 재편에 나선다. 정부는 공급과잉 품목에 대한 선제적 설비규모 조정, 수출 기업 애로 해소·통상대응 강화, 수소 환원제철, 특수탄소강 등 저탄소·고부가 전환 등을 추진한다고 4일 밝혔다. 경기도 평택항에 철강 제품이 쌓여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산업통상부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및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했다.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은 △설비규모 조정·지원 △해외 수출장벽·국내 불공정 수입 대응 △기술개발, 인공지능(AI) 전환·수...
기사 본문
공급과잉 심한 철근·형강부터 자율 구조조정 유도 2030년까지 10대 특수강 품목에 2000억 투입 5500억 효과 예상되는 금융 지원 패키지 가동 사진= 한경DB 정부가 공급 과잉에 시달리는 철강산업의 체질 개선에 나선다. 철근·형강 등 범용 제품의 설비를 줄이는 대신, 특수탄소강과 수소환원제철 등 미래 성장 분야에 투자를 집중한다는 구상이다. 산업통상부는 4일 경제관계장관회의 및 산업경쟁력강화관계장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을 내놨다. 크게 △업계의 자율적 구조조정 지원 △고부가·저탄소 전환 투자 강화 △수출장벽·불공정 수입 대응 등 세 가지 방향으로 추진된다. 정부는 철강산업의 경쟁력을 근본적으로 재편하면서도 공급망과 지역경제의 충격은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방안은 글로벌 공급 과잉과 경기 둔화로 철강업계 수익성이 급격히 악화된 데 따른 조치다. 국내 철강 수입재 침투율은 2021년 26%에서 지난해 31%로 높아졌고, 업계 영업이익률은 같은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