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생활건강, '비전 AI'로 얼굴 부위별 노화 속도 차이 밝혀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눈가, 입술, 얼굴 윤곽 등 노화 속도 차이 보여 '안면 특징점 추출 기술' 적용 LG생활건강이 '비전 AI' 기술을 활용해 얼굴 부위별 노화 속도 차이를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LG생활건강 LG생활건강은 '비전 AI' 기술을 활용해 눈가, 입술, 얼굴 윤곽 등 얼굴 부위별 노화 속도의 차이를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LG생활건강은 최근 피부과학 분야의 저명한 국제 학술지인 '피부연구학회지' 온라인판에 연구 논문 '대규모 얼굴 이미지 분석 및 GWAS(전장 유전체 연관성 분석 기술)를 통한 얼굴 형태 노화의 유전적 구조 규명'을 게재하며 우수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았다. 이번 연구는 LG생활건강의 피부 장수 연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얼굴 이미지를 기반으로 피부 유형을 분류하는 비전 AI 기술을 적용한 최대 규모(한국인 대상 연구 중)의 얼굴 노화 연구 사례다. 특히 얼굴 부위 별로 정량화된 노화 지표를 제시했을 뿐만 아니라 특징적인 노화 패턴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원인...
기사 본문
비전AI 활용 韓여성 1.6만명 규모 연구 6가지 노화 지표 및 원인 유전자 발굴 LG생활건강의 안면 특징점 추출 기술 적용 예시(왼쪽), 얼굴 부위별 6가지 노화 지표 정의 예시(오른쪽) [LG생활건강] [헤럴드경제=강승연 기자] LG생활건강이 ‘비전 AI(Vision AI)’ 기술을 활용해 눈가, 입술, 얼굴 윤곽 등 얼굴 부위별 노화 속도의 차이를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LG생활건강은 최근 피부과학 분야의 저명한 국제 학술지인 ‘피부연구학회지(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온라인판에 이 같은 내용의 연구 논문 ‘대규모 얼굴 이미지 분석 및 GWAS(전장 유전체 연관성 분석 기술)를 통한 얼굴 형태 노화의 유전적 구조 규명)’을 게재했다. 이번 연구는 LG생활건강의 피부 장수(Skin Longevity) 연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얼굴 이미지를 기반으로 피부 유형을 분류하는 비전 AI 기술을 활용했다. 연구팀은 20~60대 ...
기사 본문
LG생활건강, 여성 1만6000명 얼굴 분석 비전 AI 활용해 부위별 노화시계 연구 국제 학술지에 논문 게재 LG생활건강이 얼굴 부위별 노화 속도의 차이를 연구한 논문을 국제 학술지에 게재했다. LG생활건강은 피부과학 분야의 저명한 국제 학술지인 ‘피부연구학회지(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온라인판에 연구 논문 ‘대규모 얼굴 이미지 분석 및 GWAS(전장 유전체 연관성 분석 기술)를 통한 얼굴 형태 노화의 유전적 구조 규명’을 게재했다고 16일 밝혔다. 이 연구는 LG생활건강의 피부 장수(Skin Longevity) 연구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얼굴 이미지를 기반으로 피부 유형을 분류하는 비전 AI 기술을 적용했다. 이 연구를 위해 20~60대 한국인 여성 1만6000명의 고해상도 얼굴 이미지가 활용됐다. LG생활건강은 “‘안면 특징점 추출 기술(Facial Landmark Detection)’을 적용해 얼굴 상 68개의 특징점을 분석했다”며 ...
기사 본문
[이데일리 김정유 기자] LG생활건강(051900)은 자사 비전 AI 기술을 활용한 얼굴 부위별 노화 속도 규명에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LG생활건강 안면 특징점 추출 기술 적용 예시(좌), 얼굴 부위별 6가지 노화 지표 정의 예시(우). (사진=LG생활건강) LG생활건강은 최근 피부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피부연구학회지’ 온라인판에 논문 ‘대규모 얼굴 이미지 분석 및 GWAS(전장 유전체 연관성 분석 기술)를 통한 얼굴 형태 노화의 유전적 구조 규명’을 게재했다. 이번 논문은 LG생활건강의 피부 장수 연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비전 AI 기술을 적용한 최대 규모(한국인 대상)의 얼굴 노화 연구 사례다. 얼굴 부위 별로 정량화된 노화 지표를 제시했고, 특징적인 노화 패턴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원인 유전자까지 발굴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LG생활건강 R&I 연구 부문은 이번 연구를 위해 20~60대 한국인 여성 약 1만 6000명의 고해상도 얼굴 이미지를 확보하고, ‘안면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