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추·무·마늘·양파·천일염 비축물량 내놓는다···김장재료 최대 40% 할인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지난 2일 김장용 절임배추 예약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김장철을 맞아 역대 최대 규모인 300억원을 투입해 온·오프라인 매장에서 김장재료를 최대 40% 할인한다. 김장재료 공급 안정을 위해 배추·무 4만7500t을 방출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물가관계장관회의’에서 김장재료 수급 안정 대책을 발표했다. 정부는 지난달 30일부터 오는 12월3일까지 5주간 전국의 대형·중소형마트, 온라인몰 등 4000여개소에서 김장재료 최대 40% 할인 행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할인 대상은 배추(절임배추 포함), 무, 고추(고춧가루 포함), 마늘, 양파, 대파, 쪽파, 생강, 갓, 미나리, 배, 돼지고기 등 최대 20개 품목이다. 정부가 20% 할인쿠폰을 지원하면 업체가 20%를 부담해 총 40%를 할인하는 방식이다. 다만 소비자 1인당 일주일에 2만원 할인 한도가 있다. 정부의 김장철 할인 지원 규모는 2022년 118억원에서...
기사 본문
김장철 앞두고 김장재료 수급 안정 대책 발표 송미령 장관, 경제관계장관회의 발언 (서울=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물가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11.4 uwg806@yna.co.kr (서울=연합뉴스) 전재훈 기자 = 농림축산식품부는 김장철을 앞두고 소비자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배추와 무를 4만7천500t(톤)을 공급하고 500억원의 농수산물 할인지원 예산을 투입한다고 4일 밝혔다. 농식품부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물가관계장관회의에서 이런 대책을 발표했다. 배추 3만6천500t과 무 1만1천t 외에도 고추와 마늘, 양파, 천일염 등을 5천t 방출한다. 500억원의 농수산물 할인지원 예산으로는 다음 달 3일까지 대형·중소형 마트 등에서 김장재료 전 품목에 대한 할인 행사를 한다. 농식품부는 이 중 200억원을 수산물 할인 행사에 투입해 천일염과 새우젓, 멸치액...
기사 본문
농축산물 물가 상승폭 둔화로 안정세 전환 배추·무 생산 늘어 공급 여건 양호 비축물량·계약재배 활용해 김장부담 완화 김장재료를 살펴보고 있는 사람들 모습. ⓒ뉴시스 [데일리안 = 김소희 기자] 김장철을 앞두고 농산물과 축산물 가격이 안정세를 보이는 가운데 정부가 배추·무 등 주요 김장재료 공급을 확대하고 할인행사를 늘리며 소비자 부담 완화에 나섰다. 4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지수 조사 결과 농축산물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2.7% 상승했다. 농산물은 1.1% 오르는 데 그치며 안정세를 유지했고, 축산물(5.3%)과 가공식품(3.5%), 외식(3.0%)은 9월보다 상승폭이 완화됐다. 채소류는 8월 폭염과 가뭄, 9월 잦은 강우로 병해가 발생해 출하량이 일시 감소했지만, 정부가 배추·무 3만5500t의 가용물량을 확보해 추석 전후 공급했고 가을 작형 재배면적도 각각 2.5%, 7.4% 증가하며 물가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수입산 가격 상승으로 ...
기사 본문
‘김장재료 수급 안정책’ 발표… 할인 지원 예산 500억 원도 투입 올해 가정에서 직접 김치를 담그겠다는 비율은 62.3%로 조사돼 정부가 김장철을 앞두고 배추 3만6500t과 무 1만1000t을 시중에 푼다. 또 500억 원을 투입해 농수산물 할인을 지원한다. 매장에 진열된 배추. 농림축산식품부는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물가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김장재료 수급 안정 대책’을 내놨다. 소비자의 장바구니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조치다. 우선 농식품부는 정부 비축 및 계약재배 물량을 활용, 김장재료 공급을 최대한 늘리기로 했다. 아울러 고추, 마늘, 양파, 천일염은 정부 비축 물량을 가공업체와 유통업체 등에 공급해 안정적인 공급 상황을 유지한다. 이와 함께 농식품부는 농수산물 할인 지원 예산(500억 원)을 적기에 배정해 소비자 부담을 최대 50%까지 경감한다는 방침도 세웠다. 이 중 300억 원은 대형·중소형 매장에서 김장재료 전 품목에 대해 진행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