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소비자물가 대구 2.3%·경북 2.4% 상승…"쌀값 20% 안팎↑"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주거·식료품값 급등…체감 물가와 격차 확대 [연합뉴스 자료사진] (대구=연합뉴스) 이강일 기자 = 동북지방통계청은 지난달 대구의 소비자물가지수가 117.34(2020년=100)로 작년 같은 달보다 2.3%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4일 밝혔다. 부문별로 식료품·비주류음료(3.9%), 음식·숙박(2.8%), 교통(3.6%), 기타 상품·서비스(4.3%), 의료·신발(2.1%), 가정용품·가사서비스(2.1%) 등 모든 항목이 상승했다. 주요 등락품목 중 사과는 작년보다 41.2%, 쌀은 22.0% 상승했다. 같은 달 경북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18.10으로 작년보다 2.4% 높아졌다. 식료품·비주류음료(4.0%), 음식·숙박(3.3%), 교통(3.8%), 기타상품·서비스(4.3%), 오락·문화(2.5%) 등이 올랐다. 주택·수도·전기·음료(-0.1%)만 하락했다. 경북에서도 쌀은 작년 같은 달보다 19.0%, 사과는 21.8%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소비자물가지수는 가구에서 일상생활을...
기사 본문
국가데이터처, 10월 소비자물가동향…작년 7월 이후 최고 농축수산물(3.1%), 가공식품(3.5%), 외식(3.0%) 고공행진 환율 영향에 석유류 4.8% 상승…경유 8.2%·휘발유 4.5%↑ 근원물가 상승률 2.2%…2024년 7월 이후 최고치 정부 "향후 기상여건 등 불확실성…체감물가 안정 총력" [서울=뉴시스] 권창회 기자 = 2일 서울 시내 한 주유소에 유가정보가 게시되어 있다. 2025.11.02. kch0523@newsis.com [세종=뉴시스] 안호균 박광온 기자 = 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작년 7월(2.6%) 이후 최고이자 올 들어 가장 높은 2.4%를 기록했다. 먹거리 가격이 고공행진을 지속했고, 환율 상승과 단계적 유류세 인하 축소 등 영향으로 석유류 가격이 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4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7.42(2020=100)로 전년 동월 대비 2.4% 상승했다. 올해 소비자물가 ...
기사 본문
농식품부, 배추·무 4만7천t 공급…500억원 할인 예산 투입 ◇2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이 장을 보고 있다. 한국물가협회가 김장철을 앞두고 전국 17개 시도의 주요 김장재료 가격을 조사한 결과 4인 가족 김장비용은 전통시장 기준 평균 37만8천860원으로 지난 해 대비 9.6%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5.11.2 사진=연합뉴스 여행 관련 품목 소비가 늘어나면서 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4%를 기록하며 1년 3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가데이터처가 4일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 물가지수는 117.42(2020년=100)로 1년 전보다 2.4% 올랐다. 이는 지난해 7월(2.6%)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6∼7월 2%대를 기록한 뒤 8월 한 차례 1.7%로 둔화했다가, 9월 다시 2.1%로 올라섰다. 해외단체여행비, 숙박료, 미용료 등이 포함되는 외식 제외 개인서비스가 3.6% 올라 전체 물가의 0.72...
기사 본문
추석 연휴에 개인서비스 중심으로 서비스 오름폭 급증 축산물과 수산물 5%대 급증…석유류도 4.8% 올라 마트에서 장 보는 시민. 연합뉴스 10월 물가가 올해 처음으로 2% 중반대 상승폭을 기록하며 1년 3개월 만의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국가데이터처가 4일 발표한 '2025년 10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10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7.42(2020=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4% 올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5월(1.9%)을 빼고는 올해 꾸준히 2%대를 유지하다, 지난 8월 SK텔레콤 해킹 사태에 따른 보상으로 1.7%로 떨어졌지만, 이후 다시 9월 2.1%에 이어 두 달째 2%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특히 이번 2.4% 인상폭은 지난해 7월(2.6%)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올해 들어서는 가장 높았던 지난 1월(2.2%)과 6월(2.2%)에도 2% 초반대를 유지했지만, 이번에 처음으로 2% 중반대에 접어들었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기준으로 쓰는 근원물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