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로템, 3Q 영업익 2777억…분기 기준 최대 실적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사진=뉴스1 현대로템이 지난 3분기 연결기준 매출 1조6196억원, 영업이익 2777억원을 기록했다고 3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8.1%, 102.1% 증가한 수치다. 이번 실적은 해외 수출 물량 증가에 따른 결과로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창사 이래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전 분기 매출 기준 최대 실적은 지난해 4분기의 1조4409억원, 영업이익은 지난 2분기의 2575억원이었다. 3분기 기준 현대로템의 수주 잔고는 총 29조6088억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지난 8월 폴란드 군비청과 체결한 K2 전차 2차 수출 계약(약 65억달러 규모)이 반영되면서 방산 부문 수주 잔고는 10조원을 넘어섰다. 회사 관계자는 "폴란드 2차 계약 수주 잔고가 3분기 실적에 반영됐다"며 "철도 부문 수주 잔고도 약 18조원 수준으로 견조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재무 건전성도 개선되고 있다. 현대로템은 3분기 기준 차입금 619억원, 현금성 자산 6735억원을 기록하며 무차입 경영...
기사 본문
3Q 매출 1.6조·영업익 2777억, 역대 분기 사상 최대 수주잔고 30조 육박·순현금 전환…재무 안정세 강화 /그래픽=비즈워치 현대로템이 3분기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방산 중심의 해외 수출이 확대되면서 매출과 이익이 모두 늘었고, 수주 잔고는 처음으로 30조원에 근접했다. 수주 확대에 따른 현금 유입으로 재무 건전성도 크게 개선됐다. 3분기 사상 최대 실적 현대로템은 올 3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1조935억원) 대비 48.1% 증가한 1조6196억원을 기록했다고 3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777억원으로 102.1% 늘었다. 이에 따라 영업이익률은 12.6%에서 17.2%로 4.6%포인트(p) 상승했다. 순이익은 1984억 원으로 매출·영업이익·순이익 모두 창사 이래 최대치다. /그래픽=비즈워치 직전 분기 대비로는 매출은 14.2%, 영업이익은 7.8% 증가했다. 기존 분기 최대 실적이던 지난해 4분기 매출(1조4408억원)과 올 2분기 영업이익(2576억...
기사 본문
목표주가 기존 25만원 → 30만원 상향 [서울=뉴시스]현대로템 CI. [서울=뉴시스]이지민 기자 = NH투자증권은 4일 현대로템에 대해 K2 전차 성능 향상으로 수출 경쟁력 강화되어 유럽·중동·남미 등 추가 수출이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이에 목표주가를 기존 25만원에서 30만원으로 상향,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이재광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현대로템의 폴란드 K2 2차 생산 속도가 예상보다 빠르다"며 "이는 K2 전차의 신규 수주에 대한 회사의 자신감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그는 "폴란드 K2 2차 계약만으로도 향후 3년의 성장을 확보한 것으로 평가된다"며 "K2PL은 신형 포탑과 방어체계를 갖추며, 하드킬 능동방어시스템, RCWS(원격사격통제체계), 무인기 재밍장비, 신형 APU(보조동력장치)를 탑재해 레오파드 2A8급의 성능으로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이어 "그럼에도 가격은 K2PL이 35~40% 저렴한 것으로 추정되고 생산성은 높아 수출 경쟁력 뛰어날 ...
기사 본문
실적 발표서 이라크·루마니아·페루 등 추가 수출 확대 가능성 언급 [편집자주] 머니S 증권전문기자들이 매일 아침 쏟아지는 증권사 리포트 중에서 가장 알찬 리포트의 핵심을 요약해 제공하는 '아침밥'을 통해 든든하게 성공투자를 시작하세요. 유진투자증권이 현대로템에 대해 2026년에도 수주 기대감이 지속될 것이라 4일 평가했다. 사진은 현대로템의 K2전차. /사진제공=현대로템 유진투자증권이 현대로템에 대해 2026년에도 수주 기대감이 지속될 것이라고 4일 평가했다. 이에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 주가도 30만원을 유지했다. 현대로템의 2025년 3분기 실적은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한 1조6196억원을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02% 늘어난 2777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영업이익의 시장 전망치인 2656억원을 소폭 상회했다. 이 중 디펜스솔루션의 매출은 9361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23% 증가했다. 양승윤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폴란드 1차 물량 종료에 따른 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