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만닉스까지 간다”…SK하이닉스 61만원 신고가 기록 [종목Pick]

2025년 11월 04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70개
수집 시간: 2025-11-04 07:16:22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서울경제 2025-11-04 07:01:23 oid: 011, aid: 0004551486
기사 본문

■SK AI 서밋 2025 "韓 메모리, 엔비디아 공급망 핵심" "엔비디아 GPU 25만장 소화 가능" AI 메모리 공급 부족 지속 전망 최태원 SK 회장이 3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에서 기자들과 만나 질의응답하고 있다. 공동취재단 [서울경제] 최태원 SK(034730) 회장이 최근 이어진 그룹 차원의 리밸런싱(사업 구조 재편)에 대해 “튼튼해질 때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에너지와 반도체, 인공지능(AI) 등 핵심 사업을 중심으로 리밸런싱이 이어진 가운데 사업 포트폴리오 조정이 이어질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최근 60만 원을 돌파한 SK하이닉스(000660) 의 주가 향방에 대해선 “조금 더 올라가는 것이 제 희망"이라고 했다. 최 회장은 지난 3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에서 기자들과 만나 리밸런싱 지속 여부에 대해 “리밸런싱이라고 말하지만 저희 내부에선 오퍼레이션을 얼마나 더 튼튼하게 만드느냐의 문제”라며 ...

전체 기사 읽기

세계일보 2025-11-04 06:03:08 oid: 022, aid: 0004079996
기사 본문

최태원 ‘AI 서밋’ 기조연설 “규모로만 싸우면 양극화 심화” 수요·공급 불일치 문제 해법 제시 용인 등 공장늘려 생산력 확보 AI 활용 공정 완전 자동화 목표 SK그룹이 글로벌 인공지능(AI) 전환 과정에서 발생한 수요와 공급 불일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법으로 글로벌 기업들과의 파트너십을 제시했다. 반도체와 AI데이터센터, 에너지솔루션 등 SK그룹이 가진 AI 역량을 결집해 제공하는 통합 솔루션에 대한 청사진도 공개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에서 “AI 스케일(규모) 경쟁이 아닌 효율 경쟁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며 “규모로만 싸우면 너무 많은 돈이 투입되고, AI 양극화가 심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기존엔 거대언어모델(LLM) 등 큰 AI 모델을 학습하는 데 기업들이 주력했지만, 지금은 ‘효율화’가 AI 경쟁의 핵심이 됐다는 의미다.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열리는 SK AI 서밋은 국내 최대 AI 행사...

전체 기사 읽기

비즈워치 2025-11-03 15:02:07 oid: 648, aid: 0000041371
기사 본문

"GPU 1개에 HBM 12개 붙이는 시대…공급이 병목" AI 팹·데이터센터·에이전트로 '토털 인프라' 도전 오픈AI·엔비디아·AWS와 맞손…글로벌 전선 구축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오디토리움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 키노트 세션에서 'AI Now & Next'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사진=이명근 기자 qwe123@ SK그룹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인공지능(AI) 수요에 대응해 반도체와 데이터센터를 아우르는 'AI 인프라 기업'으로의 전환을 본격화했다. 엔비디아·오픈AI·아마존웹서비스(AWS) 등 글로벌 빅테크와의 협력 구도를 전면에 내세워 HBM(고대역폭메모리) 공급 병목을 해소하고 한국이 글로벌 AI 3대 축 안에 자리 잡도록 하겠다는 구상이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3일 서울 강남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 기조연설에서 "SK그룹은 생산능력을 확대하고 기술 혁신을 통해 메모리 병목 현상을 풀어가고 있다"며 "AI ...

전체 기사 읽기

한경비즈니스 2025-11-03 14:38:09 oid: 050, aid: 0000097971
기사 본문

최태원 SK그룹 회장. 사진=SK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인공지능(AI)의 ‘다음(Next)’을 열기 위해 SK가 풀어갈 과제로 △차세대 AI 반도체(칩) 성능을 뒷받침할 안정적인 메모리반도체 공급 △미래 AI 인프라 구축 △AI 과제 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AI 활용을 꼽았다.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AI 수요에 제 때 대응하기 위한 SK의 청사진으로 ‘가장 효율적인 AI 설루션 제공 기업’을 제시하며 ‘고객(파트너사)과 함께’ 내일의 AI 미래를 열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최 회장은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Summit(서밋) 2025’ 기조연설에서 AI의 다음을 위해 ‘지금(Now)’ 해야 할 노력들에 대한 견해를 밝혔다. 올해는 AI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조망하는 의미의 ‘AI Now & Next’를 주제로 열렸다. 지난해에 이어 최 회장은 올해도 기조연설에 나서 지난 1년 간 AI 생태계 발전을 위한 SK의 노력을 돌아보고 앞으로 혁신 방향을 제시했다. 최...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