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지라면 재출시는 진실 바로 세우기… 오해 넘어 혁신 이뤄내겠다”[오늘의 DT인]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삼양1963 신제품 출시 발표회서 ‘삼양 명예 복원’ 강조 “불닭볶음면 통해 거둔 글로벌 성공 국내서도 이어갈 것”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이 3일 서울 중구 보코 서울 명동 호텔에서 삼양1963 신제품을 설명하고 있다. [박순원 기자]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 “‘삼양1963’은 과거를 복원하는 것이 아니라 미래를 위한 초석이다. 라면 회사를 넘어 한국의 미식 문화를 세계로 전파하는 식품사로, 또 한번의 혁신을 시작하겠다.”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은 3일 서울 중구 보코 서울 명동 호텔에서 열린 삼양1963 신제품 출시 발표회에서 “(삼양1963은) 삼양의 창업 정신을 현대적으로 되살린 상징이자 명예의 복원”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 부회장은 고 전중윤 삼양식품 창업주의 며느리로, ‘불닭 신화’를 만들어낸 주역으로 꼽힌다. 우지 라면 재출시를 통해 창업주의 명예를 회복하고 삼양의 뿌리를 되찾고자 하는 의지를 갖고 있다. 삼양1963은 우지(소기름)로 튀긴 라면으로, 당시 특유의 진한 ...
기사 본문
삼양식품 최초 프리미엄 라면 ‘삼양1963’ 공개 36년 전 ‘우지파동’ 일어난 날 발표…명예 회복 우지 유탕면으로 깊은 풍미 내세워…내수 공략 김정수 부회장 “원가 고민 안해…또 한번 혁신” “삼양식품 창업주이자 제 시아버님이기도 한 고(故) 전중윤 명예회장이 평생 품은 한을 조금은 풀어드리지 않았나 싶습니다. 과거의 억울함은 뒤로 하고 앞으로의 새로운 100년을 준비하겠습니다.”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이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열린 신제품 출시 발표회에서 우지 유탕으로 만든 ‘삼양1963’을 소개하고 있다. 삼양식품이 36년 만에 ‘우지(소기름) 라면’을 다시 세상에 내놨다. 삼양식품은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삼양1963’ 라면 출시를 알렸다.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은 “한때 금기처럼 여겨졌던 우지는 삼양 라면의 근간을 완성하는 진심의 재료였다”며 “삼양1963은 과거의 복원이 아니라 미래를 위한 초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부...
기사 본문
‘삼양 1963’ 공개… 농심에 도전장 김정수 부회장 “시아버지 한 풀어” 삼양식품이 우지(소 기름)로 튀겨낸 라면을 출시하면서 36년 전 ‘우지 파동’을 정면 돌파한다. 불닭볶음면을 글로벌 브랜드로 성장시킨 자신감을 바탕으로 국내 국물 라면 시장에서도 존재감을 키우겠다는 계획이다. 삼양식품은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신제품 ‘삼양 1963’을 공개했다. 창업주 고 전중윤 명예회장이 1963년 개발한 한국 최초의 라면을 재해석한 제품으로, 우지와 팜유를 섞어 면발을 튀겨낸 점이 특징이다. 이날로부터 정확히 36년 전인 1989년 11월 3일 발생한 우지 파동으로 삼양식품을 비롯한 국내 라면·제과 업계에서 우지는 금기시된 재료였다. 당시 삼양라면 등 5개 식품회사는 ‘공업용 우지’를 사용했다며 검찰 수사를 받았다. 보건사회부가 우지 라면이 인체에 해가 없다고 밝혔고, 몇 년 뒤 법원도 무죄 판결을 내렸지만 삼양식품은 심각한 이미지 타격을 입고 직원 1000여명을 내보냈다....
기사 본문
'삼양1963' 출시…'우지파동' 명예회복 3년 기획 끝 재탄생…"원가 고민 말라" 팜유·우지 섞어 튀겨 현대적으로 재해석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이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열린 '삼양1963' 출시 발표회에서 신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 사진=삼양식품 시아버지 한 풀었다 "이 프로젝트를 준비하면서 고(故) 전중윤 명예회장님을 자주 떠올렸습니다."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은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열린 '삼양1963' 출시 발표회에서 신제품을 소개하던 중 이같이 말하며 목이 메었다. 삼양식품 창업주이자 시아버지인 전 명예회장의 경영 철학과 1989년 '우지(소기름) 파동' 사건을 떠올리면서였다. 김 부회장은 이날 출시 발표회에서 삼양1963을 직접 소개했다. 삼양1963은 삼양식품이 우지 파동으로 중단했던 우지 유탕 방식을 36년 만에 재도입한 프리미엄 라면이다. 김 부회장이 직접 나선 것은 우지 파동의 명예 회복과 신제품에 대한 각오가 그만큼 강하다는 것을...